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8. 2. 강원도.
한 번도 가지 않은 곳을 다녀야 새로운 것을 볼 수 있다는 꽃동무의 충고말 전적으로 동감한다
곽향, 개곽향, 덩굴곽향 중에서 곽향은 가장 만나지 쉽지 않은 녀석이라 5월에 동해안에서 신초를 본 이후 이 녀석 꽃을 보고싶어 했었다.
헌데 그 곳까지 곽향 꽃을 보러 가기에는 너무 부담스러운 거리라서 개회 시기에 갈 핑계가 없을까 하고 머리를 굴리고 있던 차였다
이 곳에서 5년 전 쯤 곽향을 한 번 보긴 했었다.
그 때는 곽향인 줄 모르고 담아와서 도감을 찾아 확인하여 곽향이라 동정을 했었다.
폭염을 피하여 피서 차 함백산으로 가는 도중 이 곳의 곽향을 찾아 봐야겠다고 꽃동무와 의견이 일치 되었다.
헌데...네비에 입력을 잘못하는 바람에 막다른 들길에 도착하여 황망해 하다가 다시 길을 돌아 목적지에 도착을 하였다.
오래 전에 와 본 그것도 타인의 차에 편승하여 왔던 곳인데다가 주차장과 산책로를 개발하여 그 때의 장소를 찾기가 쉽지가 않다.
큰 산책로에는 휴가철을 맞아 이미 많은 사람들이 북적거리고 있어서 작은 숲길로 들어섰다.
말채나무 열매와 대나물 꽃을 담으면서 산책로 주변을 찬찬히 살피는데....
| 1. 꽃받침에 전체에 잔선모가 밀생한다. 포는 광난형,잎뒷면과 잎자루에 아래로 굽은 잔털이 있다. -----------------덩굴곽향 1. 꽃받침 무모, 혹은 약간의 선모가 꽃받침 끝쪽에 산포, 포 광피침형, 식물체에 긴 털이 있다 2.줄기 털이 직모(수평으로 퍼진 털), 위쪽 마디에 긴 털, 크기 20~30cm 꽃받침 전체에 직모 산포---------------------곽향 2. 털이 적거나줄기의 털이 역모(밑으로 굽은 잔털), 식물체 30~70cm,꽃받침 무모 혹은 약간의 선모가 끝에 산포---------개곽향 |
| 곽향 | 덩굴곽향 | 개곽향 |
| 잎 길이 2.5~4cm 너비 1.5~2.5cm 잎자루 : 1~2cm 잎이 가장 작다. 난형 또는 넓은 난형, 끝이 다소 둔하고 예저 또는 다소 심장저 |
잎 길이 4~8(10)cm 너비 2~4cm잎자루 : 1.5~3cm 잎이 얇다. 좁거나 넓은 난형, 끝이 뾰족하고 예저 불규칙한 톱니 |
잎 길이 5~10cm, 너비 2~3.5cm 잎자루 : 1~2cm 잎이 두텁고 억세다. 장타원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원저 잎 뒷면 맥 위에 짧은 털 다소 |
| 줄기에 수평으로 퍼진 털, 포복지가 벋으면서 곧추 자람, | 줄기,화서, 엽병, 잎 뒷면에 아래로 굽은 털지하경이 옆으로 벋음 |
줄기에 밑으로 굽은 잔털, 전초에 털이 적음, 포복경이 있음 |
| 화서 4~8cm 한쪽으로 치우쳐 드문 드문 꽃핌 포 :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넓은 피침형꽃받침 : 윗 부분에 긴 선모가 있다 꽃받침 열편 넓은 난형 |
화서 3~5cm 포 : 꽃받침과 길이 비슷, 넓은 난형,꽃받침 : 윗부분에 털 다소, 간혹 선모, 꽃받침 끝이 둔함 |
총상화서 3~10cm ,밑부분에서 갈라짐 포 : 넓은 피침형꽃받침 : 털이 없거나 윗부분에 다소 있음 꽃받침 끝 뾰족 |
| 줄기 높이 20~30cm. | 줄기 높이 25~40cm. | 줄기 높이 30~70cm. |
"찾았다~!"
앞서 가던 꽃동무의 들뜬 목소리게 잰 걸을므로 다가가니 에거~~~~!!! 꽃은 안 보이고 열매가 다 맺혀 버렸다.
요건 2년 전 8월 22일 이 곳에서 담았던 늦둥이 꽃이다.
꽃은 7-8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피며 길이 8mm정도로서 성긴 총상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 꽃이 성기게 달리며 포는 꽃받침보다 다소 짧고 넓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이 있다.


화서가 매우 길고 꽃의 달림이 엉성하고 느슨하며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핀다.
꽃받침은 윗부분에 긴 선모가 있다. 화축에도 긴털이 퍼져 있다.
열매가 익을 때는 밑을 향하며
흔히 갈색 윤채가 있고 길이 3-3.5mm이며 열편 끝이 둔하고 화관은 털이 없으며 열편이 다소 좁다.
분과는 둥글고 길이 1.5mm로서 그물같은 무늬가 보이지 않는다.
아직 어린 신초도 많다. 내년에도 풍성하게 꽃을 피울 것 같다. 이 녀석은 다년초라서 사라질 걱정은 없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끝이 약간 둔하고 길이 2.5-4cm, 나비 1.5-2.5cm로서
예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cm이다.
곽향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90 https://qweenbee.tistory.com/8892385
https://qweenbee.tistory.com/8894181 https://qweenbee.tistory.com/8894626
https://qweenbee.tistory.com/8901180 https://qweenbee.tistory.com/8903115
곽향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6
덩굴곽향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72 https://qweenbee.tistory.com/8892264
https://qweenbee.tistory.com/8892386 https://qweenbee.tistory.com/8894182
https://qweenbee.tistory.com/8899869 https://qweenbee.tistory.com/8902857
https://qweenbee.tistory.com/8904743
덩굴곽향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79
섬곽향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38 https://qweenbee.tistory.com/89015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509 https://qweenbee.tistory.com/8907700
https://qweenbee.tistory.com/8911284
섬곽향 새싹 :
개곽향 : https://qweenbee.tistory.com/8886312 https://qweenbee.tistory.com/8886257
https://qweenbee.tistory.com/8891137 https://qweenbee.tistory.com/8888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5 https://qweenbee.tistory.com/8894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6303 https://qweenbee.tistory.com/8898083
https://qweenbee.tistory.com/8902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7701
곽향/개곽향/섬곽향/덩굴곽향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86
곽향/개곽향/섬곽향/덩굴곽향 : https://qweenbee.tistory.com/8903526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동자꽃(석죽과) (0) | 2012.08.04 |
|---|---|
| 긴꼬리쐐기풀(쐐기풀과) (0) | 2012.08.04 |
| 덩굴곽향(꿀풀과) (0) | 2012.08.04 |
| 산외(박과) (0) | 2012.08.02 |
| 도라지모시대(초롱꽃과) (0) | 201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