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18952 잠자리피(벼과 잠자리피속) Sibirotrisetum bifidum (Thunb.) Barberá 2024. 6. 11. 남도. 돌산도 식물상 조사 중. 임도를 조사하다가 볓 받은 잠자리피에 샷~~!개화시의 응집화서였던 게 결실시 까락도 옆으로 벌어지지고 화서도 약간 개방되어서 처음에는 다른 녀석인 줄 알았다. 잠자리피 : https://qweenbee.tistory.com/8907212 https://qweenbee.tistory.com/8908916 잠자리피 결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45 2024. 11. 1. 들깨풀(꿀풀과 쥐깨풀속) Mosla scabra (Thunb.) C.Y.Wu & H.W.Li 2024. 10. 8. 남도. 털이 많기에 털쥐깨풀이 아닐까 하고 들여다 보았는데, 줄기 아래 잎이 거의 떨어져서 잎의 형태와 톱니 확인이 잘 안된다. 꽃받침 톱니의 깊이로 봐서는 깊이가 있어서 들깨풀로 보인다.헌데 일반적인 들깨풀보다 털이 더 많다 보니 털쥐깨풀이 아닐까 혼란을 준 것 같다.이 정도의 잎새 톱니로 봐서 들깨풀로 봐야겠다. 산들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6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1 https://qweenbee.tistory.com/8903167 https://qweenbee.tistory.com/8904417 https://qweenbee.tistory.com/8911433 h.. 2024. 11. 1. 참새외풀(현삼과 밭둑외풀속) 열매 Lindernia antipoda (L.) Alston 2024. 10. 29. 남도. 늦은 가을햇살에 마지막 결실을 위해 꽃을 피우고 있는 조급한 참새외풀의 개화로벼베기가 끝난 논둑에는 작은 꽃잔치가 열리고 있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주로 자라는데 서울 동묘에도 이 녀석이 자라고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세계적으로 동남아시아, 호주, 부탄 등지에 분포한다. 열매는 삭과이며, 길이 0.5-1.4cm로서 결실기에 남아 있는 꽃받침보다 2배 이상 길다 잎은 장타원형, 장타원상 피침형, 타원상 도피침형, 선상 피침형 등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짧고 넓다. 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5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5 논둑외풀 : https://qweenbee... 2024. 11. 1. 미국외풀(현삼과 밭둑외풀속) Lindernia dubia (L.) Pennell 2024. 10. 13. 경남. 경작을 포기한 논자리에 수생식물들의 결실이 풍성하다. 미국외풀은 잎은 마주나고 장타원형으로 끝은 다소 무디고, 가장자리는 2~3쌍의 톱니 모양이다. 꽃자루는 잎보다 짧다. 미국외풀은 잎몸이 대개 도란형으로 가장자리에 뚜렷한 톱니가 있는 점에서 잎몸이 장타원형으로 톱니가 없는 밭둑외풀과 쉽게 구별되며, 잎몸이 피침형 또는 긴 장타원형으로 톱니가 낮은 논둑외풀, 잎몸이 삼각상 난형으로 톱니가 낮은 외풀과 구별된다. 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5 https://qweenbee.tistory.com/8901605 논둑외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17 https://qweenbee.t.. 2024. 11. 1. 서덜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grandifolia Maxim. 2024. 10. 5. 경북. 둥근잎꿩의비름 그늘진 계곡에서 만났던 꽃이 피고 있던 서덜취 녀석잎꼬리가 길게 빠진 각시서덜취에 비하여 잎꼬리가 짧다.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총포는 종형이고 끝이 약간 좁으며 밑부분이 둥글고 포편은 7~10줄로 배열한며 하며 내편이 외편보다 4~5배 길고 외편은 넓은 달걀모양, 중편은 장타원형이고 내편은 선형이며 자줏빛이 돌고 뒷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길이 4~10cm이다. 잎몸은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8~20cm, 폭 4~13cm, 밑이 심장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조금 있으며, 뒷면은 거미줄 같은 털이 난다. 큰각시취:.. 2024. 10. 30. 자병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chabyoungsanica H.T.Im 2024. 9. 29. 한반도 특산종으로 1997년 강원 정선의 자병산에서 발견하여 신종으로 발표하였다. 석회암지역 산지에 드물게 만날 수 있는 녀석으로 잎이 좁고 긴 타원형이며, 산방상으로 달린 두상화가 유난히 작다. 꽃은 분홍빛을 띤 자주색으로 타원형의 머리모양꽃차례가 산방상으로 꽃대축 위에 달린다.20~60개의 두화가 밀집하여 달리며 화경 길이는 1~2mm 정도로 매우 짧다.총포는 좁은 원형으로 길이 8~10mm, 너비는 3mm 정도이며, 포편은 6~7열이다. 아래쪽 줄기잎은 긴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또는 귓불 모양이며, 길이 12cm 정도, 너비 1.5~2cm,가장자리는 둔한 톱니 모양이고,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 2024. 10. 30. 산궁궁이(참고본) (산형과 산천궁속)열매 Conioselinum smithii (H.Wolff) Pimenov & Kljuykov 2024. 9. 29. 강원도. 오랜만에 들렀다고 많이도 촬영했다. 열매에는 곤충 더듬이 같은 암술대가 숙존하고 있다. 총포는 1개 정도이지만 소총포는 많다. 왜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6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5https://qweenbee.tistory.com/8893121왜당귀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05754 참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46https://qweenbee.tistory.com/8895145 https://qweenbee.tist.. 2024. 10. 30. 산궁궁이(참고본) (산형과 산천궁속) Conioselinum smithii (H.Wolff) Pimenov & Kljuykov 2024. 9. 29. 강원도 오랜만에 녀석의 안부를 물으려고 이 계곡을 찾았다. 여전히 잘 살고 있어서 안심이다.이태 전 삼척의 산 능선부에서 우연하게 만나서 놀라게 했던 녀석은 잘 살고 있겠지? 왜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6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5https://qweenbee.tistory.com/8893121왜당귀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05754 참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46https://qweenbee.tistory.com/8895145 .. 2024. 10. 30. 동강기름나물(산형과 기름나물속) Peucedanum tongkangense K.Kim, H.J.Suh & J.H.Song 2024. 9. 29. 강원도. 영월 정선의 동강 주변 절벽이나 석회암 지역 계곡부에 자라는 녀석이다그 동안 가는기름나물로 불리었지만 오동정이 확인되어서 2022년 동강기름나물로 신칭 발표되었다. 기름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80 https://qweenbee.tistory.com/8890925https://qweenbee.tistory.com/8891130 https://qweenbee.tistory.com/8896336https://qweenbee.tistory.com/8899967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4 https://qweenbee.tistory.com/8911279(북해도) 산기름나물.. 2024. 10. 30. 선괭이밥(괭이밥과 괭이밥속) Oxalis stricta L. 2024. 9. 25. 남도 섬. 예전에 선괭이밥이라 부르던" Oxalis dillenii" .녀석이 아니다예전의 꼿꼿하게 선 녀석은 "들괭이밥"으로 국명이 바뀌었다.즉 그동안 오동정으로 학명 적용이 잘못되었던 것이다. 이 녀석은 이름은 "선괭이밥" 인데 길게 포복하는 줄기가 있고 종자 주름에 백색 무늬가 없다. 들괭이밥은 기는 줄기가 거의 발달하지 않고 종자 표면의 주름이 뚜렷하고 주름에 선명한 백색 무늬가 있다. 주로 남해안 지역이나 섬지역에는 이 포복지를 길게 벋는 선괭이밥이 아주 흔하게 나타났다. 길게 벋은 포복지가 서로 엉겨서 군락을 이룬다. 종자 주름에 백색 무늬가 없다.프렛쉬를 터뜨려 촬영을 해서 반사 빛이 나타났다. 괭이밥 :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4. 10. 29. 산들깨(꿀풀과 쥐깨풀속) Mosla japonica (Benth. ex Oliv.) Maxim. 2024. 9. 25. 후손이 찾아오지 않은 어느 조상님 묘를 지나는데 산들깨가 위로를 해주고 있다.길 없는 험한 숲을 헤치고 가려니 일행들과 떨어질 수가 없어서 몇 컷 퍽샷으로 날린다. 산들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76 https://qweenbee.tistory.com/8899781 https://qweenbee.tistory.com/8903167 https://qweenbee.tistory.com/8904417 https://qweenbee.tistory.com/8911433산들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900 가는잎산들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 2024. 10. 29. 방석나물(명아주과 나문재속) Suaeda australis (R.Br.) Moq. 2024. 10. 7. 남도. 지난 9월에는 꽃이 피지 않아서 표본을 채집하지 못하였는데 이제서야 꽃이 피기 시작하고 있다. 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9 https://qweenbee.tistory.com/8891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9432 (꽃)호모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570호모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69호모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1129 꼬리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24 https://qweenbee.tistor.. 2024. 10. 2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