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생식물3 몽골식물- 눈양지꽃속(장미과 양지꽃속) Potentilla anserina L. 2022. 6. 24~7.1. 몽골. 눈양지꽃은 한국에서도 강원도 석호주변에 자생하는 염습지의 해안식물이다. 몽골에도 초원이나 습한 초지에 염습지식물이 많이 자라고 있었는데갯봄맞이, 갯활량나물속, 취명아주, 눈양지꽃 같은 녀석들이 바로 그 주인공들이다. 몽골의 산지에서 채굴되는 암염과 몇 곳의 염호로 미루어 이곳에서 갯가 식물이나 염습지 식물이 발견되는 게 크게 이상할 일도 아니다.바닷 속에 있던 땅이 대륙의 지각변동으로 융기된 지형이 분명하리라.헌데 이 녀석은 눈양지꽃속의 다른 종이다. 갯봄맞이와 함께 초지 바닥을 깔고 있던 눈양지꽃이다 양지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9 .. 2022. 7. 9. 방석나물(명아주과 나문재속) 신초 Suaeda australis (R. Br.) Moq. 2020. 6. 17. 경남. 해안 갯가에 사는 염생식물이다.줄기는 아래쪽에서 사방으로 방석 모양으로 퍼지며, 비스듬하게 자란다. 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9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9432 (꽃)호모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570호모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69호모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29 꼬리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24 https://qweenbee.ti.. 2020. 6. 18. 기수초(명아주과 나문재속) Suaeda malacosperma H. Hara 2019. 11. 7. 경남. 이제는 거의 잎이 다떨어졌지만 그래도 찾아낼 수 있었다.잎의 한면이 납작하여 단면이 반원형으로 잎 중간이 넓은 난형이다. 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9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9432 (꽃)호모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570호모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69호모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29 꼬리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 2019. 11.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