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새 싹,로제트1718 서울개발나물(산형과 서울개발나물속) 2014. 5. 5. 경남. 낙동강 하구 습지다. 서울개발나물 근생엽이라고는 하는데.....처음 보는 모습이라... 이 녀석이 줄기잎은 특별하게 가느다란 선형인데 근생엽의 모습은 완전히 다르다. 하기사 감자개발나물의 신초의 모습도 성체의 잎과 전혀 다른 모습을 하고 있고 식물마다 신초와 성체.. 2014. 5. 15. 감지개발나물(산형과) 신초 =>대암개발나물 Sium tenue Kom 2014. 5. 3. 경북. 2012. 9. 23. 경남. 세잎개발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23 http://blog.daum.net/qweenbee/8890522 http://blog.daum.net/qweenbee/8894445 세잎개발나물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4447 http://blog.daum.net/qweenbee/8901536 세잎개발나물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4446 대암개발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32 http://blog.daum.net/qweenbee/8888440 http://blog.daum.ne.. 2014. 5. 15. 꼭지연잎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신초 2014. 5. 6. 강원도. 잎새 모양이 꽃보다 더 이쁘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 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e.tistory.com/8896940 꿩의다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2 꿩의다.. 2014. 5. 11. 처녀치마(백합과) 신초 2014. 5. 4. 경북. 어린 싹들은 많이 보이는데 꽃이 핀 흔적이 안 보인다. 처녀치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80https://qweenbee.tistory.com/8889683 https://qweenbee.tistory.com/8899054https://qweenbee.tistory.com/8900764 https://qweenbee.tistory.com/8900765https://qweenbee.tistory.com/8904992 https://qweenbee.tistory.com/8905074 https://qweenbee.tist.. 2014. 5. 9. 가지괭이눈 신초 2014. 4. 27. 강원도. 누른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633 http://blog.daum.net/qweenbee/8887707 http://blog.daum.net/qweenbee/8887649 http://blog.daum.net/qweenbee/8893327 http://blog.daum.net/qweenbee/8895510 누른괭이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508 천마괭이눈(금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708 http://blog.da.. 2014. 5. 9. 함박이(방기과 함박이속) 새싹 2014. 4. 9. 제주. 함박이 어린 덩굴이 방패 모양 잎을 내밀며 모양을내고 있다. 방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77 http://blog.daum.net/qweenbee/8892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3912 http://blog.daum.net/qweenbee/8894100 http://blog.daum.net/qweenbee/8894235 방기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4102 방기 열매 : http://blog... 2014. 5. 3. 댕댕이덩굴(방기과 댕댕이덩굴) 새싹 2014. 4. 19. 마애. 어린 싹을 보고서 금방 알아 보지 못했다. 2014. 4. 26. 강원도. 방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77 http://blog.daum.net/qweenbee/8892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3912 http://blog.daum.net/qweenbee/8894100 http://blog.daum.net/qweenbee/8894235 방기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4102 방기 열매 : http://blog.d.. 2014. 5. 3. 싱아(마디풀과 싱아속)? 신초 2014. 4. 8. 경북. 잎 표면에 털이 많고 다른 녀석들 보다 많이 두텁다. 싱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601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7 https://qweenbee.tistory.com/8896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6556 https://qweenbee.tistory.com/88996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294 https://qweenbee.tistory.com/8904261 싱아 신초 : https:.. 2014. 4. 29. 참개싱아(마디풀과 싱아속) 신초 2014. 4. 27. 강원도. 그렇지~! 이 곳에 참개싱아가 있었다. 재작년 이 녀석 혹시나 얇은개싱아가 아닐까 하여 그누무 꽃자루 마디 위치와 화피편이 열매를 얼마나 싸고 있는지 확인하느라고 눈 빠지게 했던 녀석이다. 결국 참개싱아로 방망이를 두드렸는데 신초를 아직 보지 못했는데 잘 되었다 싶어서 신초를 찾는데 엥~! 배터리가 깜빡거린다. 겨우 겨우 달래서 몇 장 간신히 담았다. 싱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4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601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7 https://qweenbee.tistory.com/.. 2014. 4. 28. 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뿌리잎 2014. 4. 15. 안동.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흔히 양면에도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이 없다. 끈끈이장구채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81 http://blog.daum.net/qweenbee/8888471 http://blog.daum.net/qweenbee/8888216 http://blog.daum.net/qweenbee/8886414 h.. 2014. 4. 23. 둥근배암차즈기(꿀풀과 배암차즈기속) 신초 2014. 4. 5. 전남. 작년 이 곳에서 이 녀석 신초를 처음 만나고서 정체를 몰라서 한참 헤멨던 녀석이다 종자는 다 떨어지고 ..... 둥근배암차즈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2210 https://qweenbee.tistory.com/8892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575 둥근배암차즈기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1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99 .. 2014. 4. 8. 가는쑥부지깽이(십자화과) Erysimum macilentum 2014. 3. 이 녀석은 쑥부지깽이와 다른 녀석으로 확인이 되었다. 가까운 깽이 밭에 들렀다가 살구꽃이 고와서 잠시 차를 세웠는데밭 이랑에 얕은 결각이 드물게 난 쑥부지깽이 몇 포기가 보인다 밭갈이를 하면 사라질 것 같아서 신초 몇 포기 가지고 와서 마당 가에 심어 두었다.그랑께 울 집 마당이 잡초밭이 되는 거여. ㅎㅎ 잎 가장자리에 얕은 거치가 드문드문 있다. 부지깽이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911214(내몽골) 가는쑥부지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60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2 https://qweenbee.tistory.com/8889786 .. 2014. 4. 4. 이전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