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공부방/식물공부자료

이상한 땅빈대 녀석을 통하여 확인한 땅빈대류 학명 오류에 관한 소고

by 여왕벌. 2011. 8. 26.

 

2011. 8. 25.

 

제주에서 이상한 땅빈대 한 녀석을 잡아 왔다.

잎을 보면 땅빈대이고

불그스름한 기운의 줄기와 줄기의 짧게 누운 털, 열매의 누운 털은 천상 애기땅빈대이다.

 

 

 

땅빈대 3총사의 열매를 보면 애기땅빈대의 열매에만 누운 털로 덮여 있다.

이 녀석은 잎을 보면 땅빈대와 흡사한데 애기땅빈대처럼 열매에 누운 털이 있다.

 

땅빈대의 선체 부속체는 분홍색 기운이 있으며 더 얕고 가장자리에 자잘한 결각성 톱니가 있다.

큰땅빈대의 선체 부속체는 이 녀석과 비슷한 흰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긴 하지만 둥근 타원형이다.

헌데 이 녀석은 선체의 하얀 부속체가 아주 뚜렷하고 넓으며 삼각상이다.

 

 

 

============================================================================================================================

 

그 녀석의 신상 파악을 위하여 중국식물지와 일본식물지를 두루 쉽게 검색하고 확인을 하시는 꽃동무 한 분께 부탁을 드렸다.

외국 식물지에서 이 녀석 이름 좀 확인해 달라고.

 

우리 나라 표준 목록엔 땅빈대 종류로 아래 3종이 있는데 학명이 다음과 같다.
 
종분류
구분
학 명
국 명
최종수정일
식물종 정명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땅빈대 2003/11/30
식물종 정명 Euphorbia maculata L.  큰땅빈대 2003/11/30
식물종 정명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2003/11/30
 

 

내 부탁을 받은 꽃동무가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L. 와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Raf.  학명으로

일본과 중국의 땅빈대류를 검색하다 보니 아래처럼 검색이 된다는 거다.

 

일본 목록은 <Chamaesyce supina>를  <Chamaesyce maculata>의 이명으로,
 
중국 역시 <Euphorbia supina>를 <Euphorbia maculata>의 이명으로 다루고 있다는 거다.

 

즉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가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의 이명으로 되어 있다는 이상한 점을 찾은 거다. 

 

엉? 애기땅빈대가 큰땅빈대의 이명이라니?  통합이 될 수 없는 전혀 다른 종을 어떻게 이명 처리하여 통합을 했단 말가? 

도저히 납득이 안 되어서 뭐가 잘못되었는지 혼란스러운데 꽃동무도 갑자기 뒤죽박죽이 되어서 천천히 확인을 해 봐야겠다고 한다

 

이틀 후 꽃동무에게서 연락이 왔는데 아무래도 우리 나라가 학명 적용을 잘못한 것 같다는 의견을 전해 온다.

 

 
추정컨데 우리 나라가 <애기땅빈대>학명을 잘못 쓰고 있다는 의심이 들어. 

 

1. 국가표준식물목록(한국) (Euphorbia : 대극속)

 

   Euphorbia maculata L.       큰땅빈대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2. 일본 식물학명목록 ( Chamaesyce : 땅빈대속)

 

   Chamaesyce maculata (L.) Small                            コニシキソウ 애기땅빈대
      이명 : Chamaesyce supina (Raf.) Moldenke

 
   Chamaesyce nutans (Lag.) Small                            オオニシキソウ 큰땅빈대
      이명 : Chamaesyce maculata auct. non (L.) Small

 

 

3. 중국식물지 (Euphorbia : 대극속)

 

   Euphorbia maculata Linnaeus, Sp. Pl. 1: 455. 1753.      斑地锦    애기땅빈대
      이명 : Chamaesyce maculata (Linnaeus) Small; Euphorbia supina Rafinesque.

 

 

 

해서 나도   <Euphorbia supina>와 <Euphorbia maculata>란 학명으로 이미지를 검색해 보니 모두 애기땅빈대 이미지가 검색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 나라 큰땅빈대 학명인  <Euphorbia maculata> 가 잘못되었다는 건데.....

 

이로써 우리 나라의 큰땅빈대의 학명 <Euphorbia maculata>이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었고 

애기땅빈대의 학명도 <Euphorbia maculata>로 검토를 해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일본에서 2001년에 발표된 <일본산 잡초성 땅빈대속 식물의 종류와 분포>라는 논문에 일본의
큰땅빈대 <Chamaesyce maculata auct. non (L.) Small>는 <Chamaesyce nutans>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는 언급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우리 나라 <큰땅빈대>도 <Chamaesyce nutans> 혹은 현재 대극속으로 돼 있는 <Euphorbia nutans>로
봐야 할 거란 생각이야.

 

 

해서 다시 일본 큰땅빈대 학명으로 거론된 <Chamaesyce nutans>와 <Euphorbia nutans> 으로 검색을 해 보니

큰땅빈대 이미지가 검색되는 게 아닌감?

결국 우리 나라의 큰땅빈대 학명을 다시 검토해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 좀 더 확신을 가지게 해 주었다.

 

===============================================================================================================================

 

내가 제주에서 생포한 이상한 땅빈대 녀석은 <Euphorbia maculata> 혹은 <Euphorbia supina> 학명으로 검색하니

애기땅빈대 이미지와 함께 같이 검색이 되었다.

 

그러면 그 이상한 녀석도 애기땅빈대라는 건데 우리 나라에서 애기땅빈대라고 하는 땅바닥에 달라붙고 잎에 검은 반점이 있는 녀석과는

차이가 너무 많이 나기에 그 검은 점박이 녀석과 한 묶음으로 묶기에는 수긍이 안 되었다.

애기땅빈대와 같은 점이라면 줄기의 털과 열매를 덮고 있는 누운털이고.....잎과 전초의 크기에서는 전혀 다른 녀석인디....

 

 

 

내가 담은 이상한 녀석을 애기땅빈대<Euphorbia maculata>와 같은 종으로 본다는 데 수긍을 하기 싫었던 점도 있지만

일본과 중국에서는 <Euphorbia maculata>를 애기땅빈대로, <Euphorbia supina>를 애기땅빈대의 이명으로 본다면

이명으로 처리하기 전에는 따로 분류가 되어 있었다는 건데 이명으로 처리하게 된 이유가 분명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해서 이명 처리하기 전의 <Euphorbia supina>와 <Euphorbia maculata>은 어떤 녀석이었는지 좀 알아 봐 달라고 다시 부탁을 하였다.

 

꽃동무도 내 생각에 동의하면서  <Euphorbia supina>가 <Euphorbia maculata>의 이명 처리하게 된 근거를 찾아 봐야겠다고 하였다.

이점만 확인된다면 내 이상한 녀석이 애기땅빈대가 아니라 다른 이름을 가진 녀석으로 확인이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헌데 꽃동무는 <Euphorbia supina>와 <Euphorbia maculata>의 통합 전의 존재에 대하여 찾은 내용이 아니라

큰땅빈대의  C. nutans  (혹은 E. nutans)와  C. maculata (혹은 E. maculata) 학명의 혼란을 야기하게 된 근거가 되는 논문을 찾았다.

이 논문에서 큰땅빈대 학명의 오류에 대한 연유와 애기땅빈대의 C. maculata (혹은 E. maculata)와 그 이명으로 처리된  C. supina(혹은 E. supina)의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국 아래의 논문 내용을 보면 우리 나라의 큰땅빈대 학명의 오류에 대한 근원을 알 수 가 있다. 일본 학자 原(Hara) (1940)가 Wheeler(1939)의 주장을 도입한 이후 다시 수정된 학명을 적용하지 않은 큰땅빈대 학명을 우리 나라에서 그대로 적용시켜 버렸다는 것으로 추정이 된다.

 

어디서 잘못된 건지는 모르겠으나 우리 나라의 큰땅빈대 학명으로 기재된  Euphorbia maculata L.  학명은 오류의 근원을 찾아서 바로잡는 연구를 누군가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Chamaesyce nutans (Lag.) Small   (큰땅빈대)
 
총포의 선체 부속체가 화판 모양으로 하얗고 눈에 띄는 것으로, 큐슈 이북에서 보이는 다른 땅빈대속 식물과 구별이 쉽다.
북미원산의 온대성 식물로 (Burch, 1966), 일본에는 1904년에 寺崎留吉(Shunki Okuyama)와 後藤精一郎(Seiichiro Goto)에
의해서 甲府(Kofu)에서 각각 채집된 것이 최초의 보고이다 (Makino, 1905b; 牧野(Makino) 1905b). 제2차세계대전 무렵까지
이미 혼슈에서부터 큐슈의 넓은 범위에 분포를 넓히고 있었다. 현재는 혼슈에서부터 큐슈의 길가나 황무지에 흔히 보인다.

 

오래전에는 <큰땅빈대>에 대해 Chamaesyce nutans (혹은 Euphorbia nutans), 애기땅반대에 대해 C. maculata (혹은 E. maculata)가
사용돼 왔다. 그러나 Wheeler(1939)는 린네 식물원의 표본 시트 (No. 630-4)에 " 17 Euphorbia maculata "라고 써넣어서
이 시트상의 식물이 큰땅빈대가 맞는 것으로 적시했다. 그리하여 <큰땅빈대>는 E. maculata, <애기땅빈대>는 E. supina라는 
학명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1960년대까지 오랜 기간 그 의견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Fosberg, 1946, 1947, 1953 ; 
Wheeler, 1960)과 반대하는 입장(Croizat, 1947, 1948, 1962 ; Svenson, 1045) 간에 격렬한 논의가 벌어지게 되었고, 두 종의
원산지가 북미이지만 세계 각지에 귀화하고 있어서 이러한 학명의 사용에 혼란이 있었다.

 

그러나 결국 Linnaeus(1753)에게  
 " maculata "는 21번 있었고, 17번은 <큰땅빈대>와 유사한 <E. hypericifolia>이었기 때문에, Linnaeus(1753)에 의한 종 배열 순을
고려해서 " 21 maculata "는 <애기땅빈대>처럼 포복하는 식물로 볼 수 있고, <큰땅빈대> 처럼 직립하는 식물로는 보기 어려운
이유 등으로 시트 No. 630-4 상에 써넣은 것 중에 번호 "17" 쪽이 올바르고, " maculata " 쪽은 실수인 것이 시사되어, Wheeler(1939)
처럼 maculata의 적용을 변경해서는 안된다는 것으로 결말을 졌다 (Burch, 1966).

 

그 후에 나온 땅빈대속의 연구자에 의해
식물지나 논문에는 <큰땅빈대>에 C. nutans  (혹은 E. nutans), <애기땅빈대>에 C. maculata (혹은 E. maculata)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Webster, 1967 ; Smith and Tuyin, 1968 ; Oudejans, 1990 ; Lin et al., 1991 ; Ma and Wu, 1992 ; Herndon, 1993 ;
Koutnik and Huft, 1999).

 

한편 일본에는 原(Hara) (1940)가 Wheeler(1939)의 주장을 도입한 이후, 그 후의 상황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거의 예외 없이 <큰땅빈대>에 C. maculata (혹은 E. maculata), <애기땅빈대>에 C. supina (또는 E. supina)라는 학명이

사용이 계속됐다.
 
출처 : 日本産雜草性ニシキソウ属(トウダイグサ科)植物の分類と分布
         저자 : 黒沢 高秀 (Kurosawa Takahide), 福島大学教育学部 (2001)

 

참고:  ( 중국식물지에 Euphorbia nutans 는 수록돼 있지 않고 위 논문에 언급된 Euphorbia hypericifolia 는

     서식종에 포함돼 있음)    

 

헌데 내 이상한 녀석은 애기땅빈대로 처리되어 버린단 말시?

꽃동무는 환경적 요인에 따른 애기땅빈대의 변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기재문을 확인했다고.....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