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수목류4125 이태리포플라(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Populus × canadensis Moench 2021. 4. 2. 강원도. 하천 옆에 수고 30m가 넘는 사시나무속 녀석이 꽃을 달고 서 있기에 혹시나 황철나무가 아닌가 싶어서 차를 세웠다. 망원 렌즈로 가지와 수피를 보니 이태리포푸라다. 에혀~!. 사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5556 http://blog.daum.net/qweenbee/8896367 http://blog.daum.net/qweenbee/8897593 http://blog.daum.net/qweenbee/8899764 사시나무 엽형 : http://blog.daum.net/qweenbee/8901122 http://blog.daum.net/qweenbee/890457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305.. 2021. 4. 9. 은사시나무(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암꽃 2021. 4. 4. 앞산. 사시나무속 녀석들은 키가 큰 교목들이라 꽃을 담기는 만만치가 않다. 망원렌즈로 당기다가 아래쪽 낮은 가지를 잡아당겨서 접사를 마칠 수 있었다. 사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5556 http://blog.daum.net/qweenbee/8896367 http://blog.daum.net/qweenbee/8897593 http://blog.daum.net/qweenbee/8899764 사시나무 엽형 : http://blog.daum.net/qweenbee/8901122 http://blog.daum.net/qweenbee/8904572 은사시나무 수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7234 http://b.. 2021. 4. 9. 사방오리(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2021. 3. 25. 전국 산지에 사방 조림용으로 식재한다. 오리나무에 비해 잎의 측맥 수가 많으므로 구별된다. 열매와 나무껍질에서 염료를 얻는다. 오리나무속 중에서는 수꽃차례가 가장 굵다. 오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9001 https://qweenbee.tistory.com/8893618 https://qweenbee.tistory.com/8895632 https://qweenbee.tistory.com/8897450 https://qweenbee.tistory.com/8897995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3 오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4116 https://qweenb.. 2021. 4. 8. 진달래(진달래과 진달래속) 2021. 3. 24. 남도. 2021. 3. 10. 경남. 흰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024 https://qweenbee.tistory.com/8886690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1 https://qweenbee.tistory.com/890101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71 참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20 https://qweenbee.tistory.com/8895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623 https://qweenbee.t.. 2021. 4. 3. 좀사방오리(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Alnus pendula Matsum. 2021. 3. 29. 대구. 이제 꽃이 피기 시작한다. 아직 수꽃꽃밥이 터지지 않았고 암꽃도 아직 암술을 내밀지 않았지만 이 녀석을 처음 만나는 설레임에 깽깽이도 애기자운도 뒤로 하고 급하게 달렸다.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드물게 식재 한다는데 일본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란다. 이 곳 계곡부에 자리잡은 몇그루도 사방용으로 심겨졌을 것이다. 암꽃차례는 포만 보이고 수꽃차례는 꽃밥이 터지기 전이다 측맥은 20~26쌍이 며 뒷면 잎맥 위에 누운털이 있고, 암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에 3~6개씩 달린다. 사방오리는 측맥이 13~17쌍이고 암꽃차례는 1~2개가 모여서 위로 서므로 구분된다 어린 가지는 짙은 회녹색, 적갈색으로 세로로 길게 자잘한 피목이 있다 오리나무 꽃 : https://qweenbee.tis.. 2021. 4. 3. 우묵사스레피나무(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Eurya emarginata (Thunb.) Makino 2021. 3. 26. 남도. 우묵사스레피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1144 http://blog.daum.net/qweenbee/8891145 http://blog.daum.net/qweenbee/8887175 http://blog.daum.net/qweenbee/8889330 http://blog.daum.net/qweenbee/8896977 http://blog.daum.net/qweenbee/8896978 http://blog.daum.net/qweenbee/8900253 http://blog.daum.net/qweenbee/8902600 blog.daum.net/qweenbee/8906252 blog.daum.net/qweenbee/8906860 우묵사스.. 2021. 4. 3. 이태리포플라(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 Populus × canadensis Moench 2021. 3. 30. 암꽃을 주렁주렁 달고 있는 이태리포풀라가 길 아래 강변에 서 있어서 꽃을 담기에 아주 안성맞춤이다. 사시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5556 http://blog.daum.net/qweenbee/8896367 http://blog.daum.net/qweenbee/8897593 http://blog.daum.net/qweenbee/8899764 사시나무 엽형 : http://blog.daum.net/qweenbee/8901122 http://blog.daum.net/qweenbee/890457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305 은사시나무 수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7.. 2021. 4. 3. 용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수꽃 2021. 3. 30. 구불거리며 길게 아래로 늘어진 가지가 마치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형상이었을까?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 https://qweenbee.tistory.com/8893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8 https://qweenbee.tistory.com/8897312 https://qweenbee.tistory.com/8899041 https://qweenbee.tistory.com/8900703.. 2021. 4. 1. 섬다래(다래나무과) 새순 2021. 3. 30. 어린 줄기에 황갈색의 거센털이 밀생한다. 다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7 https://qweenbee.tistory.com/8885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1 https://qweenbee.tistory.com/88939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4 https://qweenbee.tistory.com/8899576 https://qweenbee.tistory.com/8909797 https://qweenbee.tistory.com/8910665 다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09 https://qweenb.. 2021. 4. 1. 나도은조롱(협죽도과 나도은조롱속) Marsdenia tomentosa C. Morren & Decne. 2021. 3. 26. 남도. 상록수가 우거진 숲 아래서 덩굴을 올리고 있지만 이 녀석 꽃이나 제대로 피우려나 모르겠다. 어린 녀석들도 꽤 보인다. 흑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4https://qweenbee.tistory.com/8888505흑박주가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35 https://qweenbee.tistory.com/88944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498 덩굴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26 https://.. 2021. 4. 1. 복사앵도(장미과 벚나무속) 열매 Prunus choreiana Nakai ex H. T. Im 2020. 5. 26. 강원도. 석회암 지대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 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높이 2~3m 정도로 자란다. 복숭아나무나 벚나무와 비슷하지만 꽃잎이 1cm, 너비 5mm로 좁으며, 씨방에 털이 없고, 암술대 기부에 털이 있는 점에서 구분하며, 외형상 자두나무와 비슷하다. 올해는 이 녀석 꽃을 보러 가 봐야 할 것 같다.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 복사앵도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1 ht.. 2021. 3. 31. 개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2021. 3. 31. 경북. 퇴직 전 학교에서 근무하시던 선생님이 산골짜기에 집을 짓고 농장을 경작하고 있다. 그 뒷산에 개살구나무가 몇 그루 있는데 꽃이 피면 연락 좀 달라고 부탁을 해두었다. 어제 대구로 향하던 중에 개화가 되었다는 연락을 받고 부랴부랴 달려 갔더니 완전히 화들짝 다 피어 있다. 5일 전 쯤만 해도 꽃봉오리도 잘 안 보였다는데 며칠만에 농막 집에 오니 이렇게 다 폈다고 한다. 기온이 많이 높아서 꽃들이 정신 없이 피어나고 있다. 살구나무에 비하여 꽃자루와 열매자루가 길고 수피에 코르크질이 발달한다는데 강원도에서 본 개살구나무는 코르크가 제법 잘 발달 했던데 안동 주변의 개살구나무는 코르크가 잘 발달하지 않는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 2021. 3. 31.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