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내몽골식물64

내몽골식물 - 콩과 스페로피사속 Sphaerophysa salsula (Pall.) DC. 2024. 6. 25. 옥룡사호 숙소 주변. 주홍색 꽃을 피우고 열매가 풍선처럼 부불어 있던 재미있는 녀석이다.황기속 쯤으로 가늠이 되는데........와우~!! 찾았다.  황기속 240P 를 뒤지기 시작하는 초입에 운좋게도 찾았다. 황기속은 아니고 스페로피사속 Sphaerophysa salsula (Pall.) DC. 우라나라에는 없는 속이다. 이란에서 시베리아와 W. & N. 중국이 원산지로 높이30~60cm(130cm)에 이르는 아관목이다.산 경사면, 평야, 황무지, 모래, 오아시스, 도랑 측면, 소금 연못 주변에서 자란다.  분포 지도이다.(녹색이 원산지, 보라색은 유입지역)중국의 간쑤, 허베이, 지린, 랴오닝, 네이몽골, 닝샤, 칭하이, 산시, 산시, 신장에 분포하고,아프가니스탄 아러타이이란 카.. 2024. 7. 18.
내몽골식물- 양반풀(협죽도과 백미꽃속) 열매 Cynanchum thesioides (Freyn) K.Schum. 2024. 6. 25. 옥룡사호 사막지대. 열매가 안 보여서 아쉽던 차에 나무 아래 건조한 곳에 제대로 자란 아주 큰 열매를 발견하였다. 흑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4https://qweenbee.tistory.com/8888505흑박주가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44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498 덩굴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26    https://qweenbe.. 2024. 7. 18.
내몽골식물- 양반풀(협죽도과 백미꽃속) Cynanchum thesioides (Freyn) K.Schum. 2024. 6. 25. 옥룡사호. 몽골에서도 흔하게 만났던 양반풀, 옥료사호 주변 나대지에도 잡초처럼 많이 보인다.흑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4https://qweenbee.tistory.com/8888505흑박주가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44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498 덩굴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26    https://qweenbee.tistory.com.. 2024. 7. 17.
내몽골식물 - 가지과 가지속 Solanum septemlobum Bunge 2024. 6. 24. 내몽골 옥룡사호. 사구 지역에 오니 평원의 초지에서 보던 녀석들과 다른 종들이 많이 나타난다.호수변 컨테이너 숙소 아래에서 만난 녀석이다  잎이 심열하고 꽃은 자색을 띠는데 배풍등처럼 줄기를 길게 오르지는 않고 키가 무릎 높이 아래이다.Solanum laciniatum이나  Solanum aviculare 에 근접한 듯하지만 꽃잎의 형태나 잎의 열편 형태가 차이가 있다.  Solanum laciniatum 는 , 뉴 사우스 웨일즈, 뉴질랜드 북부, 뉴질랜드 남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빅토리아 서호주가 원산지로 중국화 베트남에 유입이 되어 있다고 한다. Solanum aviculare 는 뉴질랜드의 로드 하우 섬이 원산지로 주로 호주에 분포하고 있다.둘 다 딱 맞아들.. 2024. 7. 17.
내몽골 풍경-옥룡사호 2024. 6. 25. 옥룡사호 사막과 호수와 낙타가 맞아주는 곳.내몽골은 몽골과 인접해 있는 중국 자치구이다. 울란차브를 중심으로 촬영을 하다가 적봉시의 옥룡사호로 이동 마지막 이틀을 휴식하였다. 컨테이너 숙소라기에 기대하지 않았는데 사막 언덕과 호수를 앞에 둔 깔끔한 숙소는 환상적이어서 모두 탄성을 짓게 하였다.숙소 테라스에서 촬영한 옥룡사호 풍경이다. 2024. 7. 16.
내몽골식물-큰솔나리 산사태 2024. 6. 24. 바위산 탐사. 세상에나~!!더딘 걸음으로 느적느적 올라간 바위산 정상 능선부 사면은 온통 붉은 큰솔나리로 산사태가 일어나고 있었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 2024. 7. 13.
내몽골식물-실쑥(국화과 쑥속) Filifolium sibiricum (L.) Kitam. 2024. 6. 24. 바위산 탐사. 몽골과 백두산 주변 초지에서 만났던 실쑥을 여기서도 만났다.잎이 실처럼 가느다란 선형으로 노랗게 꽃을 피우는 게 인싱적이다.원산지는 S.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극동 및 중국 북부 지역 까지다.  비쑥??: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1https://qweenbee.tistory.com/8896241    https://qweenbee.tistory.com/8898114    큰비쑥 : https://qweenbe.. 2024. 7. 13.
내몽골식물- 지치과 산지치속 Eritrichium pulviniforme 2024. 6. 24.  바위산 능선부 자갈이 많은 곳에서 자라고 있었다.이미지로 학명을 찾으려니 그림 맞추기가 쉽지 않다. 꽃동무가 찾은 학명 산지치속  Eritrichium pulviniforme 이 맞다.  원산지는 SW. 시베리아에서 몽골까지로,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분포지가 좀 제한 적이다 잎이 선형에 가까울 정도로 좁고 길었으며 포기가 둘레가 넓고 줄기가 총생하였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 2024. 7. 12.
내몽골식물 - 아데노네마 체레리아 (아데노네마속) Adenonema cherleriae (Fisch. ex Ser.) M. T. Sharples et E. A. Tripp 2024. 6. 24. 바위산. 바위산 위쪽에서 만난 녀석이다. 아주 작은 선형의 꽃잎이 몽골에서도 만난 적 있었던 같아서 찾아보니 별꽃속 녀석  Stellaria cherleriae으로 정리해 두었다. 큐에서는 Adenonema cherleriae의 이명으로 처리를 해 두었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속이다. 남부 시베리아 Dahur Siberia에서 남쪽으로 몽골 (사막 고비 aimags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자란다)을 통해 중국 북부 허베이, 산시 및 산시 지방에 분포하는 분류군. 최근에는 헤이룽장성 북부 지역에서도 기록되고 있다.바위와 자갈 경사면, 돌이 많은 대초원 및 낙엽송 숲의 개간지에서 몬탄에서 고산 수준까지 자란다. 이 곳이 바위산 능선부북편 초본들이 꽤 어울려 있었으니 자생 환경이 맞아 들어.. 2024. 7. 12.
내몽골식물 - 갯취(국화과 곰취속) Ligularia taquetii (H.Lév. & Vaniot) Nakai 2024. 6. 24. 바위산 아래 초지. 바위산 아래 도로변 초지에 갯취와 백선이 한 가득이다.이제 마악 개화가 시작되고 있었는데 만개하면 초지를 노랗게 물들인 갯취의 풍광이 장관을 이룰 듯하다.우리나라에도 제주도와 거제, 여수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녀석이다.  곰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98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7https://qweenbee.tistory.com/8900778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4. 7. 12.
내몽골식물-부지깽이나물(배추과 쑥부지깽이속) Erysimum amurense Kitag.=Erysimum perofskianum Fisch. & C.A.Mey. 2024. 6. 23. 내몽골. 울릉도 성인봉 산비탈에 재배하는 부지깽이나물이 아니다. 그 녀석은 섬쑥부쟁이를 울릉도에서 부르는 향명이다.이 녀석은 우리나라 북부지역과 중국 시베리아가 원산지인 쑥부재깽이속 녀석이다.  짙은 황금색 꽃이 유난히 눈에 띄던 녀석으로 꽃잎이 크고 줄기와 잎자루 화경에 털이 많았다. 부지깽이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911214(내몽골) 가는쑥부지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60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2       https://qweenbee.tistory.com/8889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3http.. 2024. 7. 10.
내몽골식물-큰장대(배추과 큰장대속) Clausia trichosepala (Turcz.) Dvorák 2024. 6. 23. 내몽골. 바위 절벽에 붉게 핀 녀석을 보고 꽃무라 생각했더랬다. 처음 보는 녀석이라 확인이 필요하여 찾아보니 큰장대였다. 큰꽃장대와 동일종으로 취급하기도 한다.한반도 북부지방 함경북도 무산 지역에 자생하며,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줄기에 털이 있고 잎은 장타원형으로 밑이 좁아져 잎자루가 되며 꽃은 엷은 보라색이므로 유사종과 구별된다.  바위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68  https://qweenbee.tistory.com/8910710 (대설산) 바위장대 변종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81 갯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95     https.. 2024.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