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과8 몽골식물- 꿀풀과 속단속 Phlomoides tuberosa Moench 2023. 7. 2. 탐사 8일차 오후. 바위산 탐사를 마친 우리를 실은 푸르공은 다시 초지로 난 길을 달렸다.언덕을 넘고 완만한 계곡부를 달리면서 갈림길이 꽤 있었던 듯.서너 차례 가던 방향을 돌리기를 한 후 높은 언덕에 올라서 차를 멈추었다. 푸르공 기사가 멀리 가물거리는 곳을 손으로 가리킨다.통역가이드가 내일 방문할 후스타이국립공원 입구라고 한다.언덕 위에서 뒷차를 기다리는 동안 아래로 내려 가서 물골 주변 초지를 살피는데 속단속 Phlomoides tuberosa 녀석이 평원을 배경으로 우뚝 서서 멋진 풍광을 만들어 준다.소란스러운 소 울음 소리에 고개를 들어보니 멀리서 길을 따라 소떼들이 줄지어 오고 있었다.장괸이다!!이 광경을 놓칠세라 바쁘게 셔터를 누른다. 바바바바!! 속단 : https:/.. 2025. 2. 3. 털쉽싸리(꿀풀과 쉽싸리속) 어린 싹 2022. 6. 3. 경북. 가뭄에도 싱싱한 모습으로 자라고 있어서 다행이다. 털쉽싸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0652 http://blog.daum.net/qweenbee/8890535 http://blog.daum.net/qweenbee/8888570 http://blog.daum.net/qweenbee/8889012 http://blog.daum.net/qweenbee/8890880 http://blog.daum.net/qweenbee/8892185 http://blog.daum.net/qweenbee/8892444 http://blog.daum.net/qweenbee/8902999 http://blog.daum.net/qweenbee/8894362 http:.. 2022. 6. 12. 개차즈기(꿀풀과 개차즈기속) 2020. 7. 5. 강원도. 둥근배암차즈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221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575 둥근배암차즈기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1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99 https://qweenbee.tistory.com/8897374 https://qweenbee.tistory... 2020. 7. 19. 곽향/개곽향/덩굴곽향/섬곽향 꿀풀과 곽향/개곽향/섬곽향/덩굴곽향 곽향. 2012. 8. 2. 영월. ”이게 덩굴곽향이라고요?“ 아마도 처음 덩굴곽향을 접한 사람들은 이런 반문을 한 번 쯤 했을 것이다. ‘덩굴’이란 접두어 때문에 당연히 덩굴성일 거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헌데 덩굴곽향은 덩굴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직립하는 줄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땅속줄기가 덩굴처럼 길게 벋어나가며 마디에서 새 개체를 만들어서 군락을 이룬다. 그래서 ‘덩굴’이란 접두어를 달게 되었는데, 그렇다고 곽향속 식물 중에서 땅속줄기를 가진 종이 덩굴곽향만은 아니다. 습기가 많은 초지나 논두렁, 물도랑 주변에 흔하게 볼 수 있는 개곽향도 땅속줄기를 벋어서 개체 번식을 하여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개’란 접두어가 식물 이름에 붙을 때는 본래와 비슷하지.. 2019. 2. 11. 애기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2018. 2. 24. 제주. 보고된지 얼마 되지 않은 녀석이다. 멕시코 원산으로 2016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겨울호를 통하여 보고되었다 국내 자생하는 석잠풀속 다른 분류군에 비하여 전초 크기가 작고 털이 밀생하며 소화가 6-12개의 소화가 마디에 돌려나는 점이 구분이 된다. 석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1 http://blog.daum.net/qweenbee/89004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893 https://qweenbee.tistory.com/8904910 https://qweenb.. 2018. 3. 3. 털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2017. 8. 4. 중국. 제비동자꽃 무리를 발견하고 차를 멈추게 해 놓고는 제비동자 옆에 작게 서 있는 이 녀석에게 꽂혀서 정작 제비동자는 뒷전으로 밀려 나 버렸다. ㅎㅎ.. 몽골에서 이 녀석과 비슷한 석잠풀속 녀석을 담아 온 적이 있는데 털석잠풀로 추정은 하지만 또 다른 종일 수가 있어서 이름 붙이기 조심스러웠더랬다. 이 녀석도 털석잠풀로 봐야 할지 확신을 하지 못하는데 그래도 털석잠풀 외에 달리 정리할 녀석이 없다. 석잠풀 : 줄기의 마디를 제외하고는 전초에 털이 없다 개석잠풀 : 줄기 능선에 하향의 털이 있고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 면 맥 위에 털이 있다 털석잠풀 : 줄기에 긴 강모가 있고 잎 양면에도 털이 있다 우단석잠풀 : 엽병이 없거나 매우 짧고 잎 표면에 털이 다소 있고 뒷면에 부드러.. 2017. 8. 15. 유럽광대나물(꿀풀과 광대나물속) Lamium purpureum L. var. hybridum (Vill.) Vill. 2017. 3. 19. 달포 전에 갔을 때는 아직 추위를 타고 있어서 위축된 모습이더니 봄볕을 받아서 한창 신나게 꽃을 피우고 있었다.광대나물과 자주광대나물의 교잡종으로 추정하기도 하는데 자주광대나물의 변종으로 국내에 2011년 보고되었다 광대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0 https://qweenbee.tistory.com/8896992 https://qweenbee.tistory.com/8899312https://qweenbee.tistory.com/8900797광대수염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5.. 2017. 3. 20. 애기석잠풀(꿀풀과) 종자 2017. 2. 3. 제주. 석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1 https://qweenbee.tistory.com/89004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893 https://qweenbee.tistory.com/8904910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2 석잠풀속 : https://qweenbee.tistory.com/8902777 털석잠풀(중국)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95 https://qweenbee.tistory... 2017. 2.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