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73

매화(장미과) 2010. 2. 5. 제주. 벌써 매화꽃이 활짝 피었다. 가까이 다가가니 향기가 대단하다. 남도에는 아직 기척이 없는 것 같던데....제주도는 참 좋은 곳이다~! ㅎㅎ 2010. 2. 10.
애기달맞이꽃(바늘꽃과) 2010. 2. 5. 제주. 아마 해류를 타고 제주도에 상륙했을 거다. 육지에서는 안 보이는 녀석이다. 동해안 노지에서 볼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제주에는 길가나 밭에 발에 채일 정도로 깔려 있다. 포복성 줄기라 바닥에 납작하니 업드려 있다. 달맞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으니 꽃 모양은 달맞이와 .. 2010. 2. 10.
공단풀/나도공단풀(아욱과) 2010. 2. 5. 제주. 국명의 유래를 보면 재미있다. 외래종으로 어딘지는 모르지만 공단 부근에서 처음 발견되어서 공단풀이라 이름이 붙었단다. 같은 속으로 나도공단풀이 있는데 구분 포인트가 꽃자루 길이와 잎자루에 있다. 꽃 피는 시기를 맞추지 못하여 꽃 자료가 없는 게 아쉽다. 공단풀.. 2010. 2. 9.
유채(배추과 배추속) 2010. 2. 5. 제주. 산방산 아래 유채꽃이 노랗게 피기 시작한다. 벌써 열매가 달린 녀석도 많다. 제주를 찾는 관광객을 위하여 곳곳에 유채를 심어 놓았다. 성산 일출봉 쪽에는 봄이면 유채꽃 흐드러진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데 밭 주인이 돈을 받기도 한다. 뭐 관광객들이 사진 찍는다고 밭에 들어와서 농작물 피해가 있기는 하겠다만 돈 받는 건 좀 머식하다. 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56 https://qweenbee.tistory.com/8900830 https://qweenbee.tistory.com/8900831 https://qweenbee.tistory.com/8900847 https://qweenbee.tistory.com/8902265 갯무 .. 2010. 2. 9.
멀구슬나무(무환자나무목) 2010. 2. 5. 제주. 현무암 돌담을 의지하여 마을 곳곳에 이 멀구슬 나무가 보인다. 잎이 덜어진 커다란 멀구슬나무에 노란 열매가 조롱조롱이다. 5월 쯤이면 보라색 꽃이 흐드러져서 꿀벌들의 중요한 밀원이 되기도 하는데, 일본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자생 여부는 확인이 안 되었단다.. 2010. 2. 9.
큰개불알풀(현삼과) 2010. 2. 5. 제주. 올레 길 옆 밭고랑에 큰개불알풀이 파랗게 접시돌리기를 하고 있다. 광대나물과 함께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풀꽃 중의 하나다. 이쁜 녀석의 이름이 머식하다 해서 봄까치꽃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짙은 푸른색 줄무늬의 꽃잎에 어울리는이름이다. 이 녀석과 눈높이 맞추느라고 밭고랑에 완전히 업드려 뒹굴었다. 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1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56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516 https://qweenbee.tistory.com/8902327 https://qweenbee.tistory... 2010. 2. 9.
자주풀솜나물 2010. 2. 5. 제주. 떡쑥 속이지 싶어서 찾아보니 화서의 모양이 선풀솜나물에 가장 근접하긴 하는데....맞을까? 잡초 박사님의 확인 결과 주걱형의 줄기 잎과 잎 가장자리의 오글거리는 물결형 잎이 특징인 자주풀솜나물이란다. 잎은 주걱형이며 길이 3-6㎝, 나비 5-10㎜로 끝이 원두이다. 잎의 표면은 털이 적으며 오래된 것은 거의 털이 없고, 뒷면은 우단처럼 긴 솜털이 밀포되어 흰색을 띤다. 꽃은 4-6월에 피며, 줄기 끝에 밀집된 수상화서를 이룬다. 총포는 밑이 넓은 종형을 이루며 꽃자루와 총포 기부에 길이 4-6㎜의 부드러운 털이 밀집되었고 기부의 총포편은 삼각형, 중간의 것은 긴 삼각형, 안쪽의 것은 피침형으로 1맥이 있고 모두 끝이 뾰족하고 밤색 또는 적자색을 띤다. 통상화로만 이루어지고 통.. 2010. 2. 8.
구골나무(물푸레나무과) 2010. 2. 5. 제주. 용머리해안 공원 언덕에서 구골나무 같은 녀석이 보이길래 살피는 도중 꽃이 핀 것을 발견하였다. 대구수목원에서는 잎과 수피만 담아 와서 아쉬웠는데 꽃이라니! 뜻밖의 수확이다. ㅎ 구골나무는 11월에 개화를 하고 열매는 쥐똥나무처럼 검다고 한다. 열매는 핵과로 타.. 2010. 2. 8.
장딸기(장미과) 2010. 2. 5. 제주. 장딸기인지 제주장딸기인지는 모르겠다. 잎이 어긋나고 주로 소엽이 3장이 었는데 5장까지도 보였다. 제주장딸기나 장딸기의 기재문을 확인해 봐도 특별한 구분 점이 없고 거의 내용이 같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 2010. 2. 8.
산유자나무(이나무과) 2010. 2. 5. 제주. 산방산 아래 길 섶을 헤메는데 가시가 유난스런 녀석이 눈에 들어 온다. 호자나무나 수정목이 아닐까 했더니만 산유자나무라로 확인이 된다. 꽃을 보려면 8월에 다시 와야 하는가? 남쪽 섬에서만 자란다. 어린 가지는 가시가 있기도 하며, 잎은 약간 두껍고 어긋나는데, 잎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가 있다. 꽃은 황백색으로 8월 무렵 잎겨드랑이의 총상(總狀)꽃차례에 무리져 피는데, 4장의 꽃받침잎이 꽃잎처럼 보인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많다. 열매는 검은색으로 11월에 동그랗게 익는다. 잎이 두텁고 표면이 매끄러운데 약간 혁질이 느껴진다. 잎 겨드랑이에 가시가 나 있다. 크기를 가늠하기 위하여 손가락과 비교하였다. 금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0.. 2010. 2. 8.
제주 탐사 일행 2010. 2. 5~7. 제주에서 둘째 날 이곳 저곳 안내를 해 주신 고마운 분 우연하게도 제주에 내려간 마지막날이 제주 정모 날이라 참가를 망설이다가 함께 합류하였다. 영주님. 함초롱님, 섬지기님, 효원님, 일천의달님 2010. 2. 8.
구슬붕이(용담과) 2010. 2. 6. 제주의 오름에서. 오름 위쪽 화산탄 쌓인 틈 사이에서 따신 바람이 나온다. 분화구의 따뜻한 기운 때문인가? 구슬붕이가 싱싱하게 꽃을 피우고 있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 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 https://qweenbee.tistory.com/8900902 https://qweenbee.tistory.com/89010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6 구슬붕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 2010.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