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수목류4125

줄댕강나무(인동과 댕강나무속) 2021. 5. 24. 강원도.   줄댕강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5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6https://qweenbee.tistory.com/88918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6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3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0https://qweenbee.tistory.com/8900968    https://qweenbee.tistory.com/8902613https://qweenbee.tistory.com/8907320    https://qweenbee.tistor.. 2021. 6. 16.
줄댕강나무(인동과 댕강나무속) 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 Hara 2021. 5. 24. 강원도. 줄댕강나무로 불리던 이 녀석이 2021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댕강나무로 국명이 정리되었다.   줄댕강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5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6https://qweenbee.tistory.com/88918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6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3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0https://qweenbee.tistory.com/8900968    https://qweenbee.tistory.com/8902613https://qween.. 2021. 6. 16.
국경찔레??(장미과 장미속) 2021. 5. 19. 강원도. 국경찔레는 강가 습한 곳에서 자라며 암술대에 털이 있고 붉은색을 띤 꽃을 피우는 찔레이다. 이 정도 연한 붉은색은 찔레에도 나타난다는데...................그냥 찔레로 봐야 할까? 2021. 6. 12.
노랑해당화(장미과 장미속) 2021. 5. 20. 어느 집 꽃을 좋아하는 쥔장이 가꾸어 놓은 정원가던 길에 보고선 오던 길에 차를 세웠다.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3https://qweenbee.tistory.com/8892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3998https://qweenbee.tistory.com/8897794   https://qweenbee.tistory.com/8899333https://qweenbee.tistory.com/8904583생열귀나무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99  https://qweenbee... 2021. 6. 12.
찔레꽃(장미과 장미속)Rosa multiflora Thunb. 2021. 5. 15.. 도청 숲.    2021. 5. 29. 강원도. 생열귀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013https://qweenbee.tistory.com/8892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3998https://qweenbee.tistory.com/8897794   https://qweenbee.tistory.com/8899333https://qweenbee.tistory.com/8904583생열귀나무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99  https://qweenbee.tistory.com/8890352http.. 2021. 6. 11.
복사앵도나무(장미과 벚나무속) 열매 2021. 5. 18. 강원도.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 복사앵도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1 https://qweenbee.tistory.com/8892043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9 https://qweenbee.tistory.com/889565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59 https://qweenbee.tistory.. 2021. 6. 11.
시베리아살구(장미과 벚나무속) 열매 2021. 5. 4. 강원도.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1 https://qweenbee.tistory.com/889904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20 https://qweenbee.tistory.com/890500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48 https://qweenbee.tistory.com/8908617 https://qweenbee.tistory.com/8910129 살구나무.. 2021. 6. 11.
자생의 자도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alicina Lindi. 2021. 4. 25. 강원도. 강원도 양구지역에 자생한다는 자두나무를 한 번은 보고 싶던 차에 기회가 닿았다. 2017년 국립수목원에서 강원도 양구와 인제에 걸쳐 있는 대암산 일대에서 자두나무 기본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발표하였던 종이다. 자생하는 자도나무는 꽃자루가 짧고 굵은 점이 다르다고 한다. 100원짜리 동전 크기만 한 열매는 황록색으로 익는데 현지에서는 이 열매는 '괴타리'라 부른다고 한다. 내 어릴 적에는 자두나무 열매를 '고약'으로 불렀더랬는데 황록색으로 익는 작은 열매였던 것으로 기억이 된다. 자도나무 열매를 '고야' 라는 향명으로도 부르기도 하였단다. '고야'는 '오얏'에서 유래되어 고야로 불려지게 된 게 아닐까 한다. 우리 속담 '오얏나무 아래서는 갓끈도 고쳐 쓰지 말라.. 2021. 6. 11.
둥근잎개야광(장미과 섬개야광나무속) Cotoneaster integerrimus Medik. 2021. 5. 이 녀석도 몇 년만에 다시 보게 되었다.꽃잎은 연 듯 만 듯.그래도 아직까지 꽃을 피워주어 고마운 녀석. 생물자원관에는 개야광나무로, 올해 발표된 표준식물목록에는 둥근잎개야광나무로 정리되어 있다.  둥근잎개야광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1982 https://qweenbee.tistory.com/88937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707    https://qweenbee.tistory.com/8897752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7 둥근잎개야광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6016  https://.. 2021. 6. 9.
참오동나무(현삼과 오동나무속) 2021. 5. 2. 병산서원 둘레길. 허참~!! 올해 담아 놓고 정리하지 않았던 파일을 열어보니 이 녀석도 참오동이네.안동 주변의 오동은 대부분 참오동인가 보다.여태 내가 꽃을 많이 살피지 않아서 못 보았던 것인가 보다.  오동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48 오동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630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1오동나무 겨울눈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55오동나.. 2021. 6. 9.
오동나무(현삼과 오동나무속) Paulownia coreana Uyeki 2021. 5. 12. 전남.  먼 길 가던 길에 도로변 오동나무를 보고 차를 세웠다.혹시나 참오동인가 싶어서 보니 오동나무다. 옛날부터 딸을 낳으면 뜰에 오동나무를 함께 심으라고 했단다.오동나무는 15~20년이면 성목으로 자라는 속성수이고 재질이 단단하여딸이 시집을 갈 때 쯤에는 크게 자란 오동나무를 베어서 장농을 짜서 시집을 보내었다고 한다. 봉황새는 오동나무가 아니면 둥지를 틀지 않는다는 말에서 보듯이오동나무를 봉황이 둥지를 틀 정도로 상서로운 나무로 여겨온 게 틀림 없다.그러니 딸의 혼수로 오동나무 장롱을 함께 보내며 행복을 기원했으리라. 오동나무는 재질이 가볍고 무늬가 좋으며 내습성이 강하다고 한다.내 나이 40대에 가야금을 배운다고 비싼 가야금을 덜컥 구입한 적이 있는데오동나무로 만든 가야금이.. 2021. 6. 9.
오동나무 (현삼과 오동나무속) 열매 2021. 5. 12. 전남.   오동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48 오동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630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1오동나무 겨울눈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55오동나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58 참오동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0  https://qweenbe.. 2021.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