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9

뚜껑별꽃(앵초과 뚜껑별꽃속) Anagallis arvensis L. 2023. 3. 20. 제주. 뚜껑별꽃이 피기 시작했다는 소식에 3월 제주행에서 이 녀석을 담아 본다. 새로 장만한 6 마크로 렌즈의 위력을 증명해 봄직한 대상이라 집중해서 촛점을 맞추느라 꽤 공을 들이긴 했는데 컴으로 보니 그림이 생각보다 크게 만족스럽지는 않은 것 같다. 뚜껑별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19 http://blog.daum.net/qweenbee/8889887 http://blog.daum.net/qweenbee/8893409 http://blog.daum.net/qweenbee/8895413 http://blog.daum.net/qweenbee/8902245 http://blog.daum.net/qweenbee/8903771 https://q.. 2023. 3. 23.
모래냉이(배추과 모래냉이속) Diplotaxis muralis DC. 2023. 3. 20. 제주. 해안의 모래가 바닷바람에 날려서 주변에 사구를 만들고 그 사구 위에 풀과 나무들이 터를 잡아서 자란다. 사구의 일부는 경작을 위하여 허물어지기도 하는데 그 경작지 사면의 고운 모래 언덕이 노출되어 그 곳에 모래냉이가 터를 잡았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482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1 https://qweenbee.tistory... 2023. 3. 23.
양장구채(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 Silene gallica L. 2023. 3. 20. 제주. 제주도에 엄청 번져 있는 외래식물 중 하나이다. 붉은색을 띤 녀석이 더 곱기는 한데 오랜만에 만나니 흰색이라도 반갑다. 어린 싹이다 끈끈이장구채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81 http://blog.daum.net/qweenbee/8888471 http://blog.daum.net/qweenbee/8888216 http://blog.daum.net/qweenbee/8886414 http://blog.daum.net/qweenbee/8892362 http://blog.daum.net/qweenbee/8892361 http://blog.daum.net/qweenbee/8894684 http://blog.daum.net/qweenbee/88.. 2023. 3. 23.
둥근빗살괴불주머니(양귀비과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 Fumaria officinalis L. 2023. 3. 20. 제주. 한 달 여 전에 마악 개화가 시작되던 초기에 찾았더랬는데 새로 장만한 렌즈를 장착하고 다시 그 자리에 서 있게 되었다. 헌데 그림은 별로 맘에 들지 않는다. 눈에 보이는 것 보다 더 아름다움은 없는 것 같다.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 선괴불주머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00167 선괴불주머니 신초 : .. 2023. 3. 23.
산쪽풀(대극과 산쪽풀속)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2023. 3. 21. 제주. 2월에 봤던 산쪽풀은 크기가 별로 자라지 않았지만 거의 대부분 개화를 하고 있었다. 암꽃과 수꽃을 관찰 촬영하려 했지만 비가 오는 날씨라 관찰도 어렵고 촬영은 더 쉽지 않아서 그냥 퍽 샷으로 담았다. 나중에 날씨가 좋을 때 다시 확인해 봐야겠다. 산쪽풀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01 https://qweenbee.tistory.com/8910853 산쪽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10091 https://qweenbee.tistory.com/8910141 산쪽풀 어린 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6.. 2023. 3. 22.
개구리발톱(미나리아재비과 개구리발톱속)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2023. 3. 21.제주. 밤부터 내리기 시작하던 비가 종일 부슬거린다. 오름 주변 숲 올레 길에서 작은 풀들과 씨름을 하였다. 꽃이 제법 크길래 큰개구리발톱일까 싶어서 수술을 확인하니 13개라, 그냥 개구리 발톱이었다. 수술 수를 확인하려고 쪼꼬만 꽃을 해부하니 13개다 개구리발톱은 꽃 크기가 4-6mm 로 더 작고 수술 8-14개이다 큰개구리발톱은 꽃이 8-10mm로 상대적으로 크고 수술이 16-22개이다 작은 오름에 가는할미꽃을 보려고 올랐다가 내려오는 길 개구리발톱이 부슬거리는 비로 조롱조롱 물방울을 달고 테크에 턱을 받추고 있다 별 생각 없이 셔터를 눌렀더니 빗줄기도 나타나고 테크 바닥의 물기에 반영이 생겨 있었다 곶자왈 숲에서, 3월 22일 개구리발톱 : https://qweenbee.tis.. 2023. 3. 22.
산쪽풀(대극과 산쪽풀속) Mercurialis leiocarpa Siebold & Zucc. 2023. 2. 23. 제주. 마디풀과 쪽풀은 쪽물을 들이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를 한다. 이 녀석은 산쪽풀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쪽물을 들이는것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이 녀석도 암꽃을 제대로 찾아서 관찰해야 할 녀석이다. 산쪽풀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01 https://qweenbee.tistory.com/8910853 산쪽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10091 https://qweenbee.tistory.com/8910141 산쪽풀 어린 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6374 2023. 3. 3.
둥근빗살괴불주머니(양귀비과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 Fumaria officinalis L. 2023. 2. 23. 제주. 볕을 잘 밭는 농경지 가장자리와 경계석 주변에서 유채꽃을 배경으로 피어 있는둥근빗살괴불주머니의 자태가 그림같다. 지금 쯤 꽤 풍성하게 꽃을 피우고 있을 것 같다. 3월에 다시 가면 둥근 열매를 달고 있을 게다.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 선괴불주머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00167 선괴불주머니 신초 :.. 2023. 3. 2.
흰동백(차나무과 동백나무속) 2023. 2. 23. 제주. 남원의 어느 관공서 주변에 흰동백꽃이 화사하게 피고 있다. 조경수로 식재해 둔 것 같은데 다른 나무들과 어우러져 있는 모습이 자연스럽다. 차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3081 http://blog.daum.net/qweenbee/8895341 차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4963 http://blog.daum.net/qweenbee/8894695 http://blog.daum.net/qweenbee/8900335 https://qweenbee.tistory.com/8909907 차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4779 http://blog.daum.. 2023. 3. 1.
사철나무(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열매 2023. 1. 14. 제주. 해안 올레길 주변에 자생하고 있는 사철나무이다. 남부지역의 섬이나 해안에는 사철나무가 자생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가 있다. 녀석이 자리잡은 곳의 풍광이 좋아서 몇 컷 담이 주었다 줄사철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903378 http://blog.daum.net/qweenbee/8890237 http://blog.daum.net/qweenbee/8894027 줄사철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436 http://blog.daum.net/qweenbee/8895203 http://blog.daum.net/qweenbee/8900525 줄사철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 2023. 3. 1.
줄사철나무(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Euonymus fortunei (Turcz.) Hand.-Mazz. var. radicans (Siebold ex Miq.) Rehder 2023. 1. 17. 제주. 2023. 2. 22. 제주. 줄기에 잔뿌리를 내려서 부착시키면서 나무 기둥을 타고 오른다. 줄사철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903378 http://blog.daum.net/qweenbee/8890237 http://blog.daum.net/qweenbee/8894027 줄사철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436 http://blog.daum.net/qweenbee/8895203 http://blog.daum.net/qweenbee/8900525 줄사철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45 http://blog.daum.net/qweenbee/8891.. 2023. 3. 1.
새끼노루귀(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Hepatica insularis Nakai 2023. 2. 22. 제주. 아직은 좀 이른 것 같다. 노루귀 청 : https://qweenbee.tistory.com/8891412 https://qweenbee.tistory.com/8891413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1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023 https://qweenbee.tistory.com/8902120 https://qweenbee.tistory.com/8903587 https://qweenbee.tistory...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