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새 싹,로제트1720 당분취(국화과 취나물속) 어린 싹 Saussurea tanakae Franch. & Sav. ex Maxim 2022. 5. 강원도 태백취라고 좋아라 했는데 당분취가 어려서 날개가 안 보였던 거다. ㅠㅠ 열흘 후 다른 곳에서 만난 당분취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시취.. 2022. 5. 24. 무등취(국화과 취나물속) 어린 싹 Saussurea nipponica subsp. higomontana (Honda) H. T. Im 2022. 5. 초순. 강원. 산세가 깊고 높으니 이 녀석이 여기서도 꽤 많이 자라고 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시취 종자 : https://qweenb.. 2022. 5. 24. 털연리초(콩과 연리초속) 새싹 2022. 5. 9. 동해안. 10년 전 무턱대고 떠났던 털연리초 탐사 여행에 우연하게 만났던 기억. 그 기억을 따라 위로 위로 달렸다. 수년 동안 쉽게 보아 오던 석호를 관광지로 개발한다고 테크를 설치하면서 수변의 식물들을 다 긁어 내는 바람에 그 곳의 털연리초가 모두 사라져 버려서 무척 안타까웠는데 이 녀석 볼 길이 막막한지라 10년 전 첫대면의 기억을 살려서 올라가다가 보니 그 장소의 기억이 소환된다. 일단 차를 세우고 찬찬히 습지를 살피는데 있다~!!!. 아직 어린 새순이 덩굴손을 뻗으면서 의지할 곳을 찾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 온다 멀긴 하지만 이렇게 안전한 곳에 무리지어 살고 있어서 안심하고 눈인사를 한다. 잘 살고 있어라. 꽃이 필 때 다시 오께. 줄기에 얕은 날개가 있고 열매에 털이 있다.. 2022. 5. 17. 참좁쌀풀/좁쌀풀 새싹 2022. 5. 6. 참좁쌀풀 : 잎이 넓고 잎자루가 길며 마주나거나 돌려난다. 좁쌀풀 : 잎 중간 이상에서는 마주나거나 3~4장씩 돌려나며, 길게 뾰족하고 잎자루는 짧다. 참좁쌀풀 좁쌀풀 : 줄기 아래쪽에서는 어긋나지만 중간 이상에서는 마주나거나 3~4장씩 돌려나며, 길게 뾰족하고 잎자루는 짧다. 좁쌀풀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69 http://blog.daum.net/qweenbee/8888284 http://blog.daum.net/qweenbee/8902882 https://blog.daum.net/qweenbee/8905737 좁쌀풀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8744 http://blog.daum.net/q.. 2022. 5. 15. 속단(꿀풀과 속단속) 새싹 Phlomis umbrosa Turcz. 2022. 5. 6. 강원도. 둥글넙적한 이파리가 눈에 들어온다. 털부숭이 고깔같은 윗꽃잎을 쓰고 있는 속단이다. 속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3 https://qweenbee.tistory.com/8886432 https://qweenbee.tistory.com/8888700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9 https://qweenbee.tistory.com/8894193 https://qweenbee.tistory.com/8896406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6 속단열매 : 속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62 https://qweenbee.t.. 2022. 5. 15. 가는잎방풍(산형과 털기름나물속) 새싹 2022. 5. 8. 강원도. 처음 가보는 탐사지에 들어서면 눈이 반짝반짝 빛이 난다. 어린 싹 부터 이리 저리 살피기에 정신이 없다. 그래야 이 곳에 뭐가 자라고 있는지 미리 파악이 되기 때문이다. 초입부터 가는잎방풍 싹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이 녀석은 석회암 지역에서 자라는 녀석이다. 주로 강원도에서 나타나지만 경북의 남부지역 에서도 확인한 바 있다. 기름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89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0925 http://blog.daum.net/qweenbee/8891130 http://blog.daum.net/qweenbee/8896336 http://blog.daum.net/qweenbee/88999.. 2022. 5. 15. 붉은참반디(산형과 참반디속) 새싹 2022. 5. 강원도. 참 억세게도 생겼다. 붉은참반디 : http://blog.daum.net/qweenbee/8889815 http://blog.daum.net/qweenbee/8888035 http://blog.daum.net/qweenbee/8891823 http://blog.daum.net/qweenbee/8895945 http://blog.daum.net/qweenbee/8897644 http://blog.daum.net/qweenbee/8899317 https://qweenbee.tistory.com/8904155(백두) 붉은참반디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4448 붉은참반디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58.. 2022. 5. 13. 참반디(산형과 참반디속) 새싹 Sanicula chinensis Bunge 2022. 4. 28. 경북. 붉은참반디 : http://blog.daum.net/qweenbee/8889815 http://blog.daum.net/qweenbee/8888035 http://blog.daum.net/qweenbee/8891823 http://blog.daum.net/qweenbee/8895945 http://blog.daum.net/qweenbee/8897644 http://blog.daum.net/qweenbee/8899317 https://qweenbee.tistory.com/8904155(백두) 붉은참반디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4448 붉은참반디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5899 http:/.. 2022. 5. 13. 가시꽈리(가지과 가시꽈리속) 새싹 Physaliastrum echatum (Yatabe) Makino 2022. 4. 28. 경북. 이 녀석을 보면 언제나 미안하다.외래종이라고 여기 왜 들어 왔냐며 마구 뽑아 버렸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 이후 한동안 이 녀석 그림자를 만나기 어려웠다.혹시나 싶어서 녀석들을 찾을 때마다 내 손목이 원망스러울 정도로 후회 막심이었는데 몇 년 전부터 몇 포기씩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보여서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었다. 그런데 지자체에서 둘레길 산책로를 만들면서 풀이 자라는 꼴을 못보겠는지풀들이 꽃도 피지 못하고 잘려 나가는 모습만 애처롭게 바라만 볼 수 밖에.......... 꽈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7034https://qweenbee.tistory.com/.. 2022. 5. 13. 개양귀비(양귀비과 양귀비속) 새싹 2022. 4. 28. 강원도. 개양귀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20 https://qweenbee.tistory.com/8896384 https://qweenbee.tistory.com/8903854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3 개양귀비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56 https://qweenbee.tistory.com/8908817 두메양귀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0558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7 좀양귀비 : https://qweenbe.. 2022. 5. 13. 물양지꽃(장미과 양지꽃속) 새싹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2022. 5. 4. 강원. 이 녀석 신초를 몇 번을 봤는데도 또 만나면서 못 알아보고어라? 양지꽃이 왜 줄기가 서지? 하고 중얼 거렸다. ㅋㅋ 줄기잎의 소엽은 약간 길쭉해지지만 기부의 소엽은 타원형이라 헷갈랄 수도 있다. 양지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552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0https://qweenbee.tistory.com/88959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353https://qweenbee.tistor.. 2022. 5. 13. 좀딸기(장미과 양지꽃속) 새싹 Potentilla centigrana Maxim. 2022. 4. 20. 초록의 잎새가 꽃보다 더 이쁜 녀석, 꽃은 좀스럽게 작다.이름은 딸기라 붙어 있지만 산딸기속이 아니라 양지꽃속이다 양지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552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0https://qweenbee.tistory.com/88959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353https://qweenbee.tistory.com/8908811 https://qweenbee.tistory.com/8.. 2022. 5. 1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