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18959

꽃마리(지치과 꽃마리속)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s.) Benth. ex Baker & S.Moore 2023. 4. 21. 시계 태엽처럼 감겨 있던 꽃줄기가 다 풀려버리니 전혀 다른 모습이 되어 버렸다. 거센털꽃마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9 https://qweenbee.tistory.com/8902580 https://qweenbee.tistory.com/8902581 https://qweenbee.tistory.com/8903825 https://qweenbee.tistory.com/8903913 https://qweenbee.tistory.com/8905263 https://qweenbee.tistory.com/890708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55.. 2023. 5. 9.
모래지치(지치과 모래지치속) Argusia sibirica (L.) Dandy 2023. 4. 21. 동해안. 황사가 얼마나 짙게 날아오는지 사방이 안개가 자욱한 듯. 바람의 지휘에 따라 파도는 연신 바위를 두드려댄다. 내 말 좀 들어 봐~!!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 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 https://qweenbee.tistory.com/8895.. 2023. 5. 9.
반디지치(지치과 지치속) Lithospermum zollingeri A.DC. 2023. 4. 21. 동해안. 경북 지역에서 이 녀석을 보긴 처음 같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 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 https://qweenbee.tistory.com/8895919 https://qweenbee.tistory.com/8896428 https://qw.. 2023. 5. 9.
갯봄맞이(앵초과 참좁쌀풀속) Lysimachia maritima (L.) Galasso & Banfi & Soldano var. obtusif 2023. 4. 25. 경북. 멸종위기식물인지도 모르고 보러 다녔네...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5https://qweenbee.tistory.com/88900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05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6https://qweenbee.tistory.com/889570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0https://qweenbee.tistory.com/8903879   https://q.. 2023. 5. 9.
낭독(대극과 대극속) 꽃 Euphorbia fischeriana Steud. 2023. 4.  드디어 개화가 시작되었다.솜털 보소소한 총포엽으로 조심스레 꽃을 품고 있다. 돌려나기 하는 줄기잎포엽에 포슬포슬 털도 보인다 올해는 꽃을 못 피울 무성지만 올린 지각생 줄기 잎 돌려나기 ,1포엽  3장    낭독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281   https://qweenbee.tistory.com/8911153낭독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1   https://qweenbee.tistory.com/8908824           https://qweenbee.tistory.com/8911151   https://qweenbee.tistory.com/8911194낭독 새싹 : https://qween.. 2023. 5. 9.
잎맥이 자색인 낚시제비꽃 2023. 5. 6. 남도. 일전에 긴잎제비꽃의 특징에 잎맥이 자색이라 정리하였더니 자색 무늬가 절대적인 특징은 아니라 낚시제비꽃의 잎맥에도 자색무늬가 있는 경우가 있다는 댓글이 있었다. 긴잎제비꽃의 자색 잎맥이란 물론 보편적인 경향성을 말한 것이었고 비슷한 자주잎제비꽃과 구분할 때 잎맥의 자색이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낚시제비꽃 잎맥에 자색을 띠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된 내용이라 재미있다는 생각을 했는데 이번 섬지역 조사에서 자색 맥을 가지고 있는 낚시제비꽃을 만나게 되었다. 주변의 낚시제비꽃 여러 개체의 잎맥에 자색이 발현되어 있었다. 이는 보편적인 현상이라기 보다 특별한 경우가 되겠지. 2023. 5. 9.
결실기의 왜제비꽃 2023. 5. 2. 대구. 몇 년 전에는 흰들제비꽃이 엄청 많이 있었는데 모두 사라지고 이 녀석만 득시글한다. 왜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0642 https://qweenbee.tistory.com/88971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5089 https://qweenbee.tistory.com/8895292 https://qweenbee.tistory.com/8910356 2023. 5. 8.
긴꼬리제비꽃 2023. 5. 6. 남도. 채집한 긴꼬리제비꽃 표본이다. 총생한 잎 기부에 폐쇄화 열매가 달려 있었던 걸 표본을 만들면서 발견하였다. 압착하여 건조가 되니 열매가 터져서 종자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잎은 삼각상으로 엽저에 귀가 발달하고 잎자루로 흐르는 날개가 없다. 뿌리는 밝은 갈색 (베이지색), 원뿌리 직근이 발달. 종자 베이지색 열매 끝에 짧은 암술대가 있는 것 같은데 그러면 폐쇄화가 아닌 개방화 열매일 것이다 긴꼬리제비꽃 : http://blog.daum.net/qweenbee/8902264 https://qweenbee.tistory.com/891035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53 2023. 5. 8.
긴꼬리제비꽃을 찾아내다 2023. 5. 6. 아침 8시 30분에 현장에 도착하여서 오후 7시까지 둘레길을 완주하여 식생조사를 하였다. 숲속이며 무덤 주변 까지 들락거리며 생식기관(꽃이나 열매)이 있는 식물 종 150 종 정도를 표본 채집하였다. 어제는 비가 쏟아져서 시도도 못해보고 후퇴를 했기에 아침 일찍부터 작정하고 조사한 결과이다. 꽃봉오리를 달고 있는 목본, 이미 꽃이 져서 열매를 달고 있는 초본, 개화 중인 벼과와 사초과 아주 신이 나서 조사를 하긴 했는데.......... 아침에 과일과 커피 한 잔, 점심은 사 가지고간 샌드위치로 두 끼를 떼웠으니 오후 6시 쯤 되니 배가 고파서 갑자기 힘이 빠져버렸다. 신발도 고무 장화를 신고 둘레길을 완주하였으니 발바닥도 아우성이고..... 8시에 낙지비빔밥으로 저녁 식사를 해결하.. 2023. 5. 7.
타래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lactea Pall. var. chinensis (Fisch.) Koidz. 2023. 4. 15. 동해안. 이 녀석 개화기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여 해마다 뒷북을 치곤 했는데 올해는 꽃동무의 연락 덕분에 적당한 때에 동해안을 찾았다. 바람이 거세게 불어서 찰나를 잡느라 신경을 쓰긴 했지만 하얗게 잔소리를 일으키며 달려드는 파도가 적절하게 자리를 채워 주었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 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 2023. 5. 6.
보현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 bohyeonsanensis M.Kim & H.Jo 2023. 4. 25. 경북. 보현산에서 발견이 되어 이름을 얻은 보현개별꽃은 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이다.보현산에서 처음 발견이 되어 보현개별꽃이란 이름은 얻었지만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이 어울려 있는 곳에는 어디서나 보현개별꽃이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5장의 꽃잎의 수와 모양, 가지가 생기는 점, 꽃받침의 성근 털과 화경의 털은 덩굴개별꽃의 특징을 조금 닮았고태백개별꽃처럼 줄기에 자색이 돌고 꽃받침이 긴 피침형이며 방추형 뿌리를 2-3개 가지고 있다.  교잡종의 특징에 따라 이 녀석도 결실이 되지 않는다.  꽃받침이 긴 피침형에 털이 성글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 2023. 5. 5.
노랑무늬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odaesanensis Y.N.Lee 2023. 4. 25. 부슬거리는 안개비를 맞으면서 높은 산 숲을 헤집고 다녔다. 보려던 녀석은 아직 감감소식이고 꿩 대신에 이 녀석들과 한참 노닥거렸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 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솔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55 https://qweenbee.tistory.com.. 2023.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