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단나무4

분단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Viburnum furcatum Blume ex Maxim. 2021. 5. 7. 울릉도. 여러 차례 울릉도에 들락거렸지만 이 녀석은 처음 만났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70https://qweenbee.tistory... 2022. 2. 12.
분꽃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동아 Viburnum carlesii Hemsl. var. bitchiuense (Makino) Nakai 2018. 3. 3. 경남. 작살나무처럼 잎눈은 인편이 없이 나출되어 있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tps://qweenbee.tistory.com/8890270https://qweenbee.tistory.. 2018. 3. 18.
분꽃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해안형 Solenolantana carlesii (Hemsl.) Naka 2016. 5. 21. 남도. 해안 도서 지역의 분꽃나무이다.잎의 거치가 아주 얕고, 두텁고 원형에 가까운 넓은 모습을 하고 있다.육지의 녀석들이 아니라 이 녀석을 섬분꽃나무로 부르고 싶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4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8https://qweenbee.tistory.com/89047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202https://qweenbee.tistory.com/89103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326분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404  ht.. 2016. 6. 1.
분꽃나무(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해안형 Solenolantana carlesii (Hemsl.) Naka 2016. 5. 6. 울릉도. 분꽃나무다. 육지의 분꽃나무보다 잎이 넓다.울릉도에 육지 녀석과 다른 분꽃나무가 있다는 걸 생각하지 못하고 작년에는 미처 담아주지 못하였다. 사실 육지의 분꽃나무를 섬분꽃나무라고 하는데 분꽃나무와 섬분꽃나무 이름을 바꾸어 놓은 게 문제다.실제로 울릉도 식물에 등의 접두어를 달고 있는 것을 보면 이 녀석을 섬분꽃나무라 해야 옳은 거다 그런데 일행 중 누군가 분단나무라고 하는 바람에 나도 생각 없이 분단나무라고 하면 이 녀석을 담았다잎맥이 좀 얕은데?? 라고 생각만 했었는데 납작한 열매가 분단이 아니라 분꽃나무인 것을 생각 못했다. 울릉도와 섬 지역의 분꽃나무는 육지 것 보다 잎이 더 둥글고 넓은 형이다.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 2016.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