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야생초

조밥나물(국화과 조밥나물속) Hieracium umbellatum L.

by 여왕벌. 2010. 10. 6.

2010. 10. 3. 경남.

 

조밥, 좁쌀, 조팝이란 이름이 들어 있는 식물이 꽤 있다.

주로 식물체의 꽃 형태나 색에서 곡류인 조, 즉 노란 좁쌀을 연상 시카는 특징이 있다는 게다.

이 녀석도 형상보다는 노랗게 잎 꽃 색깔 때문에 조밥나물이란 이름을 얻은 것 같다.

그런데 색깔 때문에 <조밥>이란 이름을 붙였다는 건 어딘지 좀 어울리지 않는다.    

 

 

 꽃은 7-10월에 피고 지름 2.5-3.1cm로서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화경은 길이 2-5mm로서 짧은 털이 다소 있다.

 

총포는 길이 9-11mm, 넓이 15mm이고 총포편은 3-4줄로 배열되며 녹색 또는 붉은 빛이 도는 녹색이고

외편은 점차 짧아지며 끝이 뾰족한 피침형이다. 내편은 장타원상피침형으로서 길이 8-10mm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이 말라버리고

중앙부의 잎은 선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약간 두껍고 거칠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리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약간 있고 뒷면 맥줄에 잔털이 있다.

 

쇠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23    https://qweenbee.tistory.com/8886595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6   https://qweenbee.tistory.com/89018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405   https://qweenbee.tistory.com/8904870

쇠서나물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4868

 

개마쇠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904161    https://qweenbee.tistory.com/8904869

 

쇠서나물속 : https://qweenbee.tistory.com/89052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4

쇠서나물속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3

 

껄껄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9 

 

조밥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73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42   https://qweenbee.tistory.com/8904720   

https://qweenbee.tistory.com/8901980   https://qweenbee.tistory.com/8903524   

https://qweenbee.tistory.com/8904406

조밥나물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5 https://qweenbee.tistory.com/8908317

 

유럽조밥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47   https://qweenbee.tistory.com/8907451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7

유럽조밥나물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4867  https://qweenbee.tistory.com/8908316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닭의덩굴(마디풀과)  (0) 2010.10.06
큰닭의덩굴(마디풀과)  (0) 2010.10.06
미역취(국화과)  (0) 2010.10.06
용담(용담과)  (0) 2010.10.06
자주쓴풀(용담과)  (0) 2010.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