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959

상산(운향과) 2010. 5. 21. 제주. 상산 열매 모양이 마치 초록별 같다. 4월 말 경에 암꽃과 수꽃을 담느라고 수선을 떨었는데 벌써열매가 이렇게 커졌다. 제주의 숲 가장자리에는 상산나무가 거의 자리를 잡고 특이한 냄새를 날리고 있다. 상산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33 http://blog.daum.net/qweenbee/88880.. 2010. 5. 28.
사슨딸기(장미과) 2010. 5. 21. 제주. 육지의 멍석딸기보다 잎이 유난히 작았다. 그냥 멍석딸기려니 하고 지나칠려다가 아무래도 잎이 자그마한게 이상하여 담았다. 잎이 작아서 좀딸기를 떠올렸는데 좀딸기와는 거리가 있다. 함께 있던 ㅊ님도 그냥 멍석딸기라 생각하고 무심하게 넘기려다가 함께 담았다. 소엽이 3~5장 되는 유사종이다. ▶청멍석딸기(var. concolor NAK. et NEMOTO.) : 잎 뒷면에 털이 거의 없다. ▶멍석딸기(R. parvifolius L.) :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다 ▶사슨딸기(var. taquetii T.LEE) : 잎의 길이가 2cm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백색 밀모가 있고 엽병과 줄기에 가시가 많으며 제주도에서 자란다. 멍석딸기를 찾아보니 멍석딸기.. 2010. 5. 27.
물까치수염(앵초과) 2010. 5. 22. 제주. 제주에는 처음 보는 녀석들이 많아서 올 때마다 새롭다. 까치수염 가족 중에 물까치수염이란 녀석도 있었다. 부슬거리는 비를 맞으면서도 봐야할 건 봐야겠기에 제주 꽃동무의 안내를 받으면서 물까치수염 서식지를 찾으니... 시기가 좀 늦은 것 같다. 그래도 어딘가 홍도.. 2010. 5. 27.
국수나무(장미과) 2010. 5. 21. 오름 분화구 둘레에는 국수나무가 한창 꽃을 피우고 있었다. 구덩이만 남은 피뿌리풀 흔적에 화를 삭이면서 국수나무 꽃으로 위로를 받는다. 별 생각없이 담은 국수나무 잎이 육지의 국수나무와는 다른 듯하여 확인해 보니 제주도에 잎이 5갈래로 갈라져서 나비처럼 보인다는 .. 2010. 5. 27.
검노린재나무(노린재나무과) 2010. 5. 21. 제주. 노린재나무보다 화서가 풍성하고 잎이 더 두터운 것 같다. 검노린재나무는 제주와 남부지방에 많이 서식한다.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난형으로 연모가 있고 화관은 깊게 갈라지며 수술은 5군으로 나뉘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8cm, 나비 2~4c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표 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고뒷면은 다소 분백이며 중륵 위에 털이 많다 어린 가지에 털이 있고 2년지는 회갈색이며 수피는 가로로 피목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장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8cm 나비 2~4c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 맥 위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2010. 5. 27.
애기달맞이꽃(바늘꽃과) 2010. 5. 21. 제주. 아침 시간이라서 그런지 애기달맞이꽃이 활짝 피었다. 솔잎란 때문에 해안 가까이 가서 이것 저것 담느라 시간을 보냈더니 그사이에 벌써 꽃잎이 오므라 들고 있었다. 벌써 일행들 출발을 서두르는데 급하게 달려 가서 몇장 담았다. 이 녀석은 제주에서는 길 바닥에 흔하.. 2010. 5. 27.
갯메꽃(메꽃과) 2010. 5. 21. 제주. 이 녀석은 육지에 흔한 메꽃 때문인지 해안에 가도 선뜻 카메라가 가 주질 않는다. 그러다 보니 담아 둔 게 없다. 녀석 꽤나 섭섭했을 게다. 이번에도 딱 두 컷만 담았다. ㅎ 큰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66 애기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71 https://qweenbee.tistory.com/8886188 https://qweenbee.tistory.com/8887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5981 https://qweenbee.tistory.com/8900424 https://qweenbee.tistory.com/8902510 애기메꽃 열매 : h.. 2010. 5. 27.
암대극(대극과) 2010. 5. 21. 제주. 암대극은 이제 꽃은 다 사그러지고 콩알만한 열매가 맺혔다. 대극 종류 중에서 개체가 가장 크고 열매도 가장 크다. 열매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을에 잎이 붉게 단풍이 든 모습도 참 이쁜데..... 타원형 선체는 누렇게 변하여서 목도리처럼 열매 목을 .. 2010. 5. 27.
석위(고란초과) 2010. 5. 21. 석곡과 콩짜개난초를 보려고 한라산 계곡으로 숨가쁘게 오른다. 콩짜개난초는 아직 개화가 안되었다. 한라산의 숲은 어머니 가슴처럼 넉넉하게 숲을 품고 있다. 오르는 도중 잠기 숨을 고르다가 석위를 담아 본다. 육지에 서식하는 녀석을 석위로 알았는데 육기의 석위는 대부.. 2010. 5. 27.
석곡(난초과) 2010. 5. 21. 제주. 에거거~~! 40 여 분 어두운 숲 절벽 길을 숨차게 올라와서 벼랑을 쳐다보니 석곡이 하얗게 꽃을 피우고 약을 올린다. 작은 나무가 앞을 가리고 있어서 ㄱㄴㄹ님은 길다란 나뭇가지로 방해물을 치우느라고 씨름을 한다. 다들 박격포 렌즈로 갈아 끼우고 멀리 있는 녀석을 당긴다. 내야 똑.. 2010. 5. 26.
차걸이란(난초과) 2010. 5. 21. 제주. 원시의 숲에서 그 귀하다는 차걸이난을 바로 눈 앞에 가까이 보았다. 딱 한송이 차걸이난이 꽃을 피워서 육지의 손님을 반겨 주었다. 보호가 되고 관리되는 숲이라서 그나마 볼 수 있었던 거다. 남채가 되어서 숲에서는 차걸이난을 찾아보기 힘들단다. 남채해 가져가도 몇해 못 가서 다.. 2010. 5. 26.
갯까치수염(앵초과) 2010. 5. 21. 제주. 현무암 바위 바닥 틈새에 갯까치수염이 나지막하게 바다 바람을 맞고 있다. 지난 4월에 왔을 때는 갯까치수염이 막 피기 시작하더니 지금 한창이었다. 갯까치수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66 http://blog.daum.net/qweenbee/8888002 http://blog.daum.net/qweenbee/8888833 http://blog.daum.net/qween.. 2010.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