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 6. 강원도.
족제비쑥과 개꽃은 국화과이면서 설상화가 없거나 흔적적으로 있어서 두화의 모습이 비슷하고
잎이 선형으로 갈라진 모습이 매우 비슷하다.
족제비쑥은 잎의 길이가 짧고 두화에는 설상화가 없으며, 개꽃은 선형의 열편 길이가 길고 작은 설상화가 있다.
두화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설상화가 없고 통상화로만 이루어지며, 담황색 또는 황록색으로 지름 6-8㎜이다.
총포편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5-7㎜, 같은 크기이고 2줄로 겹쳐서 배열하며, 녹색이고 넓은 백색 막질이 가장자리에 있다.
족제비쑥의 잎은 개꽃의 잎에 비하여 열편이 조밀하고 짜박짜박한 느낌을 준다.
잎자루가 없으며 잎새는 윤곽이 도피침형 또는 피침형으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이며, 폭 0.3-0.6㎜이고 엽축 기부가 팽대해진다.
족제비쑥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12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4
https://qweenbee.tistory.com/8899374 https://qweenbee.tistory.com/8904098
https://qweenbee.tistory.com/8911555
족제비쑥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9375 https://qweenbee.tistory.com/8903857
꽃족제비쑥 : https://qweenbee.tistory.com/8901043 https://qweenbee.tistory.com/8902560
https://qweenbee.tistory.com/8902637
꽃족제비쑥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3856 https://qweenbee.tistory.com/8905147
카밀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793
유럽단추쑥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5252
https://qweenbee.tistory.com/8902013 https://qweenbee.tistory.com/8908449
유럽단추쑥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8452
개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5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3
https://qweenbee.tistory.com/8901064 https://qweenbee.tistory.com/8902762 https://qweenbee.tistory.com/8904094 https://qweenbee.tistory.com/8904890
개꽃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7
길뚝개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041 https://qweenbee.tistory.com/8901044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2 https://qweenbee.tistory.com/8903855
https://qweenbee.tistory.com/8904089
개꽃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901042
개꽃아재비 어린싹:
길뚝개꽃/개꽃아재비/꽃족제비쑥 : https://qweenbee.tistory.com/8901046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름나물 열매 (0) | 2013.06.28 |
---|---|
개꽃(국화과 개꽃속) (0) | 2013.06.27 |
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0) | 2013.06.27 |
박새(백합과 여로속) (0) | 2013.06.27 |
꽃고비(꽃고비과) (0) | 201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