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4. 3.
흰털괭이눈은 털괭이눈의 변종으로 천마괭이눈, 누른괭이눈(2009. 논문 발표되었다고 함)과 비슷하지만
쉬운 구분 포인트는 포엽의 색에 있다.
털괭이눈(C. pilosum) 변종에 대한 정리 | ||
학명 |
국명 |
일본 |
C. pilosum var. fulvum | 큰괭이눈, 흰털괭이눈이 맞음 (국생종에 흰텅괭이눈을 흰괭이눈에 통합시켰는데 잘못 되었다는 견해 있음) |
큰괭이눈(흰털괭이눈) |
C. pilosum var. valdepilosum | 천마괭이눈(이걸 금괭이눈으로 오인) | |
C. pilosum var. sphaerospermum | 실제 금괭이눈은 국내 분포 확인이 안됨 | 황금괭이눈 |
C. album | 흰괭이눈 |
국생종에는 흰털괭이눈을 흰괭이눈에 포함시켜서 사실 흰괭이눈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위 표에서 보듯이 흰괭이눈은 C. album 속으로 털괭이눈(C. pilosum)속인 흰털괭이눈을
흰괭이눈으로 통합한다는 단지 국립수목원의 견해 일 뿐이라는 의견이 강하다고 한다.
흰털괭이눈(큰괭이눈)은 꽃이 포엽에 비하여 크고, 꽃만 노란색이며 포엽은 녹색이다.
줄기는 붉은 색을 띠고 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와 잎자루, 잎 앞면에 털이 있다. 잎 뒷면에는 털이 없다.
산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9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1
선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09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6
누른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07 http://blog.daum.net/qweenbee/8887649
http://blog.daum.net/qweenbee/8887349
흰털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597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0
천마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7
애기괭이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05 http://blog.daum.net/qweenbee/8887343
<흰털괭이눈>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둥글거나 선형이고 밑부분이 넓은 예저 또는 다소 절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엽병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고 엽신은 길이 1~2.3cm, 폭 0.8~2cm이다. 뿌리에서 옆으로는 뻗는 줄기가 없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지며 높이 3~9cm로서 밑부분에는 갈색털, 윗부분에는 백색의 퍼진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길이 6mm정도이고 2개로 갈라지는 삭과이다.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0.5mm, 지름 0.3mm로서 양쪽에 10개의 돌기조선이 있다.
꽃은 4~6월에 피고 줄기끝에 취산화서로 달려 총생하며 꽃받침잎은 4개이고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둥글며 곧게 서고 길이 2.5mm, 폭 2mm이며 황록색이다. 수술은 8개이고 그 중 4개는 꽃받침밑에 붙어 있으며 수술대는 꽃받침 길이의 1/2정도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둥글다. 암술대는 매우 짧으며 2개이고 끝이 바깥쪽으로 젖혀있다. 자방은 털이 없고 심피는 길이 6mm, 지름 2.5mm로서 벌어진다.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깽깽이풀(매자나무과) 3 (0) | 2010.04.05 |
---|---|
미치광이풀(가지과) (0) | 2010.04.04 |
큰괭이밥(괭이밥과)1 (0) | 2010.04.03 |
큰괭이밥(괭이밥과)2 (0) | 2010.04.03 |
별꽃(석죽과) (0) | 201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