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막살나무7 가막살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Viburnum dilatatum Thunb. 2020. 5. 25. 식재.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70https://qweenbee.tistory.com/8891069 https://qweenbe.. 2020. 6. 14. 푸른가막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 2020. 5 22-23. 가거도. 국내에서는 가거도에만 자생하는 상록성나무로 잎 양면에 털이 없고잎이 두꺼운 넓은 타원형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tps://qweenbee.tistory.co.. 2020. 6. 14. 가막살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유사 2020. 5. 23. 가거도. 푸른가막살이 자라는 옆에서 만났다.처음에는 푸른가막살로 보고 지나치려고 했는데 뭔가 좀 이상하였다.잎을 살펴 보니 푸른가막살과 달리 잎에 광택이 별로 없고 잎 표면의 잎맥이 깊고 잎자루와 뒷면에 누운 털이 보였다. 함께 동행한 분이 낙엽성으로 보고 가막살나무로 동정하였는데가막살나무는 잎 양면에 별모양털이 있으니 사실 완벽한 가막살나무로 보기에도 애매한 개체였다. 가막살나무는 전체에 털이 있고 잎, 어린 가지, 꽃차례에 별모양 털이 있으며 수술대는 꽃부리와 거의 떨어져 달리므로 산가막살나무와 구별된다. 가막살나무 유사 : 잎자루와 잎맥에 누운털이 보인다푸른가막살 : 털이 없다 꽃차례에도 흰털과 샘점이 보인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 2020. 6. 14. 푸른가막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Viburnum japonicum (Thunb.) Spreng. 2020. 5. 22. 남도의 섬. 작년과 똑 같은 날짜에 들어 가서 이 녀석 꽃이 거의 다 져버렸을 거라 걱정했는데올해의 개화가 3~4일 정도 늦은 덕분에 싱싱하게 피어 있는 녀석들과 조우하게 되었다. 작년에 탐사하지 않은 등산로를 탐사하다 보니 임도 남사면과 북사면, 숲 속 등, 많은 개체를 만났다.가지가 가늘어서 옆의 큰 나무에 의지하기도 하며 키는 5~6m 정도로 큰 녀석도 있었다.상록수라서 가죽질의 잎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잎 뒷면에 미세한 샘점이 빽빽하게 보였다. 정상에 가까운 숲길에 아주 풍성한 녀석을 만났다.마을에서 멀지 않은 산 아래 임도변에는 벌써 꽃이 다 졌다.아마도 사흘 전에 들어 간 팀이 이 녀석을 보고 꽃이 끝물이란 소식을 전했을 것 같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2020. 5. 28. 분꽃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동아 Viburnum carlesii Hemsl. var. bitchiuense (Makino) Nakai 2018. 3. 3. 경남. 작살나무처럼 잎눈은 인편이 없이 나출되어 있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70https://qweenbee.tistory.. 2018. 3. 18. 분꽃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해안형 Solenolantana carlesii (Hemsl.) Naka 2016. 5. 21. 남도. 해안 도서 지역의 분꽃나무이다.잎의 거치가 아주 얕고, 두텁고 원형에 가까운 넓은 모습을 하고 있다.육지의 녀석들이 아니라 이 녀석을 섬분꽃나무로 부르고 싶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 2016. 6. 1. 분꽃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해안형 Solenolantana carlesii (Hemsl.) Naka 2016. 5. 6. 울릉도. 분꽃나무다. 육지의 분꽃나무보다 잎이 넓다.울릉도에 육지 녀석과 다른 분꽃나무가 있다는 걸 생각하지 못하고 작년에는 미처 담아주지 못하였다. 사실 육지의 분꽃나무를 섬분꽃나무라고 하는데 분꽃나무와 섬분꽃나무 이름을 바꾸어 놓은 게 문제다.실제로 울릉도 식물에 등의 접두어를 달고 있는 것을 보면 이 녀석을 섬분꽃나무라 해야 옳은 거다 그런데 일행 중 누군가 분단나무라고 하는 바람에 나도 생각 없이 분단나무라고 하면 이 녀석을 담았다잎맥이 좀 얕은데?? 라고 생각만 했었는데 납작한 열매가 분단이 아니라 분꽃나무인 것을 생각 못했다. 울릉도와 섬 지역의 분꽃나무는 육지 것 보다 잎이 더 둥글고 넓은 형이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 2016. 5.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