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4.
몇 년 전 부모님 산소 아래서 고깔닭의장풀과 이 녀석을 만나고 어이가 없었더랬다
제주도에서나 만나던 녀석이 내륙 깊은 야산 골짜기 경작지 주변에 나타났으니 말이다.
여태껏 야생화 동호인들 사이에서 제주사마귀풀이라(가칭) 불려오던 녀석은 흰색 꽃을 피우고 수술 기부의 털이 흰색인데
이 녀석은 화색이 자색을 띠고 꽃밥주머니는 흑청색, 수술 대에 짙은 자색의 퍼진 털을 가지고 있다.
사마귀풀에 비하여 총상꽃차례에 작은 꽃이 많이(2~10개) 달리고 꽃차례자루가 길고 가지를 많이 친다.
수술이 3개인 사마귀풀에 비하여 수술이 2개이고 꽃밥이 짧으며 아래로 휘어져 있다.
수술대의 자색 털은 일정 간격으로 돌기(마디)같은 게 나 있다.
제대로 살펴 보고 정리하려다가 표준식물목록에서 학명을 찾으려는데 목록에 들어 있지 않았다.
어라? 싶어서 한반도 외래식물 도감을 확인해도, 국립수목원과 생물자원관 한반도생물다양성 포털을 확인해 봐도 등록되지 않았다.
당연히 보고 된 줄 알았던 터라 적이 당황스러웠는데 여태 미기록 상태였던 것이었다.
해서 중국식물지 사마귀풀속을 뒤져서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란 학명을 찾아 내고
수목원 담당 연구사한테 연락을 하니 이 녀석을 연구 중이라 내년 쯤 논문을 쓰려고 한단다.
내륙에서도 이미 정착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는 국명이 '제주사마귀풀'은 적당하지 않을 것 같고
꽃과 열매가 작은 크기로 봐서는 '각시사마귀풀'이나 '다화사마귀풀' 어울리겠다,
헌데 종소명 nudiflora 는 제주왕벚나무,왕닭의장풀의 종소명에 들어 있는 것으로 봐서 오히려 크다는 의미인 것 같다
보통 11시 이후에 개화가 되는데 개화 시간이 날씨가 맑고 더운 날과 흐린 날은 차이가 좀 있다
흐린 날은 12시가 넘어서야 꽃잎을 열기 시작한다.
이 날도 한 무더기는 12시 쯤 부터 피기 시작하였고 한 무더기는 거의 1시 쯤 개화가 시작되었다.
암술대 끝이 위로 휘어져 있고 수술대는 아래로 휘어져 있다.
수술 2개, 헛수술 3개, 암술과 수술의 길이가 같다
털에 마디가 있고 마디 부분이 돌기처럼 부풀어 있다
가칭 제주사마귀풀 (무르다니아 누디플로라) : 수술 2개![]() |
사마귀풀 : 수술 3개, 꽃밥이 길다![]() |
![]() |
![]() |
꽃차례는 총상이다
잎집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엽초 가장자리의 털
닭의장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2586 http://blog.daum.net/qweenbee/8886578
http://blog.daum.net/qweenbee/8888680 http://blog.daum.net/qweenbee/8898372
http://blog.daum.net/qweenbee/8904427
닭의장풀(무늬): http://blog.daum.net/qweenbee/8888950
좀닭의장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8263 http://blog.daum.net/qweenbee/8894485
http://blog.daum.net/qweenbee/8902688 http://blog.daum.net/qweenbee/8902775
http://blog.daum.net/qweenbee/8903348 http://blog.daum.net/qweenbee/8899590
https://blog.daum.net/qweenbee/8906043
애기닭의장풀 : http://blog.daum.net/qweenbee/8904426 http://blog.daum.net/qweenbee/8894486
blog.daum.net/qweenbee/8905931
고깔닭의장풀 : http://blog.daum.net/qweenbee/8901641 http://blog.daum.net/qweenbee/8901642
http://blog.daum.net/qweenbee/8892587 http://blog.daum.net/qweenbee/8904337
http://blog.daum.net/qweenbee/8904425 https://blog.daum.net/qweenbee/8905954
https://blog.daum.net/qweenbee/8905955 https://blog.daum.net/qweenbee/8909262
고깔닭의장풀 폐쇄화 : http://blog.daum.net/qweenbee/8904340
고깔닭의장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9265
덩굴닭의장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6652 http://blog.daum.net/qweenbee/8888858
http://blog.daum.net/qweenbee/8900373 http://blog.daum.net/qweenbee/8901643
자주달개비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95 https://blog.daum.net/qweenbee/8905780
나도생강 : http://blog.daum.net/qweenbee/8886982 http://blog.daum.net/qweenbee/8894208
http://blog.daum.net/qweenbee/8897968 http://blog.daum.net/qweenbee/8898175
나도생강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355 http://blog.daum.net/qweenbee/8903285
나도생강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8896924
사마귀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6718 http://blog.daum.net/qweenbee/8886836
http://blog.daum.net/qweenbee/8900185 http://blog.daum.net/qweenbee/8901541 (흰)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0
사마귀풀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900042
가칭 제주사마귀풀 : https://blog.daum.net/qweenbee/8909261
가칭 제주사마귀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9266
'들꽃공부방 > 신종 미기록종 연구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막갓(배추과) Brassica tournefortii(Coincya tournefortii) (4) | 2022.10.12 |
---|---|
미기록종 -긴포마편초(마편초과 마편초속) Verbena bracteata Cav. ex Lag. & Rodr. (0) | 2022.10.12 |
어수리아재비 Tordylium maximum L. (0) | 2022.04.04 |
모래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pallida (Dumort.)] Crep. (0) | 2022.02.02 |
통조화,완도술꽃나무(통조화과 통조화속) Stachyurus praecox Siebold & Zucc. (0) | 2022.01.27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