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16. 제주.
몇 년만에 이 녀석과 대면해 본다.
인근에 골프장 건설로 중요 자생지가 파괴되었다는 꽃동무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는데
점점 그 자생지가 줄어들어서 안타깝다.
제주고사리삼과 탐라란이 멸종위기식물 1등급으로 상향될 거로 검토 중이란 정보를 작년에 접했었다.
올해 발표가 되었다는 소식에 관련법이 어디에 올려져 있는지 찾아 봐도 확인할 수가 없다
| 제주고사리삼은 고사리삼과의 상록성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이다. 유일한 자생지가 제주도뿐인 것으로 학계에 보고된 한국 특산속(세계적으로 1속 1종인 희귀식물) 식물이다. 원시 고사리 형태를 보존하고 있으며, 자생지 파괴 및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개체의 위협이 되고 있다. 현재 한국적색목록과 세계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인 위급종(CR)으로 평가되어 있다. - 한반도생물다양성포털 - |












고사리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74 https://qweenbee.tistory.com/8889052
산꽃고사리삼: https://qweenbee.tistory.com/8898400 https://qweenbee.tistory.com/8908029(울릉)
https://qweenbee.tistory.com/8910024 (제주)
숲고사리삼 :
늦고사리삼 :
단풍고사리삼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92
제주고사리삼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1347 https://qweenbee.tistory.com/8895324
https://qweenbee.tistory.com/8902007 https://qweenbee.tistory.com/8910023
https://qweenbee.tistory.com/8910881
나도고사리삼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95
자루나도고사리삼 : https://qweenbee.tistory.com/8898350 https://qweenbee.tistory.com/8910397
'들꽃자료실 > 양치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단풍고사리삼(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 Botrychium nipponicum Makino (0) | 2023.03.03 |
|---|---|
| 일엽초(고란초과 일엽초속)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0) | 2023.02.10 |
| 산꽃고사리삼(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 Botrychium japonicum (Prantl) Underw. (0) | 2023.01.31 |
| 손고비(고란초과 손고비속) Leptochilus ellipticus (Thunb.) Noot. (0) | 2023.01.19 |
| 콩짜개덩굴(고란초과 콩짜개덩굴속) Lemmaphyllum microphyllum C.Presl (0) | 202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