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수목류4158 물개암나무(자작나무과) 2009. 8. 23. ㄱㅇ산. 병개암나무인줄 알았더니 이창복 원색식물도감 검색표를 확인하니 포의 끝이 이렇게 열매새서 서서히 오므라지는 녀석이 물개암나무란다. 병개암나무는 포가 이렇게 길지 않다. 물개암나무 : 총포가 열매에서 급하게 좁아지지 않고 길게 자라면서 총포의 끝이 좁아진다. 2009. 7. 30. 고운사 고운사의 물개암나무는 열매를 싸고 있는 길쭉한 포의 끝이 뾰족하게 오므라져 있다. 참개암나무라 생각했던 봉정사의 개암나무도 물개암나무다. 참개암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24 http://blog.daum.net/qweenbee/8889542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4 http://blog.daum.ne.. 2009. 8. 24. 개옻나무(옻나무과) 2009. 8. 23. ㄱㅇ산. 옻나무과 붉나무속으로 산검양옻나무와 검양옻나무가 있는데 검양옻나무는 털이 없는 녀석으로 주로 제주도와 완도 등 남쪽 섬지역에 자생한다고 한다. 이 녀석은 가야산 숲 속에서 만났으니 산검양옻나무일 수도 있는데 수고가 높아서 황갈색 털을 확인할 길이 없다... 2009. 8. 24. 털야광나무(장미과) 열매 2009. 8. 23. ㄱㅇ산. 하얀꽃이 눈부셔서 밤에도 하얗게 빛이 난다는 그래서 야광나무란 이름을 얻었다나? 장미과 나무들은 꽃과 열매가 비슷하여 쉬 구분하기 어렵다. 이 야광나무도 아그배나무와 무척 비슷하여 헷갈린다. 2009. 9. 4. 더덕더덕 갈라진 수피가 특징이 잇다. 둥근잎개야광 꽃 : .. 2009. 8. 24. 비목나무(녹나무과 생강나무속) Lindera erythrocarpa Makino 2009. 8. 23. ㄱㅇ산. 초연이 쓸고 간 기이~픈 계곡 깊은 계곡 양지녁에~~이 노래의 비목과 이 나무는 같은 의미는 아닌데 이 노래만 들으면 비목나무가 떠 오른다. 비목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54https://qweenbee.tistory.com/889545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44https://qweenbee.tistory.com/8907072 https://qweenbee.tistory.com/8910344비목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22 https://.. 2009. 8. 24. 감태나무(녹나무과) 2009. 8. 22. 겨울이 되어도 붉으레한 단풍이 든 채로 가지에 잎이 붙어서 황량한 겨울산을 장식해 주는 감태나무. 열매는 까맣게 익는다. 새순은 주홍색이며 단풍은 주홍색 또는 황색이고 겨울에도 마른잎이 떨어지지 않는다. 난대림 지역에서는 겨울에도 엽병의 기부가 살아 있다. <감태나무> 잎은 .. 2009. 8. 23. 망종화(금사매) 2009. 8. 22. 중국원산으로 금사매란 이름도 가지고 있다.커다란 꽃으로 주변이 환하다. 초여름부터 늦가을까지 핀다. 꽃의 크기는 4~5cm이다. 꽃받침, 꽃잎은 5장이고, 수술은 5뭉치며 암술대는 5갈래이다. 꽃차례는 1송이 또는 3~4송이가 줄기 끝에 붙는다.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형으로 잎차례는 대생이며,.. 2009. 8. 23. 꽃댕강나무(인동과) 2009. 8. 20. 가느다란 가지 하나가 얼어 죽지 않고 목숨부지하더니만잔가지마다 꽃자루를 뽑아내어 끝도 없이 꽃을 피우고 있다. 줄댕강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5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6https://qweenbee.tistory.com/88918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6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3 https://qweenbee.tistory.com/8897670https://qweenbee.tistory.com/8900968 https://qweenbee.tistory.com/8902613h.. 2009. 8. 21. 신나무(단풍나무과) 2009. 8. 20. 단풍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26 http://blog.daum.net/qweenbee/8885925 단풍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141 http://blog.daum.net/qweenbee/8894813 http://blog.daum.net/qweenbee/8887251 당단풍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0327 http://blog.daum.net/qweenbee/8887252 당단풍나무 꽃 : http://blog... 2009. 8. 21. 만주고로쇠(단풍나무과) 2009. 8. 21. 청시닥나무(단풍나무과) 열매 2009. 8. 15. ㅎㅇ산. 금강초롱과 닻꽃을 넉넉하게 만나고 내려오는 길에 단풍나무과 나무 열매와 잎을 담느라고 시간이 많이 지체된다. 할 수 없다. 공부방 비교 자료를 만들어야 하니 아래 쪽 산에서는 잘 만날 수 없는 것은 만날 때 담아야 한다. 잎자루 : 청시닥나무는 앞쪽은 붉고 뒤쪽은.. 2009. 8. 19. 시닥나무(단풍나무과) 2009. 8. 8. ㅎㅂ산. 꽃 대신 잎이 한 인물 하는 시닥나무. 햇순과 잎자루가 유난히 붉다. 비슷한 종으로 청시닥나무가 있는데 우선 쉬운 구분은 가지를 뒤집어서 앞에서 보면 <청시닥나무>나 <시닥나무>나 잎자루가 붉다. 그런데 잎 뒷부분을 살펴보았을 때 잎자루가 녹색이면 <청시닥나무>이.. 2009. 8. 19. 위성류(위성류과) 여름꽃 2009. 8. 19. 출근 길. 멀리서 보면 잎이 아니라 안개털 같은 느낌을 주는 나무다. 출근 길에 보니 어느 집 담 옆에 연분홍색 꽃이 피었길래 지나가다가 잠시 차를 세웠다. 나뭇가지를 잡아당겨서 조준을 하는데 혹시나 주인이 나올까 맘이 급해서 달달.. 총상화서는 1년에 두번 생기고 봄철의.. 2009. 8. 19. 이전 1 ··· 332 333 334 335 336 337 338 ··· 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