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백두산 식물681

백두산식물 - 가는잎바꽃(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Aconitum macrorhynchum Turcz. ex Ledeb. 2023. 9. 8. 중국 고성촌. 투구꽃속은 기재문과 맞아들어가지 않는 중간형이 많이 나타나서 정말 동정하기 힘들고 학명도 자주 바뀌어서 혼란스럽다. 현장에서 가는돌쩌귀로 이야기되어서 살펴보니 2011년과 2019년 노호배와 선봉령에서 만났던 녀석들을 가는돌쩌귀로 정리해 두었는데 고성촌 녀석은 잎이 선형으로 매우 가늘게 갈라지고 열편의 폭이 일정하여 달라 보인다. 이우철 도감에는 가는돌쩌귀(참줄바꽃) Aconitum villosum Rchb.= Aconitum neotortuosum Nakai 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의 학명은 가는돌쩌귀 Aconitum villosum Rchb. 참줄바꽃 Aconitum neotortuosum Nakai 으로 정리되어 있다. 가는돌쩌귀 기재문을 살펴보.. 2023. 12. 24.
백두산식물 - 가는잎바꽃(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 Aconitum macrorhynchum Turcz. ex Ledeb. 2023. 9. 12. 백두산 습지. 첫 탐사지에서 보던 가는잎바꽃이 이 습지에서도 함께 어우러지고 있었다. 잎이 깊이 완전하게 갈라지고 열편이 좁은 선형으로 너비가 일정하다. 노랑투구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26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46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02 https://qweenbee.tistory.co.. 2023. 12. 24.
백두산식물 - 자주황기(콩과 황기속) Astragalus dahuricus (Pall.) DC. 2023. 9. 8. 중국 고성촌.  자주개황기에 비해서 곧게 자라며 전체에 흰 털이 있고, 꽃이 자주색이며, 열매는 선형이고 다소 굽어지며 길이 2~2.5cm로 보다 길다. 한반도 함경남·북도, 평안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시베리아, 몽골,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국내 표본 채집지가 가리왕산, 고령, 화천이던데 동정이 제대로 되었을까? 자주황기 6~12잎, 줄기, 꽃차례 열매 등에 퍼진 흰털이 많다. 황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766https://qweenbee.tistory.com/8892074     https://qweenbee.tistory.com/8892.. 2023. 12. 24.
백두산식물 - 나도황기 (콩과 묏황기속) Hedysarum vicioides Turcz. var.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 2023. 9. 11. 북백두 언저리. 횡기속 염주황기란 녀석은 묏황기속 나도황기의 이명으로 처리 되었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4종의 묏황기속 분류군이 있다. 두메나도황기란 녀석을 검색해 보니 몽골 초지에서 만났던 녀석의 한 종인 것 같다.. 묏황기 Hedysarum alpinum L. 두메나도황기 Hedysarum setigerum Turcz. ex Fisch. & C.A.Mey 나도황기 Hedysarum vicioides Turcz. var. japonicum (B.Fedtsch.) B.H.Choi & H.Ohashi 털나도황기 Hedysarum vicioides Turcz. f. pilosum (Ohwi) Kitag. 작은잎 4~5쌍의 깃꼴겹잎, 길이 10~15cm, 노란색 총상꽃차례, 열매는.. 2023. 12. 24.
큰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grandiflora Fisch. 2023. 9. 12. 습지. 대송이만큼 큰 송이풀속 녀석이다. 가지를 치지 않고 곧게 자라는 대송이풀에 비하여 줄기 위쪽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2019년 7월에 만난 큰송이풀이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 2023. 12. 22.
백두산식물 - 대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sceptrum-carolinum L. 2023. 9. 12. 습지. 여름에 왔더라면 개화한 모습을 멋지게 만났을 텐데....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cm쯤이고, 가지를 치지 않는다. 뿌리잎은 밑에서 모여난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다.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유럽 북부에 분포한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 2023. 12. 22.
백두산식물 - 진퍼리용담(용담과 용담속)일까? Gentiana scabra f. stenophylla (H. Hara) W. K. Paik & W. T. Lee 2023. 9. 12. 이도습지. 습지에서 반갑게 만나는 진퍼리용담이라고 이야기는 했는데.... 진퍼리용담은 용담에 비하여 꽃 길이가 3.5cm 작고 잎몸은 아주 좁은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3~6cm, 폭 5mm 쯤으로 매우 좁고 잎맥이 하나 라는 특징도 있다. 헌데 이 녀석은 잎 폭이 1cm 정도로 넓었으며 약하게 측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꽃의 크기도 과남풀처럼 커서 진퍼리보다는 과남풀에 더 가깝다는 느낌이었다. 구슬붕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6 https://qweenbee.tistory.com/8891975 https://qweenbee.tistory.com/888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86517 https://.. 2023. 12. 21.
백두산식물 - 함경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arcticus L. 2023. 9. 11. 백두산 언저리 습지. 습지에는 테크가 높게 설치되어 있어서 바닥으로 오르내리기가 쉽지 않다 벌써 몇 번을 오르내리느라 진이 빠져서 열매나 꽃이 있었다면 내려갔을텐데 위에서 내려다 보고 몇 컷 늘렀다. 고산지대의 저습지에서 자라는 초본성 낙엽 반떨기나무이다. 줄기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시가 없다 턱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톱니가 없으며 기부가 잎자루에 붙어 있다. 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4년 전에 7월에 만났던 꽃과 열매이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 2023. 12. 20.
백두산식물 - 멍덕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idaeus L. var. microphyllus Turcz. 2023. 9. 11. 북백두 언저리. 아침 시간 탐사 끝무렵 숙소 주변에서 산딸기속 녀석이 눈에 들어온다. 나무딸기인가 싶어서 들여다 보니 멍덕딸기였다. 국내에는 높은산 능선이나 바위지대, 너덜지대 주변에서 드물게 만나는데. 개체가 좀 왜소하고 잎도 크지 않지만 이 곳의 녀석은 일반적인 모습이 아니라 잎도 크고 세력이 좋아서 처음에는 긴가민가 하였다. 3~5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겹잎 어린가지에는 날카로운 가시와 샘털이 있다 잎의 중축과 잎자루에 부드러운 털과 가시가 있는데 이 개체는 가시가 많이 발생하지 않았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 2023. 12. 20.
백두산식물-잎갈나무(소나무과 잎갈나무속) 열매 Larix gmelinii (Rupr.) Kuzen. var. olgensis (A.Henry) Ostenf. & Syrach 2023. 9. 8. 중국 길림성 일대. 소나무과인데 잎이 낙엽지는(잎이 가는) 녀석이라 잎을 갈아치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 조림된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잎 뒷면이 녹색이고 구과 열매의 종린이 젖혀지지 않고 구과의 수가 적고 구과 열매 크기가 더 작다.구과의 종린이 젖혀지지 않는다. 잎갈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911131잎갈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1   잎갈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0636 개잎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60개잎갈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276 일본잎.. 2023. 12. 20.
백두산식물 -부전자작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Betula ovalifolia Rupr. 2023. 9. 8. 중국 동부 습지 주변. 백두산 일대 하천가나 습원에서 볼 수 있다. 2m 까지 자라는데 습지에서 내 키높이 정도 개체를 관찰하여서 촬영하기는 수월하였다. 측맥이 5~7쌍 길이 3~3.5cm 정도의 광타원형의 작은 잎을 달고 있는데 처음에는 잎 양면에 털이 있지만 점차 탈락하여 맥 위에만 털이 남는다. 좀자작나무에 비하여 어린가지에 부드러운 잔털이 밀생하는데 이 녀석을 좀자작나무의 생태변이로 보기도 한다, 한반도 북부지방 양강도, 함경남도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북해도, 중국(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좀자작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다.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 불규칙한 잔톱니 5~7쌍의 측맥 열매 과수 길이 1.5~3cm 소견과와 과포 수꽃차례.. 2023. 12. 20.
백두산식물- 배암나무(인동과 산분꽃나무속) Viburnum koreanum Nakai 2023. 9. 9.  북백두 언저리. 북백두의 이른 아침 시간이면 숙소 주변을 조심스레 탐사하는 재미가 쏠쏠하다.9월의 북백두 언저리 숲에는 꽃이라곤 거의 안 보이고 열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7월에는 난초를 보러 들르던 장소에서 몇 알 달린 배암나무 붉은 열매를 겨우 보고 숙소로 돌아가던 중길 반대쪽 숲을 뒤지는데 배암나무 군락을 찾아내는 대박을 쳤다 어스름한 새벽 시각에 올라가면서 넓은 잎을 보고 혹시 배암나무 같은데?? 하면서돌아올 때 확인해 봐야지 했던게 딱 맞아들어갔던 것이다. 앵글러Caprifoliaceae (인동과)Viburnum (산분꽃나무속)APG ⅣViburnaceae (산분꽃나무과)[정명] Viburnum koreanum Nakai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 2023.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