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억새4 물억새(벼과 억새속)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 Hool.f. ex Franch. 2020. 1. 25. 코로나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겨울이라 특별히 원행을 할 일이 없으니가까운 주변을 산책하면서 찌뿌둥한 몸을 깨운다. 겨울동안 벼과를 공부하느라고 시간을 보내고 있으니산책 중에 말라빠진 벼과 식물들의 이삭을 채집하는 일도 하나의 일과가 되었다. 벼과는 꽃차례의 소수와 소화 포영, 호영, 영과 등의 관찰이 중요한데워나~~~기 작은 꽃차례라 현미경으로 들여다 봐야 할 정도로 확인이 쉽지 않으니채집을 해 두어도 어렵긴 매한가지다그래도 차근차근 도감의 삽화로 익히고 사진으로도 눈에 익히고 있긴한데..........에롭긴 마찬가지다. 저수지 수변을 따라 물억새가 무리지어서 바람에 서걱거리고 있다.물억새는 땅속줄기가 발달하여서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게 포기를 이루는 억새와 다르다. 억새는 산지에서.. 2021. 1. 26. 참억새(벼과 억새속) Eulalia speciosa (Debeaux) Kuntze 2021. 1. 17. 도청. 물억새는 저지대 습기가 있는 지역에서 자라며 길고 가는 뿌리줄기를 벋어서 무리지어 군락은 이루고 소수에 까락이 없는데 참억새는 산지에서 자라며 포기로 뭉쳐 자라고 소수에 까락이 있다. 소수의 까락이다 달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1 https://qweenbee.tistory.com/8898554https://qweenbee.tistory.com/8901967 https://qweenbee.tistory.com/8905642https://qweenbee.tistory.com/8907691(꽃) 갈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1 https://qweenbee.tistory.com/8.. 2021. 1. 17. 물억새(벼과 억새속)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 Hool.f. ex Franch. 2020. 12. 6. 강 수변. 저지대 습한 풀밭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서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며호영에 까락이 없고, 캘러스털이 호영보다 많이 길어서 억새보다 더 희게 보인다.줄기 아래쪽에 잎이 없이 상부쪽에 잎이 달리며 줄기와 잎, 마디에 긴털이 밀생한다. 달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1 https://qweenbee.tistory.com/8898554https://qweenbee.tistory.com/8901967 https://qweenbee.tistory.com/8905642https://qweenbee.tistory.com/8907691(꽃) 갈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1 https:.. 2021. 1. 16. 달뿌리풀(벼과 갈대속) Phragmites japonicus Steud. 2020. 6. 21. 동해안. 바다로 흘러드는 큰 하천에 뭐가 있을까 싶어서 장화까지 장착하고 들어 갔더니가뭄으로 하천 바닥이 말라 있고 달뿌리풀만 신이나서 줄기를 벋어나가고 있다. 경북의 동해안은 비가 거의 안 와서 풀이 배배 꼬이고 있다. 달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1 https://qweenbee.tistory.com/8898554https://qweenbee.tistory.com/8901967 https://qweenbee.tistory.com/8905642https://qweenbee.tistory.com/8907691(꽃) 갈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61 https://qweenbee.tist.. 2020. 7.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