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수목류4125

멀꿀(으름덩굴과 멀꿀속) Stauntonia hexaphylla Decne. 2021. 4. 23. 봄날 남도에 갔다가 임도변에서 만난 멀꿀 암꽃과 수꽃이다. 암꽃 수꽃 으름덩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743 http://blog.daum.net/qweenbee/8889830 http://blog.daum.net/qweenbee/8899202 http://blog.daum.net/qweenbee/8903767 blog.daum.net/qweenbee/8906396 https://blog.daum.net/qweenbee/8907071 으름덩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6780 http://blog.daum.net/qweenbee/8894326 으름덩굴 종자 : http://blog.daum.net/.. 2021. 7. 2.
사스래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꽃 2021. 6. 2. 발왕산. 자작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77 https://qweenbee.tistory.com/8893402 https://qweenbee.tistory.com/8895502 https://qweenbee.tistory.com/8897458 자작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217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5 자작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60 자작나무 단풍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21 부전자작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10635 .. 2021. 6. 30.
먹넌출(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 Berchemia floribunda (Wall.) Brongn. 2021. 6. 23.  충남의 서해안은 올해 첫나들이다.식물들도 봄망학이라 별로 볼게 없었지만 벼과 식물 몇종을 새롭게 만나는 소득이 있었다.지나는 길에 오랜만에 이 녀석의 숲에 들어가 봤다.   산황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63   https://qweenbee.tistory.com/8906442산황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7626   https://qweenbee.tistory.com/8897635   https://qweenbee.tistory.com/889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2679   http.. 2021. 6. 29.
망개나무(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 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Koidz. 2021. 6. 4. 강 건너.   산황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63   https://qweenbee.tistory.com/8906442산황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7626   https://qweenbee.tistory.com/8897635   https://qweenbee.tistory.com/889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2679   https://qweenbee.tistory.com/8902684  https://qweenbee.tistory.com/8905567   https://qweenbee.t.. 2021. 6. 29.
섬다래(다래나무과 다래나무속) Actinidia ruf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2021. 6. 7. 다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7 https://qweenbee.tistory.com/8885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1 https://qweenbee.tistory.com/88939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4 https://qweenbee.tistory.com/8899576 https://qweenbee.tistory.com/8909797 https://qweenbee.tistory.com/8910665 다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9 https://qweenbee.tistory.com/8886051 h.. 2021. 6. 28.
산국수나무(장미과 산국수나무속) 2021. 5. 하순. 나도국수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077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4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3 http://blog.daum.net/qweenbee/8897668 http://blog.daum.net/qweenbee/8902615 http://blog.daum.net/qweenbee/890413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87 나도국수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0412 http://blog.daum.net/qweenbee/8886761 http://blog.daum.ne.. 2021. 6. 26.
산국수나무(장미과 산국수나무속) Physocarpus amurensis (Maxim.) Maxim. 2021. 5. 이 녀석 거의 다 시든 꽃을 한 번 본 적 뿐이라 개화기를 맞추어서 제대로 보고 싶던 차, 선뜻 혼자 나서기 쉽지 않은 외진 산이라 꽃동무 한 사람 수배하여 함께 산에 올랐다. 헌데 이번에는 좀 일러서 꽃이 핀 게 몇 송이 되지 않았다. 이틀 정도 늦었어도 되었는데........ 매년 봄 기온과 강수량 등에 따라 개화 시기가 다르니 그때 그 때 잘 맞출 수가 없다. 나도국수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077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4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3 http://blog.daum.net/qweenbee/8897668 http://blog.daum.net.. 2021. 6. 26.
자생의 자도나무(장미과 벚나무속) 열매 2021. 6. 19. 대암산을 중심으로 인제와 양구지역 일대 산지에 자생하는 자도너무 열매이다. 4월에 꽃이 핀 모습을 담은 적이 있어서 지나는 길에 열매가 궁거워서 들여다 보았다. 현지에서 이 열매를 괴타리라 부르는데 서양자두 보다 아주 작고 100원짜리 동전크기 정도로 황록색으로 익는다고 한다. 분백색 가루로 덮여 있는 열매가 무척 작아서 아주 귀여웠는데 열매가 익을 때 쯤 다시 확인해 봐야겠다. 현재 지름이 1.5cm 정도로 컸다.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 2021. 6. 24.
개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열매 2021. 6. 12. 열매는 매실이나 살구 같은데 잎이 이상하다면서 물어 온 사진을 보니 개살구 열매였다. 한 시간 여 달리면 볼 수 있는 곳이라 좀 더 크기를 기다려서 찾았더니 열매를 어찌나 많이 달고 있던지...... 촬영도 아주 쉽게할 수 있는 낮은 녀석도 있어서 내년이 기대가 된다. 나무가지를 감고 오르는 담쟁이덩굴과 개머루 덩굴을 제거해 주니 녀석이 한결 가벼워 보였다. 이 녀석도 노랗게 익을 때 쯤 다시 찾아가 봐야겟다. 경북 지역에서 본 개살구는 수피에 코르크 발달이 아주 미약하였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6.. 2021. 6. 24.
갈기조팝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Spiraea trichocarpa Nakai 2021. 5. 24. 강원도.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com/8907389   https://qweenbee.tistory.com/8909188 털긴잎조팝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1160 (중국) 털긴잎조팝나무 열매 : h.. 2021. 6. 24.
아구장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Spiraea chartacea Nakai 2021. 5. 24. 강원도. 당조팝나무와 흡사하지만 털이 많은 당조팝나무와 달리 잎과 꽃자루에 털이 없는 녀석이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com/8907389   https://qweenbee.tistory.com/8909188 털긴잎조팝나무 꽃 : https://.. 2021. 6. 24.
박달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어린 열매 2021. 5. 3. 강원도. 수피가 검은 자색이고, 목재가 단단하면서 무겁고, 수령이 오래되면 두껍고 작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잎맥은 9~10쌍으로 잎 가장자리는 잔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선점이 있으며 잎맥 위에 털이 있고 연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5~10mm이고 털이 있다. 자작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77 https://qweenbee.tistory.com/8893402 https://qweenbee.tistory.com/8895502 https://qweenbee.tistory.com/8897458 자작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217 https://qweenbee.tistory... 2021.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