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난초류 모음306

병아리난초 2021. 6. 발자국 별로 나지 않았던 이 곳에서 혼자서 멍 때리고 있었더랬는데........ 그 이후 일주일이 넘도록 아수라장이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2021. 7. 1.
은대난초 2021. 5. 15. 천년숲. 은난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48 http://blog.daum.net/qweenbee/8887960 민은난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80 은난초/은대난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8027 은대난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49 http://blog.daum.net/qweenbee/8890036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51 https://blog.daum.net/qweenbee/8907449 https://blog.daum.net/qweenbee/8905555 꼬마은난.. 2021. 6. 29.
제비난초 2021. 5. 30.  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358 구름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87    https://qweenbee.tistory.com/8898020    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77                          https://qweenbee.tistory.com/8904806       하늘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4091 https://qwe.. 2021. 6. 29.
광릉요강꽃(난초과 복주머니란속) Cypripedium japonicum Thunb. 2021. 5. 3 거의 매일 발발거리며 돌아다니느라고 블로그에 자료를 정리할 시간이 없다. 사흘동안 울릉도에 다녀온 후 이번에도 동해안 석호와 삼척의 산, 설악산을 두곳이나 오르느라고 엿새만에 돌아왔다. 8년 동안 조사활동이 중심이 되어서 보지 못하고 넘겨 버린 녀석들이 많아서 아쉬웠던 터라 올해는 조사활동을 잠시 쉬는 덕분에 얼싸꾸나하고 신나게 돌아다니고 있다. 경비 지출이 만만하지 않지만 식물탐사활동 이외에는 달리 지출되는 게 없으니 크게 개의치는 않는다. 5월 초에 강원도 북단 산골에서 봤던 녀석을 이제사 올린다. 자생지 환경에 가깝게 관리한다고는 하지만 인위적인 곳이라..... 오랜만에 보는 녀석이지만 좀 아쉽다. 자생지에서 한 번 더 보고 싶다 광릉요강꽃 : https://qweenbee.ti.. 2021. 5. 24.
복주머니란(난과 복주머니란속) 2021. 5. 3. 광릉요강꽃과 함께 관리를 받고 있는 녀석이다. 광릉요강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02 https://qweenbee.tistory.com/8907178 복주머니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7179 https://qweenbee.tistory.com/8904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033 https://qweenbee.tistory.com/890532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028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7 https://qwe.. 2021. 5. 24.
자란 2021. 4. 21. 울돌목을 굽어 보며 자란도 피기 시작이다. 2021. 4. 25.
보춘화 2021. 3. 24. 남도. 보춘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54 http://blog.daum.net/qweenbee/889330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34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2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4 https://qweenbee.tistory.com/8906810 https://qweenbee.tistory.com/8906715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4 https://qweenbee.tistory.com/89100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149 http.. 2021. 3. 26.
보춘화 2021. 3. 10. 오랜만에 남녘으로 가니 보춘화도 만나고............... 십여년 전 이곳을 처음 갔을 때는 꽃대를 여러 개 올린 큰 포기들이 참 많았더랬는데............ 보춘화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54 http://blog.daum.net/qweenbee/8895334 http://blog.daum.net/qweenbee/8898972 http://blog.daum.net/qweenbee/8893301 https://qweenbee.tistory.com/8906810 https://qweenbee.tistory.com/8906715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4 https://qweenbee.tis.. 2021. 3. 13.
한국사철란 Goodyera rosulacea Y.N.Lee 2021. 3. 9.  이 녀석 새싹만 매번 보고 개화시에는 찾아올 시간이 없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섬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2    https://qweenbee.tistory.com/8888939https://qweenbee.tistor.. 2021. 3. 11.
한국사철란 2020. 8. 19. 참으로 오랜만에 사철란은 대면한다. 꽃이 이렇게 컸었나?난초류에는 크게 관심이 없다보니 꽃 모양이  로제트사철란과 이렇게 다른 줄고 몰랐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섬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2    https://qweenb.. 2020. 8. 30.
한국사철란 Goodyera rosulacea Y.N.Lee 2020. 7. 5. 강원도. 한국사철란으로 더 알려진 녀석이다.애기사철란과 비슷하나 잎이 땅 위에 붙어 방사상으로 퍼져 나고, 땅속줄기가 짧으며 뿌리 여러 개가 곧게 뻗으므로 구분된다. 생물자원관 포털에는로젯사철란 Goodyera rosulacea Y. N. Lee이 정명으로, 한국사철란 Goodyera coreana S. N. Kim 이 이명으로 정리되어 있다 이 종이 한국특산이 아니라 중국에 있다는 이야기를 오래 전에 들은 적이 있었는데 잊고 있었다.Goodyera rosulacea Y. N. Lee 도, Goodyera coreana S. N. Kim도 이명처리가 될 모양이다. 결국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한국사철란 Goodyera rosulacea Y.N.Lee 으로 정리가 되었다. 사철란 : ht.. 2020. 8. 30.
해오라비난초 Habenaria radiata (Thunb.) Spreng. 2020. 8. 10.  꽃동무로 부터 전해지는 뜻밖의 소식에 습지로 달렸다.이미 많은 사람들이 다녀갔을 거라더니 역시 습지는 논바달처럼 질벅거렸는데나도 발을 내딛기 미안할 정도로 망가져 있었다.  난초 앞의 풀들은 죄다 뽑아 놓아서 자연스럽지 못하고 이 곳에서 녀석을 마지막으로 본게 2012년이었으니그 때도 습지가 하도 망가져서 누군가 캐서 다른 곳으로 옮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진 후 여태 보이지 않았더랬다.이 녀석은 아마도 최근에 누군가 다시 심어 놓은 게 아닌가 싶다.내년에도 후년에도 이 녀석이 있는 동안 또 이 습지의 식물들이 많이 괴로울 거 같다. 2021. 10월 배포된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의하면 Pecteilis radiata (Thunberg) Rafinesque은 이명 처리가 되어 있었다. 풀.. 2020.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