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8. 20. 제주.
덩굴곽향보다 잎이 더 두텁고 포복지가 없다는 섬곽향이란 녀석은 도대체 어떤 녀석일까.
이 녀석은 군락을 이루고 있는 걸로 봐서 포복지가 있는 것 같고.........
이 녀석은 꽃받침통 표면에 털이 많고 수술대 길이가 거의 암술대와 비슷할 정도로 길어서 덩굴곽향과 비교가 된다.
이우철 도감에 의하면 곽향속 분류군이 아래와 같이 정리가 된다.
<곽향>은 줄기에 난 수평으로 퍼진 긴털과 한쪽으로 치우쳐 꽃이 성기게 달리며 포는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넓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이 있다
<덩굴곽향>은 엽병 및 잎 뒷면에 밑으로 굽은 잔털이 있고, 줄기에 아래로 고부라진 잔털이 있다. 포는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피침형이고 소화경이 짧다. 개곽향에 비하여 전초가 여리다.
<섬곽향>은 덩굴에 비해 잎이 약간 두껍고 화서가 줄기 끝에 모이는 경향이 있으며 선모와 잔털이 밀생한다.
이 녀석은 화서가 많이 발달하고 원본으로 꽃받침의 털을 보니 toa털이 아니라 잔털이고
엽질이 얇고 긴타원형으로 봐서 덩굴곽향으로 봐야겠다.
꽃받침통과 포엽에 털이 많이 보이는데 선모인지 아닌지는 제대로 확인이 안 된다
수술대의 길이는 덩굴곽향에 비하여 길다.
곽향 : http://blog.daum.net/qweenbee/8888790 http://blog.daum.net/qweenbee/8903115
http://blog.daum.net/qweenbee/8892385 http://blog.daum.net/qweenbee/8894181
http://blog.daum.net/qweenbee/8894626 http://blog.daum.net/qweenbee/8901180
곽향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81 http://blog.daum.net/qweenbee/8891946
덩굴곽향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72 http://blog.daum.net/qweenbee/8892264
http://blog.daum.net/qweenbee/8892386 http://blog.daum.net/qweenbee/8894182
http://blog.daum.net/qweenbee/8902857 http://blog.daum.net/qweenbee/8899869
덩굴곽향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1179
섬곽향 : http://blog.daum.net/qweenbee/8901532 http://blog.daum.net/qweenbee/8903509
http://blog.daum.net/qweenbee/8891138
섬곽향 새싹 :
개곽향 : http://blog.daum.net/qweenbee/8886312 http://blog.daum.net/qweenbee/8886257
http://blog.daum.net/qweenbee/8891137 http://blog.daum.net/qweenbee/8888605
http://blog.daum.net/qweenbee/8891945 http://blog.daum.net/qweenbee/8894113
http://blog.daum.net/qweenbee/8896303 http://blog.daum.net/qweenbee/8898083
http://blog.daum.net/qweenbee/8902858
곽향/개곽향/덩굴곽향 : http://blog.daum.net/qweenbee/8892986
'지역별식물 > 제주도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층층이(꿀풀과 층층이꽃속) (0) | 2016.09.03 |
---|---|
한라꽃장포(백합과 돌창포속) 열매 (0) | 2016.09.02 |
영주풀(영주풀과) (0) | 2016.09.02 |
파드득나물(산형과 파드득나물속) 열매 (0) | 2016.09.01 |
구상난풀(수정난풀과 수정난풀속) (0) | 2016.09.0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