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958

몽고뽕나무(뽕나무과 뽕나무속) 수꽃 Morus mongolica (Bureau) C. K. Schneid 2025. 4. 22. 강원도. 참나무속 조사 때문에 동해의 석회암지대를 돌아댕겼다. 석회암 채취 때문에 패여나간 산허리를 보는 마음이 편하지가 않다. 석회암지대에서 나타나는 식생들이 많이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이 녀석도 꽃을 피우고 있었다. 잎의 톱니가 유난히 날카롭고 잎꼬리가 길게 빠져 있다.석회암 지역에서 흔하게 만난다.열매는 매우 작지만 당도가 아주 뛰어나서 이 녀석 열매 익은 걸 만나면 꽃 따서 먹곤하였다. 돌뽕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40 https://qweenbee.tistory.com/8893641돌뽕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3 https://qweenbee.tistory... 2025. 5. 1.
녹빛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quadriflora (Kük.) Ohwi 2025. 4. 28. 경북. 녹빛사초란 이쁜 이름을 가진 녀석으로 봄날 숲에서 만나는 사초 중에서도 내가 꽤 좋아하는 녀석이다 중부 이북의 숲속에서 자라는 녀석으로 잎은 줄기보다 짧고, 아래쪽의 잎집은 적갈색이다한라사초도 잎집이 적갈색을 띠는 특징이 있어서 사초에 초짜인 내가 착각을 할 뻔 했던 것이다열매의 모양은 많이 달라서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2541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3 https://qweenbee.tistory.c.. 2025. 5. 1.
난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holotricha Ohwi 2025. 4. 28. 경북. 이 녀석은 이제사 화서를 내밀고 있다. 높은 산의 양지바른 바위 위나 바위틈, 등산로 주변에서 자라는 녀석이다.전초에 퍼진 털이 많은 유난히 밝은 잎을 가지고 있다. 가장 위의 작은이삭에는수꽃만 달리고, 긴 대가 있으며, 길이 5~8mm로 원기둥 모양이다. 암꽃으로만 구성된 작은이삭은 대부분 잎이 달리는 아래에서 나고 긴 대가 있다. 길이는 5~10cm이다. 수꽃의 인편은 적갈색, 암꽃의 인편은 짙은 적갈색이고 끝이 짧은 까락으로 된다. 씨방을 둘러싼 과낭은 인편보다 길고 타원형으로 4~5mm이며 아랫부분이 자루처럼 된다.과낭 표면에는 털이 있고 부리는 짧고, 밋밋하다.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5. 1.
한라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2025. 4. 28. 경북. ㅎ제주도에서 발견이 디어 이름을 얻은 고유종이지만 내륙에서도 분포하고 있다. 깊은 산 숲속의 바위 틈이나 습기가 유지되는 반그늘에서 자라는 녀석이다.뿌리줄기는 짧으며 줄기는 모여나고 삼릉형으로 곧추서며 끝이 다소 숙여지기도 한다.잎은 편평하고 밝은 녹색이고 기부의 잎집 은 적자색 또는 짙은 자색으로 부분적으로 갈라진다. 녹빛사초와 헷갈려서 잘못 올릴 뻔 했다. 녹빛사초에 비해 포는 짧은 잎 모양으로 녹색이며 암꽃이 성글게 나고 비늘조각의 까락은 약간 길다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9 https://qweenbee.tistory.co.. 2025. 5. 1.
지리대사초(사초과 사초속) Carex okamotoi Ohwi 2025. 4. 28. 경북. 오랜만에 들른 계곡에는 기대했던 녀석은 이제 싹이 돋아나고 있었다.물가에 한창 개화 중인 지리대사초와 야술놀이를 했다. 잎이 댓잎 모양으로 대사초와 비슷하지만 대사초에 비하여 전초가 가늘고 잎이 좁다. 잎에 털이 없으며, 과포는 단면이 약한 삼각형으로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다. 한국 고유종으로 남부지역과 경북까지 분포하고 있는 걸 확인 했다. 대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28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5https://qweenbee.tistory.com/8895656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9https://qweenbee.tistory.co.. 2025. 5. 1.
솜나물(국화과 솜나물속) Leibnitzia anandria (L.) Turcz. 2025. 4. 28. 경북. 오랜만에 들른 계곡, 강한 산바람이 온 몸의 세포를 치고 달아난다.그래도 작은 햇살 잡은 틈을 놓치지 않고 샷!! 2025. 4. 30.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2025. 4. 28. 경북. 잎이 유독 작고 전초가 자색을 띠는 뫼제비 녀석이다. 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14 https://qweenbee.tistory.com/8908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38 https://qweenbee.tistory.com/8911960 민등뫼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08 ht.. 2025. 4. 30.
자주알록제비꽃 ??Viola tenuicornis W.Becker 2025. 4. 22. 강원도. 동해의 석회석을 채취하는 허리 잘린 산에서 만난 녀석이다.꽃은 흰색이었고 동그란 잎의 무늬가 잘 나타나지 않고 자색을 띠고 있었다. 자주알록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968 https://qweenbee.tistory.com/8908792 https://qweenbee.tistory.com/8906956 https://qweenbee.tistory.com/89069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92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778 .. 2025. 4. 30.
날개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alata B. U. Oh & W. R. Lee 2025. 4. 25. 경북. 포항 주변 산사 숲에 분포하는 이 녀석은 영양의 골짜기에서도 나타난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217https://qweenbee.tistory... 2025. 4. 30.
봉화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bonghwaensis M.Kim & H.Jo 2025. 4. 25. 안동과 봉화에 분포하는 봉화현호색을 경북 동해안 지역에서 만났다. 봉화현호색을 보지 못했다는 꽃동무와 함께 탐사하는 중에 이 녀석을 발견하고 알려 주었더니 이맘 때 매년 들르지만 봉화현호색이 거기 있는 줄도 몰랐다고 한다. 거리가 멀리 떨어진 이곳에 봉화가 분포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도 의미있는 소득이었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 2025. 4. 29.
퉁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Polygonatum inflatum Kom. 2025. 4. 27. 충북. 왕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7https://qweenbee.tistory.com/8899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8052https://qweenbee.tistory.com/890805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3왕둥굴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86 종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0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9https://qweenbe.. 2025. 4. 29.
큰구슬붕이(용담과 용담속) Gentiana zollingeri Fawc. 2025. 4. 27.충북.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https://qweenbee.tistory.com/8900902 https://qweenbee.tistory.com/8901027 https://qweenbee.tistory.com/8901776구슬붕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4472 https://qweenbee.tistory.com/8909966구슬붕이 종자 : https:/.. 2025. 4. 29.
참꽃마리(지치과 꽃마리속) Trigonotis radicans (Turcz.) Steven var. sericea (Maxim.) H.Hara 2025. 4. 27. 충북. 참꽃마리 : 덩굴을 길게 벋지만 꽃차례에 잎이 한 개씩 나오면서 피운다. 전체에 눌린 털이 있다.덩굴꽃마리 : 줄기 끝에 꽃차례가 형성되어서 잎이 달리지 않고 말려 있는 꽃차례에 꽃들이 성기게 달린다 ㅋㅋㅋ....확인도 없이 관찰도 없이 아무 생각 없이 덩굴꽃마리로 올렸다가 참꽃마리로 수정한다.참꽃마리가 학명 상 거센털꽃마리의 변종이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 2025. 4. 29.
각시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Asarum misandrum B.U.Oh & J.G.Kim 2025. 4. 27. 충북. 이 시기 이 곳의 다른 녀석들은 입을 앙다물고 있는데바위가 받은 열기 덕분에 유독 요 녀석들만 개화를 해 준다. 족도리풀: 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1https://qweenbee.tistory.com/88916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37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6 https://qweenbee.tistory.com/8897354 https://qweenbee.tistory.com/8903822 h.. 2025. 4. 29.
무늬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Asarum chungbuensis (C.S.Yook & J.G.Kim) B.U.Oh 2025. 4. 27. 충북. 바위절벽 주변을 좋아하며 개족도리풀 처럼 잎 표면에 무늬가 있거나 없기도 하며전초와 꽃이 작고 악통에 백색 잔점이 나타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좀 늦은 시기라 잎이 너무 자라서 좀 열쩍다. 족도리풀: 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1https://qweenbee.tistory.com/88916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37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6 https://qweenbee.tistory.com/8897354.. 2025.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