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주땅귀개3

자주땅귀개 뿌리 잎 Utricularia uliginosa Vahl 2014. 7. 12. 경남. 땅귀개도 이삭귀개도 자주땅귀개도 이렇게 작은 잎을 가지고 있다.자주땅귀개 잎은 짧고 난형으로 넓다. 이삭귀개나 땅귀개 잎은 좁고 더 길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7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7   https://qweenbee.tistor.. 2014. 7. 17.
자주땅귀개(통발과 땅귀개속) Utricularia uliginosa Vahl 2013. 7. 29. 제주. 이삭귀개처럼 자주색을 띠고 있지만 자주땅귀개는 아래 쪽의 거가 짧은데 비하여이삭귀개는 거가 윗순판보다 주욱 앞으로 빠져 나와서 마치 아래 턱이 빠진 형상을 하고 있고자주땅귀개는 봉오리가 뾰족한데 이삭귀개 봉오리는 끝이 무딘 원형이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 2013. 8. 8.
자주땅귀개(통발과 땅귀개속) Utricularia uliginosa Vahl 2010. 07.26. 제주. 9시간의 윗세오름 탐사를 마치고 내려오면서 1100 습지에 잠시 머물렀다.탐방 테크가 설치된 곳보다 그 옆의 작은 습지가 인공물이 없어서 더 이쁘다. 골풀 사이에 자주땅귀개가 좌악 깔리다 시피 꽃을 피웠다. 발을 옮기기 망설여질 정도로 개체가 많다.이 녀석은 처믕 만난다. 내 사는 근처에는 땅귀개와 이삭귀개는 지천인데 자주땅귀개는 없다. 모양은 땅귀개랑 꼭 같은데 단지 자주색이란 게 달랐다.    흰색도 한포기 발견.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 2010.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