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제주도 식물2984

제주대극이라 부르던 흰대극 (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esula L. 2025. 5. 8. 제주. 해안 올레길을 무턱대고 들어갔더니 흰대극이 현무암 바위지대를 온통 메우고 있었다. 육지의 흰대극보다 키가 작고 줄기 잎이 더 넓고 끝이 주걱형으로 둔하며 잎 마디가 더 촘촘하고가지를 많이 분지하여 꽃이 많이 펴서 제주대극이라 분류되었다가 흰대극의 이명으로 정리가 되었다. 낭독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2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926낭독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1 https://qweenbee.tistory.com/8908824 .. 2025. 6. 17.
아그배나무(장미과 사과나무속) Malus toringo (Siebold) Siebold ex de Vriese 2025. 5. 11. 제주. 팥배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4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0245팥배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19 https://qweenbee.tistory.com/88870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214 https://qweenbee.ti.. 2025. 6. 6.
눈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2025. 5. 11. 제주. 제주조릿대가 산지 숲 가장자리를 점령하여서 눈범꼬리 녀석이 제대로 살지를 못하고 밀려나고 있다. 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83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4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7 https://qweenbee.tistory.com/8905744범꼬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687 눈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 2025. 6. 6.
솔비나무(콩과 다릅나무속)새순 Maackia fauriei (H.Lév.) Takeda 2025. 5. 11. 제주.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다릅나무속 녀석이다.새순이 올라오는 모습이 사실 꽃보다 더 이쁘다. 고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11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https://qweenbee.tistory.com/88979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4930고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7 https://qw.. 2025. 6. 6.
덧나무(인동과 딱총나무속) Sambucus racemosa L. subsp. sieboldiana (Blume ex Miq.) H.Hara 2025. 5. 11. 제주. 제주도와 남해의 섬에 분포한다.잎은 마주나기 하며 홀수깃꼴겹잎이고, 소엽은 2~4쌍이며 거꿀피침형이고 점첨두 또는 첨두. 꽃 길이 3~4㎜로 연한 황백색이고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이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붉은색이고 꽃대는 길고, 입상의 돌기가 있다. 말오줌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0 https://qweenbee.tistory.com/8902226https://qweenbee.tistory.com/89037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67 https://qweenbee.tistory.com/8910982 https://qweenbee.tistor.. 2025. 6. 6.
꼬마냉이(배추과 황새냉이속)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2025. 5. 11. 제주. 10년 전에 두어 번 보고 오랜만의 만남이라 무지 반가웠던 녀석이다.이 번 제주행의 가장 큰 목적이 바로 이 녀석이었다.그 동안 두어 번 찾아 가 봤지만 개체 수가 적어서 찾지 못하고 시기가 맞지 않아서 못 봤던 녀석이다. 워낙 사람들이 많아서 차분하게 담지 못한 게 아쉽다. 어두운 숲에서 급하게 찍다보니 대부분 촛점도 나가고 그림도 안 된다. 많은 사람이 몰리다보니 촬영이 여의치 않다. 사람들 만나기 위해서 참여는 했지만 나흘동안 제대로 찬찬히 볼 시간이 없다. 내가 혼자 다니는 이유가 이 때문이기도 하다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 2025. 6. 1.
흰색의 각시갈퀴나물(콩과 나비나물속) Vicia dasycarpa Ten. 2025. 5. 10. 제주. 갈퀴나물 : 5~8쌍의 소엽, 탁엽은 3각상 부채형으로 윗머리에 1-2개의 톱니가 있다. 덩굴손 2~3개등갈퀴나물 : 8~12쌍의 피침형, 선형의 소엽, 탁엽은 2개로 갈라지고 피침형이다. 측맥과 주맥 각도 30˚, 덩굴손은 여러 개로 갈라짐큰등갈퀴 : 2~5쌍의 난형 소엽(뒷면 맥이 도드라짐), 부채모양 탁엽, 끝 뾰족 톱니 있음, 하부 잎은 덩굴손 없음가는등갈퀴 : 5~13쌍의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 소엽,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함. 덩굴손 있음각시갈퀴나물 : 10쌍 내외의 소엽, 탁엽은 선형이며 길이 6-8㎜로 기부에 1개의 거치가 있기도 함. 덩굴손 3-5개넓은잎갈퀴 : 5~8쌍의 소엽(연한 녹색 연모), 측맥은 적고 주맥과 예각(45-60˚)을 이룬다. 탁엽은 .. 2025. 5. 28.
각시갈퀴나물(콩과 나비나물속) Vicia dasycarpa Ten. 2025. 5. 12 동네. 신도시 도로변에도 이 녀석이 자리 잡고 도로를 꽃밭으로 만들고 있다. 덩굴손탁엽 등갈퀴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8148 큰등갈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85 https://qweenbee.tistory.com/8894586https://qweenbee.tistory.com/8896360 https://qweenbee.tistory.com/8896482https://qweenbee.tistory.com/889648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8https://qweenbee.tistory.com/8899945 https://qweenbee.tist.. 2025. 5. 28.
아욱메풀(메꽃과 아욱메풀속) Dichondra micrantha Urb. 2025. 5. 10. 제주. 바닥에 바짝 붙어 있는 콩알만한 덩굴성 초본이라 그 꽃 또한 쌀알보다 작으니이 녀석 꽃을 담으려면 꽤 고생 좀 해야 한다. 아욱메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26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8 https://qweenbee.tistory.com/8912033아욱메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75 https://qweenbee.tistory.com/8901183 병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74 https://qweenbee.tistory.com/8895757https://qw.. 2025. 5. 26.
솔잎미나리(산형과 솔잎미나리속) Apium leptophyllum (Pers.) F. Muell. ex Benth. 2025. 5. 10. 잎이 실처럼 갈라진 귀화식물로 제주도 전역에 퍼져 있다. 꽃은 먼지 처럼 작아서 핀 건지 안 핀 건지 맨눈으로 확인이 어려울 정도이다. 미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15 https://qweenbee.tistory.com/8895147https://qweenbee.tistory.com/8901231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3미나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6 반디미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93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176https://qweenbee.ti.. 2025. 5. 26.
털마삭줄(협죽도과 마삭줄속)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2025. 5. 10. 제주. 마삭줄 : 꽃밥 끝이 화관부 입구까지 닿고 암술대가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잎 길이 2-5cm, 폭 1-3cm, 꽃의 크기가 2.5~3.0cm 털마삭줄 : 꽃밥은 화통 후부에 이르지 못하며 암술대는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거나 짧다.꽃받침은 길이 5~6mm이고 열편은 끝이 둔하며 윗부분이 퍼지고 백색털, 소화경 화관 속에도 털. 잎 길이 4~8cm, 나비 2~5cm백화등 : 꽃밥 끝이 화관부 입구까지 닿고 암술대가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잎 길이 2-5cm, 폭 1-3cm, 꽃의 크기 3.0cm 잎 뒷면 잔털이 제대로 촬영되지 못했다, 털마삭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86 https://qweenbee.tist.. 2025. 5. 26.
모래지치(지치과 모래지치속) Heliotropium sibiricum (L.) J.I.M.Melo 2025. 5. 10. 제주해안. 해안 현무암 암반 틈 사이에 터를 잡고 용케도 꽃을 피우고 산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https://qweenbee.tistory.com/8912068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https://qweenbee.tistory.c.. 2025.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