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501

비수리/땅비수리/청비수리/호비수리/자주비수리 비교 2023. 10. 15. 헷갈려서 구분이 어려운 비수리 가족이다.사진상으로 구별이 쉽지 않지만 잎과, 열매, 전초의 모습을 잘 살펴 보면 구분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잎맥 사이의 그물맥의 선명도, 열매의 꽃받침 형태와 길이를 집중해서 보면 쉽다 비수리  Lespedeza cuneata (Dum.Cours.) G.Don땅비수리 Lespedeza juncea (L.f.) Pers.청비수리 Lespedeza inschanica (Maxim.) Schindl.호비수리  Lespedeza davurica (Laxm.) Schindl.자주비수리 Lespedeza lichiyuniae T.Nemoto, H.Ohashi & T.Itô 비수리호비수리청비수리땅비수리자주비수리 꽃 짧은 꽃줄기 2~4개씩잎보다 짧고 꽃받침은 거.. 2023. 10. 20.
각시족도리풀/(뿔)족도리풀/털족도리풀 각시족도리풀/(뿔)족도리풀/털족도리풀 족도리풀: 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605 https://qweenbee.tistory.com/8889637 https://qweenbee.tistory.com/8889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6 https://qweenbee.tistory.com/8897354 https://qweenbee.tistory.com/8903822 https://qweenbee.tistory.com/8907010 https://qweenbee.tistory.com/8910185(뿔.. 2023. 6. 12.
덩굴개별꽃 sp 3(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50 여 m의 거리를 두고 나타난 다른 형태의 개체 군락이다.꽃잎의 형태는 덩굴개별꽃 처럼 도란형인데 가장자리가 빗살처럼 갈라져 있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3. 5. 8.
덩굴개별꽃 sp 2 (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전초의 모습은 덩굴개별꽃과 거의 같지만 꽃잎 형태가 다르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1 .. 2023. 5. 8.
덩굴개별꽃 sp 1(석죽과 개별꽃속) 2023. 4. 12.   제 2의 자생지이다. 이 녀석 주변에는 덩굴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이 함께 살고 있다.덩굴개별꽃은 개화가 시작되는 중이고 태백개별꽃은 꽃이 지고 꽃자루가 길어지면서 아래로 늘어져 있다. 이 곳에는 꽃잎이  2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가는피침형으로 길게 뾰족하며 거치가 있거나 없는 형태와 넓은 도란형에 패랭이꽃 처럼 끝이 갈라진 형태이다.두 형태의 꽃은 50m~60m 의 거리를 두고 별도의 군락을 이루고 있다. 혹시나 주변에 있는 태백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이 아닐까 의심해 볼 수 있지만태백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은 보현개별꽃이 있다.   그렇다면 덩굴개별꽃의 꽃잎의 형태 변이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몇 년이 되었지만 여적까지 잘 살고 있는 것을 보면 형태가 고착된 것 같다. 결실이 되는지.. 2023. 5. 7.
흰제비꽃/흰들제비꽃/흰젖제비꽃 흰제비꽃(V. patrinii Ging.): 뿌리는 암갈색이고 엽병이 엽신보다 훨씬 길고 거는 3mm 이하이다. 꽃자루가 가늘고 길며 잎자루와 잎 표면에 털이 없다. 고산에서 자란다. 뿌리는 암갈색으로 직근형 뿌리이다흰젖제비꽃(V. lactiflora Nakai): 꽃잎 측판에 털이 없고 꽃받침 부속체는 긴사각형으로 밋밋하거나 거치가 있기도 한다. 잎자루의 날개도 거의 안나타나거나 약하게 나타난다. 엽신 아래쪽이 현저히 넓어지고 엽신의 기부 양쪽이 귓볼처럼 길게 늘어진다. 뿌리는 투명에 가까운 흰색이다흰들제비꽃 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Nakai) F. Maek. & T.H ashim. : 꽃잎 하판과 측판에 보라색 줄 무늬가 있고 측화판 안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부속.. 2023. 4. 30.
국내의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과 대암개발나물의 실체 Sium tenue Kom 2022. 12. 5. 감자개발나물 검토 2탄이다.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의 오류를 확인하다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 벌써 정리해 두고 여태 비공개로 두었다가 공개로 돌린다. 국가 기관에 올려진 대암개발나물 관련 정보는 아래와 같다.-한반도생물다양성 포털 -대암개발나물 Sium heterophyllum Y.N.Lee은 강원도 대암산과 대관령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거나 땅 위로 눕고, 속이 비어 있다. 덩이뿌리는 창형 또는 난형이다. 잎은 홑잎과 겹잎을 모두 가진다. 꽃은 지름 3.5cm쯤의 산형화서를 이루고, 포는 선형으로 3~5개다. 꽃잎은 5개, 흰색이다. 열매는 난형이다. 홑잎과 겹잎이 함께 달려 개발나물속(Sium)의 다른 식물들과 구분된다.  .. 2023. 3. 13.
감자개발나물(미나리과 개발나물속) 재조명 _ 주아의 실체 Sium ninsi L. 2022. 11. 23.꽃동무가 물개발나물이라고 올린 자료를 확인하다가국내의 감자개발나물 분포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국립수목원 포털이나 생물종다양성 포털에는 감자개발나물은 근생엽과 줄기 아래 잎이 깃꼴로 갈라지고, 근경은 짧고 뿌리는 방추형으로 굵은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가을철에 잎겨드랑이에 주아(살눈)가 달리기도 하는 특징이 있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하지만 여태 국내의 감자개발나물이라는 녀석의 잎겨드랑이에 있다는 주아를 본 적이 없다.(물론 전국을 다 뒤진 것은 아니다)꽃이나 열매를 촬영할 때 살눈이 있을까 살펴보기도 하지만 그 살눈이 내 눈에는 한 번도 나타나주지 않았던 것이다.국내에는 이 주아를 촬영한 자료가 전무한 것 같다.이참에 감자개발나물의 주아에 대하여 확인해 보려고 중국과 일본.. 2023. 3. 13.
사철검은재나무 관련 논문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axonomic revision of the Symplocos nakaharae complex (Symploc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fruit morpholog Types of infructescences in Symplocos nakaharae complex. Type I.Carpel fusion of minimal degree occurs and the gap between carpels are obvious (Fig. 5: A). This type of fruit was observed in S. setchuensis (Fig. 2: K), S. lucida subsp. lucida (Fig. 2: D), S. lucida subsp. howii (Fig. 2:.. 2023. 3. 9.
미나리아재비속 새싹 2023. 2. 23. 제주. 어떤 녀석인지 나중에 다시 가서 확인해 봐야겠다. 개구리갓 :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8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9 http://blog.daum.net/qweenbee/8889489 http://blog.daum.net/qweenbee/8897174 http://blog.daum.net/qweenbee/8895284 http://blog.daum.net/qweenbee/8895474 http://blog.daum.net/qweenbee/8897174 http://blog.daum.net/qweenbee/8900795 http://blog.daum.net/qweenbee/8902037 http.. 2023. 2. 27.
북미골풀 Juncus torreyi Coville 2023. 2. 2-3. 제 54회 한국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북미원산으로 한국 강원도의 한 해수욕장에서 발견, 뿌리줄기 길고 마디가 비후하다. 구 모양의 화서에 25~100개의 꽃이 달리며 포는 없다. 여름에 살펴봐야겠다 이미지 출처 : 구글에서 이미지 펌 미네소타 야생화 (minnesotawildflowers.info) 2023. 2. 24.
메꽃과 미기록종 Ipomoea heptaphylla Sweet 2023. 2. 2-3. 제 54회 식물분류학회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를 퍼왔다 사진 출처 : 구글 이미지 펌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서 남아메리카 원산의 메꽃과 식물인 Ipomoea heptaphylla Sweet가 발견되어 보고한다. 본 종은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복엽을 가진 특징으로 국내 나팔꽃속(Ipomoea L.) 식물들과 쉽게 구분된다. 이외에도 가늘고 긴 화경은 꼬임이 있고, 소포엽은 비늘모양으로 이른 시기에 탈락하며, 꽃은 주로 1개만 달리는 특징이 있다. 본 종은 인도, 아프리카에서도 자라고, 중국의 동남부 지역에도 유입되어 분포하나, 흔히 관찰되는 종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발견된 I. heptaphylla는 약 10년 전 처음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경작지 ..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