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사초과435

병아리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hakonensis Franch. & Sav. 2024. 10. 27. 강 건너. 갑작스럽게 나타난 노랑하늘타리 열매에 급하게 차를 세웠는데논 가장자리에 나타난 이 녀석 때문에 또 놀랐다. 거참~! 이 녀석이 내 선입견을 여지 없이 박살내어 버렸다.늘 남쪽에서만 녀석을 만나왔던 터라 경북지역에서는 볼 수 없다고 단정해 버린 내 짧은 안목말이다.내가 보지 못했다고 해서 이 곳에는 분포하지 않는다고 단정하는 위험한 판단을 조심해야 겠다.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 2024. 10. 28.
모기골(사초과 모기골속) Bulbostylis barbata (Rottb.) C.B.Clarke 2024. 10. 27. 동네. 바닷가나 하천가 모래밭을 좋아하는 녀석이 도회지 도로변 인도에 자리를 잡아 살고 있다.공원 조경수를 심을 때 따라온 모양인데, 인도블럭 틈새에서 용케도 잘 살고 있다. 자루가 없는 소수가 3-15개씩 머리모양으로 빽빽하게 모여서 달린다.줄기는 모여나고 잎은 줄기보다 짧으며 너비 0.5mm의 약간 말린 선형이다.  모기골 : https://qweenbee.tistory.com/88981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429 2024. 10. 28.
솔방울골(사초과 고랭이속) 2024. 9. 17. 경북.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좀올챙이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3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https://qweenbee.tistory.com/8908893  큰고랭이 종자 : https://qweenb.. 2024. 10. 23.
좀송이고랭이(사초과 송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mucronata (L.) J.Jung & H.K.Choi 2024. 10. 7. 남도. 해안 갯바위 습지에 참 다양한 습지 식물이 모여 있다.  땅속줄기는 짧게 뻗는다. 줄기는 모여나고, 단면은 모서리가 예리한 정삼각형이거나 날개가 있다.2~10개의 소수가 달린다. 작은이삭은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7~12mm이다. 인편은 도란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맥은 잘 구별되지 않는다.  고창고랭이와 근연분류군에 대한 검색표1. 지하경은 길게 신장하며, 화서는 1개의 소수가 달린다 ···· ··············································· 제주올챙이골 S. lineolata1. 지하경은 없거나 짧으며, 화서는 1개 이상의 소수가  달린다.    2. 식물체는 대형이고 줄기 단면은 삼각형 한가지만 있다.       3. 줄기 단면은 부등.. 2024. 10. 23.
솔방울고랭이(사초과 고랭이속) Scirpus karuisawensis Makino 2024. 10. 13.  경남. 방울고랭이 ; 소수 3~7개 열매가 구형에 가까운 타원형 이삭이 아래로 늘어진다. 화서 가지가 까끌거린다. 개화기 8~9월솔방울고랭이 ; 소수 5~10개, 열매가 긴 타원형이고 이삭이 꼿꼿이 선다. 개화기 9~10월, 산지 습지에서 자람솔방울골 ; 소수 10~25개 열매 타원형 화서가 빽빽히 달리고 끝에 뭉쳐나는 갯수가 많다. 잎이 더 넓고 인편은 좁다.         개화기 7~8월, 저지대 습지에서 자람(한반도와 일본에 분포) 중국 식물사이트 세밀화1~ 5 방울고랭이    6~10 솔방울고랭이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 2024. 10. 23.
흰(서울)방동사니/푸른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pacificus (Ohwi) Ohwi /Cyperus nipponicus Franch. & Sav. 2024. 9. 11. 경남.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흰방도사니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서울방동사니로국가의 두 기관에서 같은 학명으로 두 가지 국명을 기록하고 있다.    이 녀석은 푸른방동사니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9    https:.. 2024. 10. 16.
모기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haspan L. 2024. 9. 23. 남도. 소수가 모기다리 처럼 가느다랗고 땅속줄기가 벋어나간다.  화수자루는 10-20개, 길이는 5-10cm이다. 화수 3-10개의 소수가 달린다. 소수 적갈색이고, 선형으로 납작하다. 길이는 5-10mm이고, 너비는 1-2mm이며, 10-25개의 소화가 조밀하게 달린다. 인편 자갈색이고, 중륵은 녹색이며, 장타원형이다. 길이는 1-1.5mm이고, 3맥이 있으며, 둔두이다.한반도의 남부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며, 우산방동사니(C. tenuispica)에 비해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고, 소수는 꽃이 조밀하게 붙으므로 구분된다.  옆으로 벋는 땅속줄기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 2024. 10. 16.
너도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serotinus Rottb. 2024. 10. 13. 경남. 우포늪 토평천 주변 식물상 조사 중에 마른 논 가장자리에 반갑게 만난 녀석. 흔하지 않은 만남이라 더 반갑다. 푸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688 https://qweenbee.tistory.com/89043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0 흰(서울)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19 https://qweenbee.tistory.com/8911401 알방동사니 : https://qweenbee.tistory.com/8.. 2024. 10. 14.
구실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levis Retz. 2024. 10.  아직 만나보지 못한 녀석이라남도로 곧 달려가야 한다.  다년생이다. 대형의 초본으로 목질화 된 근경이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높이는 70-100cm이고, 직립하며, 단면은 삼각형이다. 너비는 3-5mm이고, 까끌거리며, 잔털이 있다. 잎은 엽초는 길이 1-8cm이고, 아래쪽에 붙는 엽초는 갈색이며, 날개가 없다. 줄기는 상부에 달리는 경생엽의 엽초는 녹색이고, 너비 1-3mm의 날개가 있다. 엽신은 선형이고, 길이 약 30cm이며, 너비는 7-10mm이다. 포엽은 잎모양이고, 길이 13cm까지 되며, 소포엽은 강모모양으로 기부는 엽이로 된다. 화서는 1-2개의 가지가 있는 원추화서이고, 가지는 길이 3-8cm이다. 소수는 1-2개가 뭉쳐있고, 갈색으로 단성화이다. 거의 자루가 없으며,.. 2024. 10. 14.
너도고랭이(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parvula Steud. 2024. 9. 23.  남도의 습지에서 만나는 녀석이다. 나도고랭이속 중에서 대형으로 크며 엽초에 날개가 있어서 근연종과 구분이 된다.유사한 녀석으로 구실개올미가 있는데 진도의 좁은 면적에 수 개체가 분포할 정도로 한정적이다.너도고랭이일년생이다. 식물체는 총생한다. 줄기는 높이는 30-50cm로 가늘고, 단면은 삼각형이며, 매끈하여 털이 없다. 잎은 기부엽의 엽초는 날개가 거의 없고, 엽신이 없거나 짧다. 중간 및 그 위에 달리는 경생엽의 엽초에는 날개가 발달하고, 엽신은 너비 3.5-5.5mm이며, 끝이 뾰족하다. 포엽은 잎모양이며, 맨 아래 것은 길이 20cm정도이고, 엽초가 있다. 소포엽은 가시모양이고, 소수와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다. 화서는 2-4개의 가지가 있는 원추화서이고, 가지는 길이 1.. 2024. 10. 14.
가시개올미(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rugosa R.Br. 2024. 9. 23. 남도의 습지. 너도고랭이와 함께 남도의 습지에 자생하는 너도고랭이속 녀석이다.덕산풀(S. rugosa var. onoei)에 비해 잎과 줄기에 백색 털이 많은 점으로 구별되며, 같은 일년생 식물인 너도고랭이(S. parvula) 보다는 키가 10-30cm로 작고(너도고랭이: 30-50cm), 엽초에 넓은 날개가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주변에 애기개올미도 많은 개체가 보인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ory.com/8911.. 2024. 10. 14.
애기개올미(사초과 애기개올미속) Diplacrum caricinum R.Br. 2024. 9. 23. 남도 습지. 애기개올미는 너무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다고만 착각하고 있었다.전초 길이가 15cm 정도까지 자란다고 하니 제법 키가 큰다는 걸 미처 생각하지 않았다.일년생. 근경이 없이 모여나고, 뿌리는 실 모양이며, 적자색이다. 줄기 높이 3-15cm로 식물체가 작다. 무모이고,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단면은 삼각형이다. 잎 엽초에 좁은 날개가 있고, 날개는 위쪽일수록 더 넓으며, 엽설은 없다. 엽신은 선형이고, 길이는 1-4 cm, 너비는 1.5-3mm이며, 끝은 예두 혹은 서서히 좁아진다. 포엽과 소포엽 잎모양 또는 인편모양이고, 길이 3-10mm이다. 화서 두상 또는 취산화서로 짧은 자루가 있고, 몇 개 또는 많은 소수가 엽액에 모여 달린다. 소수 자성화의 기부에 작은 .. 2024.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