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959

몽골식물-분홍바늘꽃(바늘꽃과 바늘꽃속)Chamerion angustifolium (L.) Holub 2025. 6. 27.몽골 분화구. 분화구 주변에서 마지막 숙영을 한 아침.5시 부터 일어나서 분화구에 올랐다. 오르는 길은 자잘한 현무암 화산탄으로 줄줄 미끄러져서 오르기가 쉽지 않았다.사면 가득한 애기원추리에 마음을 빼앗기면서 분화구에 오르니 해가 오르고 있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은 탓에 분화구 바닥은 말라 있었다.분화구 가장자리에 선 분홍바늘꽃이 햇살에 붉은색이 곱다 바늘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0 https://qweenbee.tistory.com/8892351https://qweenbee.tistory.com/889463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55https://qweenbee.tistory.c.. 2025. 7. 22.
털좀메꽃(메꽃과 메꽃속) Convolvulus ammannii 2025. 6. 28. 마지막 날 숙소 앞 초지를 탐사하다.털봄메꽃이 아주 흐드러지게 피어 있다.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315나팔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3 둥근잎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7. 21.
몽골식물 -고산개미취(국화과 참취속) Aster alpinus L. 2024. 6. 24. 2022년 몽골의 초지에서 만난 이 녀석의 학명을 검색하다가 도감에서 확인을 하였다.Aster alpinus 는 중국명으로 고산자완 (高山紫菀), 자완은 생약명으로 개미취를 말한다.표준식물목록에는 미등록이지만 중국명을 참고하여 가칭 고산개미취라 이름을 붙여 놓았다. 원산지는 유럽, 중국, 이란으로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 쑥부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68https://qweenbee.tistory.com/88889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474https://qweenbee.tist.. 2025. 7. 20.
몽골식물 -국화과 참취속 Aster flaccidus (Bunge) 2025. 6. 24. 몽골 하트갈. 4번 째 숙영지 숲에서 만난 녀석이다고산개미취와는 달라 보여서 촬영했지만 고작 한 포기라.... 그래도 요모 조모 촬영을 해서 도감에서 학명 Tibetiodes flaccida 을 찾을 수 있었는데,큐에서는 Tibetiodes flaccida는 Aster flaccidus의 이명으로 취급하여 Aster flaccidus (Bunge)를 정명으로 보고 있다 원산지는 이란에서 S. 시베리아 및 중국으로 중국 중북부, 중국 중남부, 몽골, 네팔,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동부, 서부 히말라야 ..이다 쑥부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68https://qwe.. 2025. 7. 20.
몽골식물 -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dichotoma L. 2025. 6. 24. 꽃잎이 1/3 정도는 갈라지지 않는 5장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591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4https://qweenbee.tistory.com/8891440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4 https://qweenbee.tistory.com/8905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761별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5462별꽃 어린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4144 https://qweenbee.. 2025. 7. 20.
몽골식물 -양귀비과 하이페쿰 에렉툼 Hypecoum erectum L. 2025. 6. 27. 몽골. 내일 출국을 위하여 마지막 이동을 하는 고속도로변.더 달리면 급한 생리현상을 해결할 장소가 없다고 도로를 벗어났다. 몽골은 중간 휴게소가 없어서 적당한 곳에 차를 세워서 영역표시를 해야한다.볼일을 마치고 돌아나오던 일행이 흙무더기 위의 풀에 카메라를 들이 대기에 뭔가 싶어서 다가갔더니귀하게 만나는 양귀비과 Hypecoum erectum이다. 2년 전에도 다르항에서 묵었던 숙소 주변에서 꽃봉오리 한개를 달고 있던 딱 한 포기를 만나서 봉오리 한개 달고 있는 모습 때문에 녀석의 정체를 확인하느라 오래 끙끙거렸더랬는데이번에도 이렇게 우연하게 두 포기를 대면하였다. 꽃은 만개를 하였고 선형의 열매까지 달고 있었다.원산지는 시베리아 북서부, 몽골, 중국 중북부, 중국 중남부, 치.. 2025. 7. 20.
몽골식물-붓꽃속 Iris tigridia Bunge 2025. 6. 26. 몽골. 흡수굴에서 나와 이동 중 휴게소 숲을 탐사 하였다.2023년의 우중 탐사 기억으로한 시간 여 탐사하였는데 그 때 보다 개화가 더 빨랐던 듯.작약은 이미 열매가 다달렸고 여로속이 꽃을 피우고 있었다.그 때 보았던 난장이붓꽃을 닮은 붓꽃 녀석도 몇 송이 보인다. 2025. 7. 19.
장백제비꽃(제비꽃과 제비꽃속) 2025. 6. 24. 몽골 하트갈,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을 힘들게 올라야 만날 수 있는 녀석이몽골의 숲에는 지천으로 피고 있다. 2025. 6. 25. 두번 째 장소. 노랑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548 https://qweenbee.tistory.com/8897435 https://qweenbee.tistory.com/8900727 https://qweenbee.tistory.com/8900908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3 https://qweenbee.tistory.com/8905094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5. 7. 19.
몽골식물 - 토끼풀속 Trifolium eximium Stephan ex DC. 2025. 6. 25. 몽골 흡수굴. 이 녀석은 달구지풀 종류거나 두메자운속인가 했더니 삼출엽의 토끼풀속이다. 흡수굴로 이동하는 중 물이 마른 자갈밭에서 만났는데 바닥에 바짝 붙어 있는 모습이 귀여운 녀석이다.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https://qweenbee.tistory.com/8912134 노랑토.. 2025. 7. 19.
몽골식물 -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squarrosum Stephan ex Willd. 2015. 7. 27. 몽골 흡수굴. 이 녀석도 정체를 파악하지 못한 꿩의다리속 녀석이다.잎이 동글동글하고 잎끝이 둔한데.....묏꿩의다리는 어떨까? 열매에 숙존하는 암술 주두의 고부라진 모습과 잎의 형태로 봐서 이 녀석이 묏꿩의다리라 생각이 드는데,소엽병에도 탁엽이 발달하는 점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묏꿩의다리의 분포가 한국과 일본에 한정적이라는 것이 걸린다. 꽃동무 덕분ㅇ에 다른 종을 검색해 보니 Thalictrum squarrosum 로 확인이 된다이 녀석은 시베리아와 중국 중북부, 중국 중남부, 치타 내몽골, 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만주, 몽골 투바, 야쿠티야 에 분포한다 묏꿩은 소탁엽까지 있고 탁엽이 밋밋하며 좁은 난형의 수과 양면에 3~4개의 능선이 있고화주(암술)는 가늘고 현저.. 2025. 7. 17.
백두산식물 -바이칼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열매 Thalictrum baicalense Turcz. 2025. 6. 10. 중국. 황송포 주변.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e.tistory.com/8896940 꿩의다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2 .. 2025. 7. 17.
백두산식물 -바이칼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baicalense Turcz. 2025. 6. 10. 중국. 몇 년 전 점심을 먹는 사이에 이 곳 식당 주변에서 바이칼꿩을 담은 적이 있어서 식사를 마치자 말자 숲을 뒤졌다. 다들 반대편에서 꽃고비에 정신이 팔려 있어서 룸메이트 꽃동무와 함께 편안하게 담을 수가 있었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 2025.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