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6. 8. 경북.
경북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데 안동은 도로변, 강변, 마을 주변 등에서 흔하게 보여진다.
왕쌀새보다는 많은 수의 작은이삭이 달리며, 작은이삭이 원형인 것이 다르다.
쌀새는 꽃차례의 가지가 길고, 작은이삭은 긴 타원형이어서 구별된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에는 짧은가지가 많이 달려 총상으로 보이고, 작은이삭이 조밀하게 달린다.
전체 길이는 7~15cm이다.
작은이삭은 자루에 흰색 털이 있고, 난형으로 납작하고, 길이 5~8mm, 2~4개의 임성인 꽃과 퇴화된 꽃이 하나 들어 있다.
쌀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3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3
https://qweenbee.tistory.com/8903022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7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970
왕쌀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87 https://qweenbee.tistory.com/8892241
https://qweenbee.tistory.com/8899281 https://qweenbee.tistory.com/8907418
https://qweenbee.tistory.com/8907895
청쌀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82 https://qweenbee.tistory.com/8907152
참쌀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87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7
https://qweenbee.tistory.com/8907151
'들꽃자료실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래새(벼과 나래새속) Achnatherum pekinense (Hance) Ohwi (0) | 2022.09.07 |
---|---|
쌀새(벼과 쌀새속) Melica onoei Franch. & Sav. (0) | 2022.09.04 |
나도잔디(벼과 쥐꼬리새풀속) Sporobolus piliferus (Trin.) Kunth (0) | 2022.08.20 |
쇠풀(벼과 쇠풀속) Schizachyrium brevifolium (Sw.) Nees & Büse (0) | 2022.08.20 |
왕김의털아재비(벼과 김의털속)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