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배추과 모음340

속속이풀(배추과 개갓냉이속) 2021. 5. 2. 낙동강 둘레길. 가새잎개갓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73 https://qweenbee.tistory.com/8890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9495 https://qweenbee.tistory.com/890552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61 가새잎개갓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3618 https://qweenbee.tistory.com/8905039 https://qweenbee.tistory.com/8905316 https://qweenbee.tistory.com/8907261 https://qweenbee.tist.. 2021. 6. 9.
개갓냉이(배추과 개갓냉이속) 2021. 5. 5. 충북. 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0827 큰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08 http://blog.daum.net/qweenbee/8902433 http://blog.daum.net/qweenbee/8903858 http://blog.daum.net/qweenbee/8905016 blog.daum.net/qweenbee/8905497 https://blog.daum.net/qweenbee/8907126 애기황새냉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95368 blog.daum.net/qweenbee/8895369 http://blog.daum.net/qweenbee.. 2021. 6. 9.
대청(배추과 대청속) 열매 2021. 5. 10. 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56 https://qweenbee.tistory.com/8900830 https://qweenbee.tistory.com/8900831 https://qweenbee.tistory.com/8900847 https://qweenbee.tistory.com/8902265 갯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84 https://qweenbee.tistory.com/88871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7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498 https://qweenbee.tistory.com/8899487 https.. 2021. 5. 21.
대청(배추과 대청속) 열매 2021. 5. 10. 지난 4월 꽃을 보고 간 후 열매가 익을 대 쯤 와봐야겠다고 하고선 시간을 낼 틈이 없어서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마침 계획했던 일정이 며칠 뒤로 밀리는 바람에 국화잎다닥냉이 큰잎다닥냉이와 함께 이 녀석을 보러 남쪽으로 달렸다. 이른 시간에 출발을 했기에 대구에 들렀다가 이곳 재배지에 도착하니 10시가 조금 넘었다. 이미 사진으로 열매를 봤지만 십자화과 유채나 갓과 흡사한 꽃을 피우는데도 납작한 선풍기날개 모양의 열매에 한알의 종자를 가진 녀석의 열매가 너무 생소하여 신기하기만 하다. 배추속 녀석들은 모두 장각과 열매를 가지는데 이 녀석은 참 히얀한 모양이다. 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56 https://qweenbee.tistory.co.. 2021. 5. 21.
주름구슬냉이(배추과 주름구슬냉이속) Rapistrum rugosum (L.) All. 2021. 5. 중순. 1998년 6월에 경기도 안산의 수인산업도로와 수원의 도로변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열매에 세로 주름이 있는 특징으로 ‘주름구슬냉이’로 국명 신칭되었다.구슬다닥냉이에 비해 열매자루가 짧고 열매가 두 부분으로 나뉘며, 아래쪽이 원통형이고 위쪽이 구형이다. 아직 어린 열매라 세로 주름이 나타나지 않았다.구슬다닥냉이에 비해 열매자루가 짧고 열매가 두 부분으로 나뉘며, 아래쪽이 원통형이고 위쪽이 구형이다. 뿌리잎은 길이 1~5cm의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길이 20cm쯤으로 가장자리는 깃꼴로 갈라진다.줄기잎은 뿌리잎보다 작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 2021. 5. 16.
고추(겨자)냉이 (배추과 고추냉이속) 열매 Eutrema japonicum (Miq.) Koidz. 2021. 5. 7. 울릉도.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482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1 https://qweenbee.tistory.com/8899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6 https://qweenbee.tistory.com/8908669 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663.. 2021. 5. 16.
고추냉이 (배추과 고추냉이속) Eutrema japonicum (Miq.) Koidz. 2021. 5. 7. 울릉도.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국명을 고추냉이로 학명 Wasabia japonica (Miq.) Matsum. 이명 Eutrema wasabi (Siebold) Maxim. 생물자원관 사이트에도 고추냉이로 기록이 되어 있고 학명은 다음과 같다 학명 Eutrema wasabi (Siebold) Maxim. 이명 Wasabia japonica Matsum. 일본에서 와사비의 원료로 이용되는 녀석이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 https://qw.. 2021. 5. 16.
국화잎다닥냉이(배추과 다닥냉이속) Lepidium bonariense L. 2021. 5. 10. 남도. 십여년 전 제주도에서 한 번 본 적이 있는 녀석이다. 잎이 깃꼴로 완전하게 갈라진 모습이 국화잎을 닮았대서 그리 이름을 얻었다. 꽃동무가 외국 선박이 오가는 항구 주변을 뒤져서 찾은 녀석이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qweenbee.tistory.com/8905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98 길다닥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 2021. 5. 16.
큰잎다닥냉이(배추과 다닥냉이속) Lepidium draba L. 2021. 5. 10. 남도. 잎 줄기, 전초에 부드러운 털이 많고 잎이 매우 크고 입 기부가 줄기를 감싸 듯 달려 있다. 다닥냉이속 중에서 수술이 6개 형이다.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qweenbee.tistory.com/8905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98 길다닥냉이 새싹 : https://qweenb.. 2021. 5. 16.
큰잎다닥냉이(배추과 다닥냉이속) Lepidium draba L. 2021. 5. 10. 남도. 수년 전 그 자리에 여전한 세력으로 자라고 있었다. 이 녀석은 번식력이 지나치지 않고 주변과 적당하게 어울려 자라서 그나마 다행하다. 꽃의 크기가 다닥냉이속 중에서는 큰 편이고 꽃잎 형태도 꽃잎 기부가 길다란 난형이며 수술은 6개이다.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qweenbee.tistory.com/8905298 htt.. 2021. 5. 16.
큰황새냉이(십자화과 황새냉이속) 2021. 5. 4.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https://qweenbee.tistory.com/8910376 황새냉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81 큰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2433 https://qweenbee.tistory.com/8903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50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97 https://qweenbee.tistory.com.. 2021. 5. 15.
배추과 다닥냉이속 2021. 5. 콩다닥냉이와 가장 흡사한 녀석으로 어린 신초 로제트 잎의 열편 모습에 차이가 있고 꽃잎이 퇴화되어 나타나지 않거나 실처럼 가늘게 나타나기도 하며 수술은 2개이다. 화축과 소화경에 돌기성 털이 보이고 꽃받침에 털이 있다 열매는 약간 타원형으로 보인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qweenbee.tistory.com/8905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98 길다닥냉이 새싹 : ht.. 2021.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