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밥9

꿩의밥속 종자 : 꿩의밥/산꿩의밥/산새밥/새밥/오대산새밥 2022. 3. 韓國産 꿩의밥屬 (LuzWa) 植物에 대하여 (채영옥 1983) 좀꿩의밥아속 좀꿩의밥 잎은 안쪽으로 등글게 말리고 끝은 뾰족하며 경질화되지 않고 소화서축은 길고 가늘어서 구부러져 있으며 종자에는 사상체가 있다 산꿩의밥아속 꿩의밥, 산꿩의밥, 산새밥, 구름꿩의밥, 두메꿩의밥 지하경은 짧거나 거의 발달되지 않으며,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두상화를 이루고, 종자의 기부에 소형의 종침이 있다 별꿩의밥아속 별꿩의밥 , 새밥 ,오대산새밥 지하경은 길게 발달하고,꽃이 소화서축 끝에 1개씩 피며, 종자의 상부에 대형의 종침이 휘어져 있다 꿩의밥 산꿩의밥 산새밥 구름꿩의밥 두메꿩의밥 좀꿩의밥 종침은 종자 길이의 1/2 종침은 종자 길이의 1/2 ~1/3(0.4배) 종침 작지만 명확함 종자의 0.3 종침 불.. 2022. 3. 21.
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 2016. 6. 3. 제주. 역시 윗세오름 휴게소 위쪽 등산로변에서 만난 녀석인데 이 녀석은 뒤늦게 꽃을 피우고 있었다 꿩의밥속 분류군은 종자의 종침 길이가 중요한 구분 포인트이다. 화피와 삭과 길이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꿩의밥 산꿩의밥 구름꿩의밥 두메꿩의밥 좀꿩의밥 별꿩의밥 산새밥 종침 있다 종침은 종자 길이의 1/2 종침 불분명 종침 불분명 종침 없음 짧은 사상체 있음 종자길이 종침과 같음 종침 작지만 명확함 꽃밥이 수술대보다 길다 수술은 화피의1/2 꽃밥 수술대 길이 같음 수술 화피보다 짧음 꽃밥 수술대의 1/2 수술은 화피의 2/3 꽃밥 수술대의 1/2 수술은 화피의 2/3 꽃밥이수술대보다 짧음 수술은 화피의 2/3 꽃밥이 수술대보다더 길거나 같음 수술 화피보다 짧음 꽃밥과 수술대 같음 수술은 .. 2018. 1. 30.
구름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oligantha Sam. 2016. 6. 3. 제주. 윗세오름 능선부에서 만난 녀석이다. 화피와 삭과 열매가 유난히 검은자색을 띠고 있어서 북부지역 고산에 산다는 구름꿩의밥일까? 두메꿩의밥일까? 혼란스러워 하다가 백두에서 델꼬온 녀석을 구름꿩의밥으로 정리하면서 이 녀석도 다시 살펴 보게 되었다. -이우철-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역에서 자란다 근생엽은 길이 5-10㎝, 나비2-3mm로서 가장자리에 긴 백색 털이 있고 끝이 딱딱하다 삭과는 길이 2-2.5mm로서 화피보다 길고 흑갈색이며 종자는 길이 1mm정도로서 타원형이고 종침은 짧으며 뚜렷하지 않다. 높이 10-20㎝로서 끝에서 작은 두상화서가 산형으로 달리고 포가 화서보다 짧다. 작은 두상화서의 대는 불규칙하게 길고 짧으며 5개 정도의 꽃이 들어 있고 화피열편.. 2018. 1. 30.
새밥(벼과 꿩의밥속) 종자 Luzula rufescens Fisch. ex E.Mey. 2017. 5. 28. 강원도. 고부라진 종침이 달려 있는 모습이 올챙이 무리를 보는 듯 재미있다. 종자보다 종침의 길이가 더 길다. 도감에는 종자길이와 종침의 길이가 같다고 하는데 꿩의밥 속 중에서는 종침이 긴 녀석이다. 꿩의밥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0892 https://qweenbee.tistory.com/8903612 https://qweenbee.tistory.com/8900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2346 https://qweenbee.tistory.com/8901979 https:.. 2017. 6. 13.
산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multiflora (Ehrh.) Lej. 2017. 4. 8. 내가 좋아하는 꿩의밥 식구가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지쳐있는 발걸음에 그래도 이 녀석 꽃을 보니 기운이 난다 줄기 끝에 작은 두상화서가 취산상으로 달린다. 포가 화서 보다 짧다. 화피가 벌어지기 전에 4갈래로 갈라진 암술대가 먼저 나온다. 왼쪽은 아직 암술만 보이는데 오른쪽을 보면 화피가 벌어지고 수술이 노란 꽃가루를 터뜨렸다. 가운데 암술대에 꽃가루가 묻었다. 암술대 아래 작은 초록의 자방이 보인다 아직 암술도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 수술 꽃밥이 터져서 만개를 한 상태이다 꽃밥이 수술대 보다 길다 꽃가루를 묻힌 암술대가 길다랗게 벋어 있다 꿩의밥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395.. 2017. 4. 14.
산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열매 Luzula multiflora (Ehrh.) Lej. 2016. 5. 23. 안동. 학교 주변 산 자락에 참 별난 녀석들이 다 산다. 생각지도 않게 열매를 달고 반겨주는 녀석이 얼마나 반갑던지.... 낮 시간이 길어졌으니 퇴근 후 골골을 다녀 봐야겠다. 꿩의밥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0892 https://qweenbee.tistory.com/8903612 https://qweenbee.tistory.com/8900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2346 https://qweenbee.tistory.com/8901979 https://qweenbee.ti.. 2016. 5. 25.
산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multiflora (Ehrh.) Lej. 2014. 5. 4. 경북. 매년 이 곳을 찾을 때는 앉은부채가 꽃을 피우는 3월 초순 정도였다. 소백산맥 줄기가 지나는 백두대간 능선이라 평균 기온이 낮은 조건 덕분에 최근 황태덕장이 생긴 곳이라 아무래도 고개 뒤쪽의 식생이 궁거워서 한 번은 탐사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울릉도행도 수포로 돌아 가고 가까운 곳이라고 느긋하게 어정거리다 보니 시간을 너무 보내 버렸다. 우와~!!! 대단하다~!!! 북쪽 사면은 칩칩한 습지가 곳 곳에 있었는데 차창을 통해서 스치는 노란 동의나물 군락을 발견하고 급하게 차를 세웠다. 여태까지 내가 만난 최대의 동의나물 군락이었다 연방 감탄사를 날리며 주변의 식생을 살피니 다양한 사초류가 보이고 백합과 식물도 보이고 건조한 언덕부에는 매화노루발까지 눈에 띈다. 멀리 탐사 길.. 2014. 5. 7.
산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multiflora (Ehrh.) Lej. 2014. 4. 25. 충남. 시간을 떼우기 위하여 들렀던 산자락에서 딱 한포기 이 녀석을 발견하고선 신이 났다. 꽃밥이 다 떨어지고 암술도 거의 마른 상태라 좀 아쉬웟지만 한참 같이 놀기에는 딱이다. 꿩의밥 산꿩의밥 별꿩의밥 줄기 끝에 1개의 두화(드물게 2~3개)가 달리고 하위 포는 화서 보다 길다.삭과 열매는 흑갈색으로 화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화피편은 넓은 피침형 줄기 끝에 작은 두상화서가 취산상으로 달린다. 포가 화서 보다 짧다.열매는 황갈색으로 화피보다 약간 길다. 종침은 종자의 1/2이며 두화가 약간 크고 꽃이 보다 길다. 두화에 자루가 있다. 화피편은 난상 피침형 줄기 끝에 산형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에 꽃이 한 개씩 나고 소포는 화서의 약 1/2 길이다, 열매는 연한 황갈색으로 화피보다 .. 2014. 5. 3.
산꿩의밥(골풀과) 열매 Luzula multiflora (Ehrh.) Lej. 2013. 6. 23. 강원도. 어느 님의 어머니 무덤가에서 꿩의밥 녀석을 담아 왔다. 이 녀석은 화서가 꿩의밥도 아니고 별꿩의밥과도 다르다. 두화에 자루가 있고 취산상의 화서와 화서보다 짧은 포의 길이로 봐서 산꿩의밥으로 정리한다. 꿩의밥 산꿩의밥 별꿩의밥 줄기 끝에 1개의 두화(드물게 2~3개)가 달리고 하위 포는 화서 보다 길다.삭과 열매는 흑갈색으로 화피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화피편은 넓은 피침형 줄기 끝에 작은 두화가 취산상으로 달린다. 포가 화서 보다 짧다.열매는 황갈색으로 화피보다 약간 길다. 종침은 종자의 1/2이며 두화가 약간 크고 꽃이 보다 길다. 두화에 자루가 있다. 화피편은 난상 피침형 줄기 끝에 산형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에 꽃이 한 개씩 나고 소포는 꽃의 약 1/2 길이다, 열매는.. 2013. 7. 4.