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식물11 해란초아재비(질경이과 해란초아재비속) Kickxia elatine (L.) Dumort 2022. 6. 15. 3년동안 관찰하여 세상에 알린 녀석이라 애착이 더 가는 녀석이다.6월에 벌써 개화 끝물이라니........가뭄으로 제대로 자라지 못했을 거라 생각했는데벌써 사이트에 사진이 올라오고 있어서 깜짝 놀랬다. 내가 봐왔던 건 주로 7~8월 경이었는데, 하기사 그 때는 열매가 익어가고 있긴 했더랬지작년 같은 경우는 강수량이 적은 탓에 7월에서야 싹이 트는 녀석들이 많이 보였더랬다. 아무튼 이렇게 잘 자라주고 있어서 고맙다. 잎의 형태는 메꽃을 닮았고 잎 양면, 잎자루, 줄기에 긴털이 부숭부숭하다 해란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69 https://qweenbee.tistory.com/8890590https://qweenbee.tistory... 2022. 6. 18. 주름전동싸리(콩과 전동싸리속) Melilotus officinalis (L.) Lam. 2022. 6. 8. 여태 전동싸리로 오동정되어 알려져 있던 녀석이'한국의 외래식물 주름전동싸리와 좀전동싸리 (김진옥 외, 2019)' 논문을을 통해서 주름전동싸리임이 밝혀졌다. 전동싸리는 열매에 망상맥을 가지고 있는데 주름전동싸리는 가로로 주름이 져 있는 점이 다르다. 주름전동싸리를 발표하면서 좀전동싸리도 함께 발표하였는데 제주도에서 발견이 된 녀석으로 15-20개 꽃이 밀집하며 꽃이 매우 작고 열매 주름이 선명하지 않은 점이 특징이다. 전동싸리주름전동싸리좀전동싸리기판=익판=용골판꽃의 길이 3.5-4.5mm 꽃받침 삼각상 피침형30-40개 꽃이 밀집7-9월 개화 기판>익판>용골판꽃의 길이 4-7mm30-80개 꽃이 밀집 5-7월 개화기판=익판=용골판꽃의 길이 2-3mm 꽃받침 넓은 삼각형15-20개.. 2022. 6. 12. 자주개자리(콩과 개자리속) 2022. 6. 8. 목초용으로 들여 온 녀석이 나대지나 도로변을 덮고 있다. 성장 속도나 번식이 다소 위협적으로 느껴 질 정도인데, 한 번 자리잡으면 주변을 점령해 버려서 다른 식물들이 발을 붙이지 못한다. 개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28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19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6 https://qweenbee.tistory.com/8902415 https://qweenbee.tistory.com/8903800 https://qweenbee.tistory.com/8904831 https://qweenbee.. 2022. 6. 12. 흰전동싸리(콩과 전동싸리속) Melilotus albus Medik. 2022. 6. 8. 전동싸리의 계절이 시작되는가 보다.도로변에는 흰전동싸리와 주름전동싸리가 제철을 만났다. 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390싸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39 참싸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0 https://qweenbee.tistory.com/8887305https://qweenbee.tistory.com/8894637 https://qweenbee.tistory.com/8896207 https://qw.. 2022. 6. 12. 좀전동싸리/주름전동싸리/전동싸리 논문 발췌 논문 : 한국의 외래식물 주름전동싸리와 좀전동싸리 (김진옥 외, 2019) https://doi.org/10.7732/kjpr.2019.32.1.063 주름전동싸리 Melilotus officinalis (L.) Lam. 좀전동싸리 Melilotus indicus (L.) All. 흰전동싸리Melilotus albus Medik.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Ledeb 여태 만났던 전동싸리로 봤던 녀석들 대부분이 주름전동싸리였다.(2020. 7. 6. 영천) 싸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4389 http://blog.daum.net/qweenbee/8896251 http://blog.daum.net/qweenbee/8894392 http://blo.. 2021. 12. 14. 들개미자리(석죽과 들개미자리속) Spergula arvensis L. 2018. 2. 24. 제주. 개미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73https://qweenbee.tistory.com/8886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4https://qweenbee.tistory.com/8896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70 https://qweenbee.tistory.com/8899291 https://qwee.. 2018. 3. 4. 애기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2018. 2. 24. 제주. 보고된지 얼마 되지 않은 녀석이다. 멕시코 원산으로 2016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겨울호를 통하여 보고되었다 국내 자생하는 석잠풀속 다른 분류군에 비하여 전초 크기가 작고 털이 밀생하며 소화가 6-12개의 소화가 마디에 돌려나는 점이 구분이 된다. 석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1 http://blog.daum.net/qweenbee/89004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893 https://qweenbee.tistory.com/8904910 https://qweenb.. 2018. 3. 3. 등골나물아재비(국화과 등골나물속) 2018. 2. 24. 제주. 이 녀석 꽃과 잎등 자료가 부족한 듯하여 다시 보려고 했는데 개화 시기를 잘못 추정하다가 결국 놓쳐 버렸더랬다 11월 제주의 꽃동무가 등골나물아재비 군락을 발견했다는 소식이 있었지만 시간을 내지 못하고 결국 그냥 넘겨 버리고 말았다 이번에 내려 가면서 번지고 .. 2018. 3. 2. 서양개보리뺑이(국화과 뽀리뱅이속) 새싹 2015. 5. 3. 울릉도. 뽀리뱅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7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0 https://qweenbee.tistory.com/89008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401 https://qweenbee.tistory.com/8902621 뽀리뱅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6 뽀리뱅이 신초 : https://qweenbee.tist.. 2018. 2. 23. 산당근(산형과) 2017. 7. 8. 남도 섬. 이미 2012년 부터 드물게 만나던 산당근은 이제 큰 도로 공사지나 대형 주차장 조선지 주변에 종자가 많이 살포된 것 같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이 곳 섬에까지 산당근이 퍼지고 있다. 산당근 : http://blog.daum.net/qweenbee/8892767 http://blog.daum.net/qweenbee/8892768 http://blog.daum.net/qw.. 2017. 9. 6. 미국쑥부쟁이(국화과 참취속)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2009. 8. 14. 낙동강고수부지. 이 녀석도 생태 교란 야생식물로 외래종의 하나이다.꽃이 피면 온통 하얗게 눈 온 것 처럼 보여서 백공작이란 별명도 가지고 있다.봄에 자랄 때는 잎의 넓이가 더 넓은데 꽃대를 올릴 때 쯤에는 이렇게 잎이 가늘어진다. 꽃의 크기는 일반 쑥부쟁이보다 자잘하다. 머잖아 꽃을 피울 것 같다.생태교란 식물이라지만 군집을 이루어 꽃이 필 때는 보기는 좋다. 쑥부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4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68https://qweenbee.tistory.com/8888954 https://qweenbee.tistory.com/8890474https://qw.. 2009. 9.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