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9

남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flaccida F.Schmidt 2023. 4. 17. 제주. 이 녀석도 오랜만에 찾아가 보았다. 주변이 개발을 하는지 많이 헤쳐져 있어서 걱정을 하던 꽃동무 소식에 얼마나 망가졌나 우려가 되더니 크게 망가지지는 않은 것 같아서 안도하였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1646 https://qweenbee.tisto.. 2023. 4. 19.
덧나무(인동(연복초)과 딱총나무속) Sambucus racemosa subsp. sieboldiana (Miq.) H. Hara 2023. 4. 17. 꽃차례 자루가 짧고 꽃이 조밀하게 달리고 암술주두가 붉은색이 특징인 녀석은 제주도에 주로 분포한다. 잎은 5-7개의 소엽을 가진 우상 복엽이다 말오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0 https://qweenbee.tistory.com/89022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7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말오줌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85 https://qweenbee.tistory... 2023. 4. 18.
조록나무(조록나무과 조록나무속) Distylium racemosum Siebold & Zucc. 2023. 4. 17. 제주. 채진목 꽃에 눈길을 주다가 옆을 돌아보니 조록나무가 꽃잎도 없는 꽃을 빨갛게 달고 있다. 아직 꽃밥티 터지지 않았고 꽃차례 끝의 암꽃 꽃술도 마악 드러나고 있는 상태이다. 전라남도 완도 등 도서 지역, 제주도 등에서 자라며, 잎이 감탕나무처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두꺼운 혁질이다. 잎과 동아에 조롱박 처럼 생긴 충령이 많이 달려서 조록나무라 불렀다. 총상꽃차례로 꽃잎이 없으며 수꽃양성화한그루이다 열매가 달리는 양성화 꽃은 꽃차례 끝부분에 있다. 히어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5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53 https://qweenbee.tistory.com/8887658 https://qwee.. 2023. 4. 18.
어렵게 만난 채진목(장미과 채진목속) Amelanchier asiatica (Siebold & Zucc.) Endl. ex Walp. 2023. 4. 17. 제주. 새벽부터 한바탕 큰 소동이 일어났다. 분명 알람을 맞춰 놓았는데 알람소리를 듣지 못하였고 (나중에 보니 시간만 변경하고 저장을 누르지 않아서 알람이 안 울렸던 것이다) 15일~16일 해남 완도로 조사차 내려갔다고 올라와서 피곤했기도 했고 또 파일 정리한다고 12시가 넘도록 컴에 붙어 있었던 이유도 있었다. 전화 벨 소리에 화들짝 놀라서 전화를 받으니 대구 공항 옆에서 5시에 만나기로 했던 일행이다. 어디 쯤 왔냐고 한다. 시간을 보니 약속 시간에 8분이 더 넘었다. 비행기 출발이 6시 20분인데 5시 까지 잠에 골아 떨어져 있었던 것이다. 결국 쌓인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늦잠을 자 버린 것이다. 정신이 하나도 없어서 일어나자 말자 세수도 못하고 싸 둔 짐만 챙겨 들고서 차.. 2023. 4. 17.
거문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trifidus Thunb. 2023. 3.. 20. 제주. 제주산딸기를 찾으러 갔는데 이 곳의 녀석들은 사라진 것 같다. 제주산딸기는 거문딸기와 장딸기의 교잡종으로 열매가 결실하지 않는다. 그러니 만나기 쉽지 않다. 대신 거문딸기가 마악 개화하는 모습을 만났다. 거문딸기는 제주도에 흔하게 생하는 산딸기속 녀석이다. 거문도에서 발견이 되어서 그리 이름을 얻게되었는데 거문도에서 봤던가 기억이 없다. 최근 부산에서도 녀석이 자라는 게 확인이 되었다고 한다. 키가 1~3m 까지 자라는 내형으로 기가 굵고 붇러운 털이 있으며 가시가 없고 잎도 무척 크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 2023. 4. 3.
붓순나무(붓순나무과 붓순나무속) Illicium anisatum L. 2023. 3. 22. 제주. 수목원에 식재된 녀석이다, 자생지에서 본 적은 몇 차례 있는데 올해는 자생하는 곳을 찾아가지 못하였다. 열매는 납작한 원형으로 조도만두 나무 열매와 비슷한 모습이다 붓순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300 http://blog.daum.net/qweenbee/8895213 http://blog.daum.net/qweenbee/8898985 http://blog.daum.net/qweenbee/8902189 http://blog.daum.net/qweenbee/8902219 http://blog.daum.net/qweenbee/8904795 https://blog.daum.net/qweenbee/8904795 https://blog... 2023. 4. 1.
사스레피나무(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Eurya japonica Thunb. 2023. 3. 21. 제주. 비내리는 숲, 초록의 잎새 아래 쌀알 같은 자잘한 흰꽃이 다글다글하다. 별로 호감을 주지 못하는 향이라 선호도가 낮은 나무이다. 우묵사스레피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1144 http://blog.daum.net/qweenbee/8891145 http://blog.daum.net/qweenbee/8887175 http://blog.daum.net/qweenbee/8889330 http://blog.daum.net/qweenbee/8896977 http://blog.daum.net/qweenbee/8896978 http://blog.daum.net/qweenbee/8900253 http://blog.daum.net/qweenbee/89.. 2023. 3. 30.
가는잎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Pulsatilla cernua (Thunb.) Bercht. ex J.Presl 2023. 3. 21. 제주. 할미꽃보다 잎의 갈래가 더 가늘다고는 하는데....... 눈으로는 구분하지 못하겠고 그런가 보다 한다. 제주까지 내려와서 이슬비가 내린다고 우리가 꽃보기를 그만 둘 소냐? 곱던 할미는 정말 할미가 다 되어부렀다. 할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4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8 https://qweenbee.tistory.com/8898516 https://qweenbee.tistory.com/8903623 https://qweenbee.tistory.com/8905067 https://qweenbee.tistory.com/8906809 (노랑) https://qweenbee.tistory.com/.. 2023. 3. 30.
장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hirsutus Thunb. 2023. 3. 21-22. 제주. 제주도는 여기 저기 장딸기가 한창 개화히고 있었다. 제주도와 남부지역에 흔하게 자생하는 녀석이다 잎은 깃꼴로 3~5장의 작은 잎을 가지고 있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bee.tistor.. 2023. 3. 29.
후추등(후추과 후추속) Piper kadsura (Choisy) Ohwi 2023. 3. 22. 제주. 많이도 떨어졌지만 풍성하게 달렸던 열매가 아직도 붉게 달려 있다. 꽃이 필 때 열매도 함께 달려 있으면 대박일텐데..... 제주도에는 아주 흔하게 보이는데 남해안의 섬에는 드물게 자생하고 있다. 후추등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5789 http://blog.daum.net/qweenbee/8889267 http://blog.daum.net/qweenbee/8897872 https://qweenbee.tistory.com/8910436 후추등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31 http://blog.daum.net/qweenbee/8889443 http://blog.daum.net/qweenbe.. 2023. 3. 29.
광대나물(꿀풀과 광대수염속) Lamium amplexicaule L. 2023. 3. 22. 제주. 흰샙의 꽃을 유난스럽게 찾아다니는 꽃쟁이들이 많다. 나는 일부러 흰둥이를 찾아간 적은 거의 없다. 같은 종으로 색변이가 있을 뿐인 녀석을 굳이 찾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연하게 만나면 볼 뿐이다. 광대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05 http://blog.daum.net/qweenbee/8893910 http://blog.daum.net/qweenbee/8896992 http://blog.daum.net/qweenbee/8899312 http://blog.daum.net/qweenbee/8900797 광대수염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299 http://blog.dau.. 2023. 3. 29.
개보리뺑이(국화과 개보리뺑이속) Lapsanastrum apogonoides (Maxim.) J.H.Pak & K.Bremer 2023. 3. 22. 제주. 논둑이나 습한 진창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녀석이다. 비슷한 종으로 그늘보리뺑이가 있다. 뽀리뱅이 긴꽃뽀리뱅이 개보리뺑이 그늘보리뺑이 화서 산방상 원추화서 원추화서 3-4개의 두상화 엉성한 산방상, 두화 2개 또는 엉성한 산방상 총포 좁은 원주형, 내포편 8개 4열 배열 외포편 가장자리에 털 내포편 5개 내포편 8개 설상화 두상화 지름 7~8mm 두상화 지름 15mm 5-20개의 소화 6~9개 18~20개 수과 갈색, 1.5~2mm, 능선11~13개, 3mm의 관모 있음 갈색 방추형,무모 긴타원형 3~4.5mm, 능선3개, 2~4개의 뿔같은 돌기, 관모 없음 편평한 타원형 2~2.8mm4개의 늑과 날개, 돌기 없음, 관모 없음 해가 잘 비치고 시간이 지나면 꽃이 활짝 필텐데..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