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5. 3. 경북.
충남에서도 이 녀석을 보고 왔는데 팔공산 자락에도 이 녀석이 산다.
생각보다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 같다.
잎자루에는 털이 없고 잎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는데 특히 뒷면에 더 많다.
암술은 6개 수술은 12개 2열로 배열,
화주는 길이 3-3.8mm이며, 돌출부는 2.5-2.8mm로서 한국산 중 가장 길고, 끝이 갈라지기도 하며, 열매 성숙기에 흔히 악통 밖으로 노출된다
악편 길이가 폭보다 길다
악통 입구에 검은 테가 있음 1, 족도리풀, 2, 금오족도리풀
흰 테가 있음 3, 털족도리풀 4, 각시족도리풀..
검은 테가 있는데 암술대 (화주)가 둘로 갈라지고, 악편이 세로가 가로보다 길면 2, 금오족도리풀
흰테가 있는데, 악편이 뒤로 완전 젖혀져 붙으면 4, 각시족도리풀
족도리풀은 엽병에도 털이 있지만 금오족도리풀은 엽병에는 털이 없다.
족도리풀: http://blog.daum.net/qweenbee/8889805 http://blog.daum.net/qweenbee/8889681
http://blog.daum.net/qweenbee/8891605 http://blog.daum.net/qweenbee/8889637
http://blog.daum.net/qweenbee/8889805 http://blog.daum.net/qweenbee/8897354
http://blog.daum.net/qweenbee/8899136
각시족도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9919 http://blog.daum.net/qweenbee/8887736
http://blog.daum.net/qweenbee/8899134 http://blog.daum.net/qweenbee/8900458
자주족도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3583 http://blog.daum.net/qweenbee/8895484
http://blog.daum.net/qweenbee/8895516 http://blog.daum.net/qweenbee/8897408
http://blog.daum.net/qweenbee/8899108
개족도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3437 http://blog.daum.net/qweenbee/8895431
http://blog.daum.net/qweenbee/8897289 http://blog.daum.net/qweenbee/8900728
(청)개족도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37
무늬족도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3642 http://blog.daum.net/qweenbee/8899135
금오족도리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3643 http://blog.daum.net/qweenbee/8895590
http://blog.daum.net/qweenbee/8895618 http://blog.daum.net/qweenbee/8897448
털족도리풀(서울,만주) : http://blog.daum.net/qweenbee/8899092 http://blog.daum.net/qweenbee/8899133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완두(콩과 나비나물속) (0) | 2014.05.07 |
---|---|
덩굴꽃마리(지치과 꽃마리속) (0) | 2014.05.07 |
꽃받이(지치과 꽃받이속) (0) | 2014.05.06 |
수호초(회양목과 수호초속) (0) | 2014.05.06 |
긴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0) | 201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