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8/095

몽골식물 - 십자화과 염주냉이속 Stevenia canescens (DC.) D.A.German 2022. 7. 1. 몽골 테를지. 다년생 초본으로 키가 3-10cm로 작고 줄기에 성상모가 밀생하여 회백색을 띤다.잎은 긴 선형으로 둔두이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https://qweenbee.tistory.com/8891482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1https://qweenbee.tistory.com/8899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3596     .. 2022. 8. 9.
몽골식물 - 배추과 쑥부재깽이속 Erysimum flavum? 2022. 6. 26. 한갈노르 호수. 십자화과 녀석들이 많이 보이긴했지만 2015년에 꽤 여러 종 찍은 게 있어서그냥 퍽샷 정도로 담다 보니 촬영 수가 많지가 않다.이 녀석은 키가 꽤 큰 종이었는데 줄기에 털이 없고 잎이 선형이었다.쑥부재깽이속으로 보이는데 이미지로 찾은 학명이 Erysimum flavum 비슷하긴 한데 확신하기 어렵다.  부지깽이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911214(내몽골) 가는쑥부지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60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2       https://qweenbee.tistory.com/8889786     https://qweenbee.tisto.. 2022. 8. 9.
몽골식물 - 씨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vivipara (L.) Delarbre 2022. 7. 30. 몽골, 테를지로 가는 도중 오논강 주변에서.  꽃차례 아래 부분에 무성생식하는 살눈(주아)가 달리는 범꼬리 녀석이다.키가 무척 작아서 애기씨범꼬리 정도로 보였는데 애기씨범꼬리는 씨범꼬리로 통합이 되어 있다씨범꼬리는 독립된 속으로 처리하여 학명이 Bistorta vivipara (L.) Delarbre마디풀속 종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Polygonum viviparum L. 로 한다.   Polygonum viviparum는 Bistorta vivipara 의 이명처리되어 있다. 씨범꼬리는 근생엽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기부는 등글고 뒷면이 분백색이고 엽병이 길다. 그런데 어린 싹의 잎은 난형으로 좀 차이가 있어서 다른 씨범꼬리류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 2022. 8. 9.
몽골식물 - 가는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Bistorta alopecuroides (Turcz. ex Kom.) Nakai 2022. 6. 24.  가는 피침형의 잎 아마도, 그럴거라.  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83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54    https://qweenbee.tistory.com/8892107https://qweenbee.tistory.com/8905744범꼬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687 눈범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4    https://qweenbee.tistory.com/8888255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2. 8. 9.
몽골식물 -현삼과 좁쌀풀속 Euphrasia nemorosa ?? 2022. 6. 30. 몽골 국경지대 숙영을 마치고 마지막 숙영지 테를지로 가는 도중 오논강 유역에서 잠시 주변을 탐사하는 중에 만난 좁쌀풀속 녀석이다. 2015년에도 몽골에서 좁쌀풀 녀석 1종을 만나서 털좁쌀풀로 동정을 했던 적이 있는데 이 녀석도 같은 털좁쌀풀로 봐야 할지 아니면 애기좁살풀로 봐야 할지 분석을 해 봐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털좁쌀풀과 애기좁쌀풀이 한반도 고유종이라니 몽골의 이 녀석은 전혀 다른 녀석으로 봐야겠다. 2015년의 몽골에서 본 녀석도 털좁쌀풀로 본 건 나의 오동정이었다. 수정해야겠다. 이우철 도감의 내용이다 가지가 없고 높이 8~15cm, 밑을 향한 털, 난형의 잎 3~4쌍의 둔하거나 둥근 톱니, 잎 가장자리 잔돌기, 포엽 2~4쌍의 둔한 톱니 줄기와 잎에는 털이 거의 없고,.. 2022.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