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백두산 식물637

제비동자꽃(석죽과 동자꽃속) 2017. 8. 4. 서백두와 왕지 탐사를 마치고 숙소로 향하던 길에서 만난 이쁜 녀석이다 국내에서도 드물게 만나는 녀석이지만 그래도 무리지어 있는 모습에 모두 셔터를 누르느라고 정신이 없다 동자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8644 http://blog.daum.net/qweenbee/8894200 http://blog.daum.net/qweenbee/8892389 ht.. 2017. 8. 16.
털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2017. 8. 4. 중국. 제비동자꽃 무리를 발견하고 차를 멈추게 해 놓고는 제비동자 옆에 작게 서 있는 이 녀석에게 꽂혀서 정작 제비동자는 뒷전으로 밀려 나 버렸다. ㅎㅎ.. 몽골에서 이 녀석과 비슷한 석잠풀속 녀석을 담아 온 적이 있는데 털석잠풀로 추정은 하지만 또 다른 종일 수가 있어서 이름 붙이기 조심스러웠더랬다. 이 녀석도 털석잠풀로 봐야 할지 확신을 하지 못하는데 그래도 털석잠풀 외에 달리 정리할 녀석이 없다. 석잠풀 : 줄기의 마디를 제외하고는 전초에 털이 없다 개석잠풀 : 줄기 능선에 하향의 털이 있고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 면 맥 위에 털이 있다 털석잠풀 : 줄기에 긴 강모가 있고 잎 양면에도 털이 있다 우단석잠풀 : 엽병이 없거나 매우 짧고 잎 표면에 털이 다소 있고 뒷면에 부드러.. 2017. 8. 15.
금방망이(국화과 금방망이속) 2017. 8. 3. 우슬린. 지금 시기가 금방망이 개화 절정기인 것 같다. 제주도 윗세오름과 서해 일부 섬 지역에 자생한다는 녀석을 이번에 원 없이 보고 왔다. 삼잎방망이에 비하여 잎은 단일엽이고 불규칙한 톱니가 거친 느낌을 준다. 금방망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6 https://qweenbee.tistory.com/89012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874 (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04.. 2017. 8. 15.
삼잎방망이(국화과 방망이속) Senecio cannabifolius Less. 2017. 8. 3. 우슬린. ㅎ...난 이 녀석의 잎이 세 갈래로 갈라져서 삼잎 즉 3갈래 잎이라 부르는 줄 알았더니 잎이 삼베를 짜는 삼 잎처럼 장상으로 갈라진 녀석이었다. 사실 장상이라기 보다는 깃꼴로 갈라졌는데 펼쳐진 모양이 손바닥 모양으로 보이긴 하다 우슬린고개 금방망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6 https://qweenbee.tistory.com/89012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874 (몽골) https://qwee.. 2017. 8. 15.
둥근잎눈까치밥나무(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2017. 8. 5. 닷새 째 날 이번 백두산 탐사의 가장 중요한 식물인 유령난을 찾아서 원시의 숲을 찾았디. 길도 없는 숲이라 절대로 한 눈을 필거나 잠시라도 개별 행동을 하다가는 일행을 잃어 버릴 수 있다는 말에 바짝 긴장을 하고 주변에 스쳐가는 식물들은 그냥 보고 지날 수 밖에 없었다. 오랜 시간 숲을 뒤진 끝에 몇 개체 유령난을 찾긴 했는데 결과적으로는 예년에 비하여 개화 시기가 많이 늦어졌다는 것이다. 푹신한 이끼 바닥은 이동에 체력 소모를 배가 시켰지만 따라 가는 와중에도 숲 바닥을 스캔하면서 눈까치밥나무 열매를 찾았는데 앞 쪽에서 붉은 열매를 찾아 놓아서 반갑게 담을 수가 있었다. 잎이 얕게 갈라진 모습으로 결각 끝이 둔하게 생겼는데 까막바늘까치밥나무 처럼 줄기가 바닥을 기는 포복성이지만 까.. 2017. 8. 15.
구름병아리난 2017. 8. 5. 부석림. 구름병아리난은 국내에서도 여러 차례 담은 적이 있기에 시큰둥하다가 나중에 후회할까 싶어서 몇 장 담았다. 모두들 좋아하는 흰둥이도 담아 보고. 2017. 8. 15.
애기사철란 2017. 8. 3 . 우슬린과 황송포. 여기 저기서 만난 애기사철난이다 2017. 8. 14.
쌍잎란 2017. 8. 3. 우슬린. 2년 전에 지하삼림에서 실컷 담았던 녀석을 우슬린 숲에서 만났다. 2017. 8. 14.
검은도루박이(사초과 골풀속) 2017. 8. 3. 숙소 앞 물통이에 자라고 있는 검은도루박이다. 이 녀석도 북방계식물로 우리 나라에는 강원도 한 곳에 살고 있는 게 확인이 되었는데 최근에 그 곳을 지나간 꽃동무의 전언에 의하면 그곳에 송신철탑을 세우면서 땅을 파 뒤집어서 자생지가 폐허가 되었다고 한다 도루박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837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9 http://blog.daum.net/qweenbee/8892002 도루박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837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9 http://blog.daum.net/qweenbee/8892002 검은도.. 2017. 8. 14.
개석송/석송(석송과) 2017. 8. 3. 석송 뱀톱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6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5 https://qweenbee.tistory.com/889031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0 https://qweenbee.tistory.com/8906317 https://qweenbee.tistory.com/8901524 https://qweenbee.tistory.com/8906392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9 다람쥐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05 .. 2017. 8. 13.
비늘석송(석송과) 2017. 8. 3. 우슬린. 탐사 사흘째. 비가 온다는 예보에 서파 탐사를 뒷날로 미루고 우슬린 숲에서 유령난을 찾느라고 일행들이 온 숲을 뒤지고 있다. 나는 처음 만난 이 녀석과 노닥거리느라고 유령난은 뒷전으로 밀려 났다. 우리 나라에는 설악산에 자생한다는 기록이 있는데 실제 사진이 올라오는 건 보지 못하였다. 가지가 Y자 형태로 갈라지며 잎이 4줄로 납작하게 붙어 줄기가 네모지고 길다. 뱀톱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6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5 https://qweenbee.tistory.com/889031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63 https://qweenbee.tistory.. 2017. 8. 13.
큰산좁쌀풀(현삼과 좁쌀풀속) Euphrasia hirtella Jord. ex Reut. 2017. 8. 4. 왕지. 습지 입구에서 이 녀석을 보고 일행들이 업드리기에 기다렸다가 몇 장 담는 다는게 대충 두어 장 담아 버렸다. 빗방울도 후둑거려서 바닥이 축축하여 무릎을 꿇기 싫기도 하거니와 다들 습지 안으로 들어가기에 마음이 바쁘기도 했다. 모두들 앉은좁쌀풀이라고들 했지만 분명 큰산좁쌀풀일거라 생각했더니 역시 큰산좁쌀풀이 맞다. 가지를 많이 분지하는 앉은좁쌀풀에 비하여 큰산좁쌀풀은 가지를 거의 치지 않으며 아래쪽 잎이 크고 선모가 없는 앉은좁쌀풀에 비하여, 큰산좁쌀풀은 위쪽의 잎이 더 크고 양면에 선모가 많은 점이 다르다. 몇 년 전에 강원도의 앉은좁쌀풀이 큰산좁쌀풀로 오동정되어서 넷 상에 올라오기도 했는데 국내에는 아직 큰산좁쌀풀이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백두산 능선부를 잘 살.. 2017.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